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Activated macrophage 국소주사가 육아조직 혈관신생에 미치는 영향

        손태중,안기영,한동길,박대환 대한성형외과학회 1992 Archives of Plastic Surgery Vol.19 No.3

        The authors studies angiognesis of the granulation tissue elecited by thermal burns. Third degree burns were inflicted on the skin of inguinal area of 24 Spargue-Dawley rats, and then activated macrophages were injected into the local burn site as a stimulating factor of angiogenesis. The animals wee sacrified at 1, 4, 7, 14, 21 and 28 days after burn treatment and the granulation tissues of the burn site were excised and observed with light and eletron microscopy.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 In the control group into which activated macrophages were not injected the burn site showed granulation tissue which revealed mild vascular proliferation without active endothelial proliferation was noted at 4days after burns. A proliferation of endothelial cells and pericytes with abundant cytoplasms and well developed intracellular organelles was noted. The newly formed vessels showed ill defined or distorted lumens and surrounded by many activated macrophages and fibroblasts. These featrues were observed continualy until 14days after burns. And then the numbers of Capillaries slightly decreased along with gradual maturity of vessels(21&28 days) With the above results it could be concluded that the locally injected activated macrophages induced active angiogenesis. The activated marcrophages are thought to secrecte a kind of angiogenic factor. And induction of angiogenesis may be helpful to treat the deep skin wound needed abundant granulation tissue. Application of this procedure injecting activated macrophages into burn sites seems favorably feasable in early treatments of burns.

      • 전립선 결절성 증식증의 미세구조의 변화

        손형규,채종민,곽정식,손태중 慶北大學校 醫科大學 1991 慶北醫大誌 Vol.32 No.1

        전립성 결절성 증식증의 발병기전을 형태학전으로 규명하고자 10례의 환자에서 적출된 전립선을 광학 및 전자현미경적으로 검색하였으며 전립선의 분비선과 간질조직의 증식정도를 알기 위하여 형태계측법을 시행하였다. 아울러 대조군으로 2례의 부검시 적출된 정상인 전립선을 같은 방법으로 검색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대조군에서 전립선의 분비선 상피세포는 분비과립, lysosome,mitochondria,ER 및 Golgi장치가 풍부하였으며 간질조직의 평활근세포 및 섬유아세포는 세포소기관의 양이 빈약하였다. 결절성증식증에서는 분비선 상피세포는 분비과립과 lysosome이 약간 있었을뿐 세포소기관의 양이 적었다. 간질조직에서는 평활근세포 및 섬유아세포내의 세포소기관의 양이 증가되었다. 형태계측법에 의한 전립선의 분비선 대 간질조직의 비는 대조군에서 0.28±0.04이었으며 결절성 증식증에서는 0.10±0.03으로 간질조직이 증가되었다. 이상의 성적으로 보아 전립선의 결절성 증식증은 일차적으로 간질조직의 증식에 의해 일어나는 질환으로 인정된다. Normal and prostatic nodular hyperplasia were studied by quantitative light microscopic measurements and electron microscopy. Two cases of normal prostate obtained from the autopsy and ten cases of nodular hyperplasia were examined. Electron microscopically, glandular lining cells of the normal prostate showed abundant secretory granules, lysosomes, endoplasmic reticulums, mitochondria, and Golgi apparatus. Smooth muscle cells and fibroblasts had a few cell organelles. the epithelial cells of the hyperplastic glands demonstrated less cell organelles. However, smooth mucle cells and fibroblasts revealed abundant cell organelles. On the morphometry, the ratio of gland to stromal tissue were 0.28±0.04 in control group and 0.10±0.03 in nodular hyperplasia. According to the above results, it is suspected that the nodular hyperplasia is primarily a stromal disease.

      • KCI등재후보

        電子顯微鏡으로 보는 生命의 모습

        孫泰重 啓明大學校 醫科大學 1996 계명의대학술지 Vol.15 No.1

        태초부터 만물의 생명은 수정란이라는 한척의 세포로서 창성되었으니, 이때부터 생명체에는 성장과 노쇠가 있었고, 거기에는 질병과 죽음이 있었고 또한 인류에는 「희노애락증악욕」이란 7정이 있었다. 그리하여, 사람들은 이들 매혹적이고 신비적인 생명이상의 정체를 알기 위하여 때로는 점을 쳐서 추리하여 상상해 보기도 하였고, 눈으로 살펴도 보았고, 손으로 어루만져도 보았으며, 또한 두드려 보기도 하였으나 그 정체를 확실하게 알아 낼 수는 결코 없었다.

      • Actidione 투여로 인한 Golgi 장치의 형태적 변화

        임종선,손태중,박연묵 慶北大學校 醫科大學 1980 慶北醫大誌 Vol.21 No.2

        저자는 Golgi장치의 퇴행성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흰쥐에 단백합성 억제제인 actidione을 투여하고 췌장선방세포를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단백합성 장애로 야기되는 Golgi장치의 퇴행성 변화들은 이행소포의 소실, 층상구조의 감소, 낭포의 증가, 농축공포의 소실 및 전 구조의 낭포화 등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화들은 형성면에서 먼저 일어났으며 뒤따라 성숙면에도 일어났다. 이러한 소견들은 단백합성장애로 일어나는 Golgi장치의 퇴행성 변화가 형성면에서 시작하여 성숙면으로 진행된다는 것을 시사해 준다. Author administered 2mg of actidione per 100㎎ of body weight to rats to observe the morphologic degradation of Golgi apparatus of pancreatic acinar cells on suppression of protein synthe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Morphologic changes of Golgi apparatus in suppression of protein synthesis induced by actidione administration were loss of transport vesicles, diminution of lamellar structures, increase of saccular structure, loss of condensing vesicle, and vacuolization of entire Golgi apparatus. These changes were preceded in forming face and expanded to maturing face. Above results are very suggestive that degradation of Golgi apparatus on suppression of protein synthesis begins in forming face, and later maturing face is involved.

      • PEROXIDASE 반응을 중심으로한 호중성 백혈구 과립의 존재양상에 관한 전자현미경적 세포화학적 연구

        염우권,손태중 慶北大學校 醫科大學 1972 慶北醫大誌 Vol.13 No.2

        성숙가토의 대퇴골수를 재료로 하여 여러 성숙단계에 있는 호중성 백혈구 과립의 peroxidase 반응을 관할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Peroxidase 반응은 과립상으로 나오기도 하지만 대부분은 무구조한 전자밀도가 높은 광법한 반응으로 나타났으며, 이 반응은 미성숙 및 성숙 호azure성과립에만 나타나고 특수과립, Golgi complex, 및 ER 강내에서는 나타나지 않는다. 이와 같이 특수과립에는 반응이 없고 호 azure성과립에만 반응이 있다는 사실은 이 두가지 과립의 기능이 다를 것이라는 것을 암시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It is evident that neutrophils participate in an important role in body defense mechanisms. The neutrophilic granules-lysosome-are thought as main machinery in processes of digestion of phagocytized foreign materials. The polymorphonuclear leukocyte granules were investigated by examining developing granulocyte from normal rabbit bone marrow, in order to study how they exist, from where they are derived and how they develop. In addition, peroxidase activity was scored at electron microscopic level. The results were: Two distinct types of granules, azurophil and specific, were distinguished on the basis of their differences in size, density and time of origin. Both types originated from Golgi complex, but azurophil granules originated in the progranulcyte stage and specific granules originated in the myelocyte stage. No transforming features were found between the two types. The azurophil granules decreased in number throughout successive maturation stages. Azurophil granules were more dense and larger than specific granules. Peroxidase activity was found in both immature and mature azurophil granules but specific granules and lumen of rER and Golgi complex failed to demonstrate the peroxidase activity. Reaction paterns were different in individual azurophil granules which suggested heterogeneity of the granules.

      • 산소흡입이 폐포상피세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초미세형태학적 연구

        정상봉,손태중 慶北大學校 醫科大學 1980 慶北醫大誌 Vol.21 No.1

        장기 산소호흡이 폐에 미치는 영향을 알기 위하여 가토에 1분당 1.5∼2.0ℓ의 산소를 Ruben valve를 통해 흡입시킨후 24,48,72,96 및 120시간에 나타나는 광학 및 전자현미경적 소견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육안적으로는 충혈, 부종, 무기폐, 폐기종, 출혈성 경색 및 출혈등이 관찰되며 이는 산소흡입시간이 길수록 현저한 경향이었다. 광학현미경으로는 무기폐, 부종, 충혈, 염증, 괴사, 소동맥의 비후, 초자막형성, 기관지염, 폐포세포의 비대, 증식, 변성, 박리등이 관찰되는데, 이 현상은 일반적으로는 산소흡입시간이 길수록 현저한 경향이었다. 전자현미경이로는 Ⅱ형 폐포세포에서는 microvilli의 감소 내지 소실, multilamellar body의 감소, 공포화, 전자밀도의 증가, 층판상 구조의 감소 내지 소실 rER의 감소, 수포화, 단열 ribosome의 탈락, Golgi장치의 위축등이 주변화였으며 이 변화는 산소흡입시간이 길수록 현저하였다. 그밖에 Ⅰ형 폐포세포나 대식세포에서는 뚜렷한 소견은 없었다. Ⅱ형 폐포세포에 있어서 multilamellar body의 전단계 구조물이라 추정하고 있는 multivesicular body는 가토에 있어서는 그 형태가 뚜렷하지 않았다. 이상의 연구성적으로 보아 산소를 장시간 흡입하면 가토에 있어서는 폐포표면 활성물질의 생산을 주로 담당하는 Ⅱ형 폐포상피의 multilamellar body를 위시한 세포내 구조물에 변성이 일어나며, 그 정도는 산소흡입시간과 비례한다고 생각한다. For the investigation of morphologic changes of the alveoli influenced by pure oxygen inhalation, the author kept rabbits under inhalation with 1.5-2.0 liter of pure oxygen per minute through the Ruben valve and sacrificed the rabbits at 24, 48, 72, 96, and, 120 hours after inhalation, respectively. The alveoli were observed by light and electron microscopes.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Grossly, there were areas of congestion, edema, atelectasis, emphysema, hemorrhagic infarction and hemorrhage. The longer pure oxygen was inhaled, the more marked these changes were. 2. Light microscopically, congestion, edema, pneumonitis, focal atelectasis, necrosis, thickening of arteriolar wall, hyaline membrane formation, bronchitis, and hyperplasia, hypertrophy, degeneration and shedding of alveolar epithelial cells were observed. These changes were pronounced in proportion to the duration of pure Oxygen inhalation. 3. Electron microscopically, in type Ⅱ alveolar cells the morphologic changes occurred mainly in microvilli; loss or reduction, in muitilamellar bodies; reduction of number, vacuolization, increase of electron density, and reduction or loss of lamellar structures, in rER; reduction of number, fragmentation, dilatation and shedding of ribosomes and in Golgi complexes; atrophy. These changes were also pronounced in proportion to the duration of pure oxygen inhalation. The macrophages and type Ⅰ alveolar cells were rather unremarkable. 4. In type Ⅱ alveolar cells of the rabbits the morphology of multivesicular bodies suspected as a precursory structures of multilamellar body was not evident. 5. From the above results, it may be conceived that inhalation of pure oxygen induces degenerative changes in multilamellar bodies and other intracellular structures of the type Ⅱ alveolar cells. The Severity of degenerative changes is proportioned to the duration of pure oxygen inhalation.

      • DL-Ethionine 투여로 인한 간세포의 단백합성기구들의 초기변화에 관한 전자현미경적 연구

        조수호,손태중 慶北大學校 醫科大學 1972 慶北醫大誌 Vol.13 No.2

        흰쥐에 ethionine을 체중 gm당 0.2㎎을 단회 복강내에 주입하고 간세포의 단백합성기구에 일어나는 초기변화를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고 얻은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Ethionine을 복강내로 투여하면 투여 10분 내에 이미 membrane-bound ribosome의 탈락, polyome의 감소, monoribosome 증가 및 polysome사이의 filament의 소실등이 일어나고, 이어서 rER의 확장과 Golgi complex의 위축등이 일어났는데, 이와 같은 변화들은 시간이경과함에 따라 더욱 심하여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와같이 빠른 시간내에 단백합성에 관여하는 소기관에 형태학적으로 인정할 수 있는 변화가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ethionine으로 인한 간세포 상해의 기전은 ATP감소 이외에 다른 대사장애 내지는 ethionine의 직접적인 영향도 배제 할 수 없을 것으로 생각된다. It is well known that ethionine treatment induces decrease of ATP concentration and resultant inhibition of RNA and protein synthesis in the live cell. Ethionine traps adenosine forming S-adenosylethionine which results in deficiency of available adenosine for synthesis of ATP. But the relation of the morphological changes to the biochemical changes is still uncertain. In an attemp to clarify the initial changes of the cytoplasmic organells involved in protein synthesis, the author injected intraperitoneally 4 ㏄ of 1.25% ethionine to the rats of fasted and nonfasted. Animals were killed at 10,30, 60, 120 and 240 minutes after the injection and the livers were examined by light and electron microspcopes. The liver cells showed shedding of membranebound ribosomes, decrease of polysomes with loss of their filaments, and increase of monoribosome within 10 minutes after intraperitoneal injection of ethionine. Also noted were dilatation of rough surfaced endoplasmic reticulum and atrophy of Golgi complex. The changes were more marked in later time. Such changes of cytoplasmic organells, which could be recognized within such early time, suggested the possibility of derect action of ethionine to the cytoplasmic organells, besides the toxic effects through ATP depletion or other metabobic derangements.

      • X-線 照射에 의한 小腸粘膜의 走査電子顯微鏡像

        김용가,손경락,손태중 慶北大學校 醫科大學 1991 慶北醫大誌 Vol.32 No.1

        저자들은 전신 방사선 조사후 소장의 점막 변화를 주사전자 현미경으로 관찰하여, 급성 방사선 상해의 일단을 알아보기 위해, 흰토끼에 2,000rad를 1회 전신 조사하여 말단회장의 절편을 채취하여 시료로 사용하였다. 융모의 변화는 방사선 조사후 20분 군에서 가장 심하게 나타났으며, 이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융모의 변화는 경미해 지면서 1일후는 거의 정상 융모의 모양을 나타내었으며, 미융모의 크기 및 분포는 시간의 경과와 관계없이 대체로 일정하였으나 3시간 군까지는 미융모의 일부에서 수포형성이 관찰되었다. 미융모의 밀도는 대조군보다는 방사선 상해를 받은 군에서 더욱 높게 나타났다. 개개 세포는 1시간 군까지 부분적으로 세포의 탈락이 있을 뿐 시간경과에 따른 유의성있는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이상의 검사성적으로 미루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전신 방사선 조사시 상해는 20분 군에서 가장 심하게 나타났으며, 둘째, 융모의 모양은 방사선 조사후 1일 군부터 거의 대조군과 가까운 소견을 보인 것으로 미루어 상피세포의 재생이 왕성하다고 생각된다. 셋째, 편평한 융모나 거대세포는 관찰되지 않았다. 넷째, 미융모는 방사선 조사후 3시간 군까지 밀도가 증가하였으며, 상피세포가 재생되면서 대조군과 유사해 질수록 미융모의 밀도는 다소 낮아진다. 다섯째, 점막 세포는 1시간 군까지 경한 세포탈락이 있을 뿐 시간경과에 따른 유의성이 없었다. 여섯째, SEM은 방사선 조사시 소장 점막의 3차원적 구조를 관찰하는데 민감한 도구이다. 일곱째, 미융모는 방사선 상해를 받은 군에서 더 발달되어있다. The authors studied acute radiation injury of small intestine by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Rabbit as an experimental model was irradiated 2,000rads/once. After that, a segment of terminal ileum was obtained and examined with time. Changes of villi are most severe on the 20 min experimental group and after that the severity was gradually regressed. With time, change of villi becomes mild and nearly normal on the 4day experimental group. Change of size and distribution of microvilli are relatively constnat with time except mild microvesicular changes to the 3hr group. Density of microvilli is usually higher on the irradiated group than control group. Focally cell loss is present but there is no remarkable changes with time on the individual cells. Following are conclusions of this experiment. First, radiation injury is most severe on the 20 min group. Second, shape of villi is close to normal from 1hr group, which suggests that this radiatio ninjury is reversible one. Third, flat villi or giant cell was not observed. Fourth, density of microvilli is increased to the 3hr group but regressed after that. Fifth, mucosal cells reveal relatively unremarkable change with time except mild cell loss to the 1hr group. Sixth, SEM is relatively sensitive method to see 3 dimensional structure of mucosa after radiation injury. Seventh, change of microvilli are more severe on the irradiated group.

      • Ethionine 이 무단백사육흰쥐의 간세포미세구조에 미치는 영향

        한건호,손태중 慶北大學校 醫科大學 1980 慶北醫大誌 Vol.21 No.2

        저자는 단백합성을 저합하는 ethionine이 일정기간 무단백식으로 간세포에 어떠한 영양을 미치는 가를 알아보기 위하여, 건강한 잡종 흰쥐를 10일간 무단백식으로 사육하고 대조군에는 단백이 함유된 보통식으로 사육하였다. 이렇게 한 다음날에 다같이 ethionine을 체중 1gm당 0.5㎎을 복강내에 주사하고 그후 6, 12, 24, 36,48, 60, 72, 및 96시간째에 간을 적출하여 광학 및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그 성적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광학현미경으로는 ethionine 투여후 12시간째부터 지방성 공포가 여기저기에 나와서 48시간째에는 좀더 현저하여져서 그후는 감소하는 경향이다. 이 변화는 무단백식군에서 더 현저하다. 2) 전자현미경으로는 주된 변화가 단백 합성기구들에서 관찰되었다. 즉 RER에 있어서는 층상구조의 감소, 확장, 및 ribosome의 탈락등이, free ribosome에 있어서는 monosome의 증가를, 그리고 Golgi장치에 있어서는 그 위축이 일어났다. 이들 변화중 RER에 있어서의 변화가 가장 먼저 그리고 현저하게 나타났으며 그 정도는 ethionine 투여후 48시간후에는 회복되는 경향이었다. 표준식으로 사육한군과 무단백식으로 사육한 군을 비교하면 무단백식군에 있어서의 상해정도가 더욱 저명하다. 그 밖에 fat droplet은 전 실험기간동안 모두 관찰되었는데, 특히 12 및 24시간째의 무단백식군에서 현저하였다. 3) 이상의 연구성적으로 보아 ethionine은 단백의 결핍 내지 부족한 상태의 간세포의 단백합성 기구들에는 더욱 심한 상태를 주며, 이때 주로 침해되는 소기관은 RER이라 생각된다. To investigate influence of ethionine which inhibits ATP and protein synthesis on the liver cells in protein deficiency, author intraperitoneally administered 0.5mg. of ethionine per gm. of body weight albino rats on the next day after feeding of protein free diet for 10 days. The rats were sacrificed at 6,12,24,36,48,60,72, and 96 hours respectively after ethionine administrat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Light microscopically, fat vacuoles appeared at 12 hours after ethionine administration. It was pronounced by 48 hours and diminished later. This change was more pronounced in groups fed protein free diet. 2. Electron microscopically, characteristic changes were observed in organelles participating protein synthesis. The RER and show diminution of lamellar structures, dilatation, fragmentation, and shedding of ribosomes. Free ribosomes had some increase of monosomes. The Golgi complexes were atrophied. Degradation of RER was the earlist and the most pronouncing among the above changes. But the RER tended to recover from 48 hours after ethionine administration. All changes were more exaggrate in protein free diet group than standard diet. The fatty change was observed over experimental period but more marked at 12 and 24 hours after ethionine administration. 3. From the above results, it is considered that ethionine induces marked injuries on cell organelles participating protein synthesis of liver cells in protein deficiency and mostly injured R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