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Intergenerational Transfers Between Parents and Their Multiple Adult Children in South Korea

        Choi, Saeeun,Kim, Jinhee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2014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 Ecology Vol.15 No.2

        Guided by the exchange model, altruistic model, intergenerational solidarity theory, and cultural contexts, this study explored the determinants of financial intergenerational transfers between older parents and adult children in South Korea. We examined 18,820 parent-child dyads by using random-effects models on the first wave of the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 (KLoSA) data. Findings showed that downward financial intergenerational transfers were consistent with the self-interest exchange model but upward transfers did not support microeconomic theories. Family solidarity theory was generally supported by downward transfers but geographical proximity was not positively associated with upward transfers. Lastly, cultural contextual variables such as marital status, birth order, and sex of a child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Parents tended to both provide and receive more financial support from unmarried children than from married children. Within the same marital status, the hierarchy existed in order of the first-born son, the second or later sons, and daughters when it came to downward financial transfers. Regarding upward financial transfers, the preference in order was more complicated. The findings of this study help in understanding the intergenerational financial transfers in the Korean context.

      • KCI등재

        The Determinants of Geographical Distance between Married Couples and Their Parents

        Choi, Saeeun(최새은),Choi, Seulki(최슬기) 한국인구학회 2020 한국인구학 Vol.43 No.1

        세대간 가족관계가 빠르게 변화하면서 세대간 지리적 근접성도 변화하고 있다. 남편 부모와 동거는 줄어드는 반면, 아내 부모와 동거는 늘어나고 있다. 또한 동거와는 구분되는 근접거주라는 현상도 나타나고 있다. 이 논문은 이러한 변화를 실증적으로 분석함으로써, 한국사회의 세대간 지리적 근접성의 현황과, 그 결정요인을 설명해보고자 하였다. 이 연구는 3차 여성가족패널조사에서 적어도 한 명이상의 노부모를 가진 30~40대 기혼 여성들을 대상으로 다항로짓모형으로 분석한 것이다. 지리적 거리는 30분 이상 떨어져 거주, 30분 이내 근접 거주, 동거라는 세 가지 형태로 유형화하였다. 노부모의 자원과 필요성이라는 측면에서 노부모의 두분 모두 생존여부, 건강상태, 부부 각각의 형제자매수를 고려하였다. 부부에게서는 필요성이라는 측면에서 자녀의 연령, 아내의 취업여부 및 근로시간, 자원이라는 측면에서 남편의 취업여부, 경제력을 고려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아내쪽 부모와 남편쪽 부모에 따라 동거 내지 근접거주를 가져오는 자원과 필요성 요인들간에 차이가 나타났다. 부모의 필요에 따른 동거는 남편쪽 부모에게서 더 강하였다. 비도시지역에 거주할 경우 남편쪽 부모와 동거 내지 근접 거주할 가능성이 더 높았다. 형제자매수에 따른 조절효과도 검증하였다. As intergenerational family relationship is rapidly changing, it is also reshaping geographical distance between generations. The ingrained culture of living together with husband’s parents is decreasing while cohabitation with wife’s parents is increasing. Moreover, as distinct from cohabitation, the new phenomenon called “adjacent residence” has come to the surface.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current situation of geographical distance between generations in the Korean society and its determinants. It analyzed married women in their 30s and 40s with at least one elderly parent from the 3rd Wave of Korean Longitudinal Survey of Women and Families, using the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model. It categorized geographical distance into 3 types: 1) residence more than 30 minutes apart, 2) adjacent residence within 30 minutes, and 3) cohabitation. In the aspect of resources and needs of elderly parents, it considers both elderly parents’ status, their health condition, and each couple’s sibling size. For couples, their children’s age and wife’s employment status/working hours were considered in terms of necessity, and husband’s employment status and economic power in terms of resources. The findings show that wife’s employment status has a positive effect on cohabitation with and geographical proximity to their elderly parents. There is a weak moderating effect of the number of siblings on elderly parents. The association could be different in terms of parent-line. The age of married women is associated with a possibility of living with only husband’s elderly parents. The effect of elderly parents’ needs was found to be stronger among the husband’s elderly parents. The probability of cohabitation/living close to husband’s elderly parents is higher if their married children live in rural areas.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 가족학적 관점에서 바라본 4차 산업혁명 시대

        최새은(Saeeun Choi) 한국가족정책학회 2021 가족정책연구 Vol.1 No.1

        이 글은 제4차 산업혁명 시대의 가족의 미래를 일별하고, 가족학적 관점에서 앞으로 주목해야 할 지점을 제시하는 시론적 성격을 갖는다. 가족학적 관점에서 제시한 다섯 가지의 질문은 첫째, 속도의 시대를 가족은 어떻게 살아낼 것인가? 둘째, 초지능성을 시대를 사는 세대는 어떠한 미래를 꿈꿀 것인가? 셋째, 공적인 것과 사적인 것의 경계는 허물어질 것인가? 넷째, 관계의 상호성은 확보될 수 있는가? 다섯째, 가족의 기능은 ‘보편적으로 평등하게’ 대체될 수 있는가? 이다. 이러한 질문에 대하여 빠른 변화 속도에만 집중할 것이 아니라 가족이 공유한 축적된 시간을 고려할 필요와, 초지능성의 시대에 세대 간 이해와 소통을 높이는 교육이 중요함을 논의하였다. 또한 제4차 산업혁명이 이끄는 융합의 시대에는 가장 사적인 곳에서부터 가장 공적인 질문과 해답이 나올 수 있으므로 가족의 역할에 대한 논의와 실천이 공공성을 갖추는 방향으로 나아갈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제4차 산업혁명 시대에는 가족 간 및 가족 내의 불평등에 대한 정책적 접근이 필요하고 관계형성역량의 중요성이 강조되어야 함을 논의하였다. This paper aims to ascertain the future of the family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from a family scholar’s perspective. It posits five questions on how families can prepare for and respond to rapid changes: 1) How will the family spend their time in a fast-paced era? 2) What attitude to life should future generations adopt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3) Will the boundary between public and private life be maintained? 4) How can reciprocal relationships be secured? 5) Can universally equal replacements for family functions be found? The subsequent discussion focuses on the necessity for family members to learn that their way of life will be very different from the other generations and to recognize the value of shared time with the family in a fast-paced era is considered. Also, as the boundary between public and private life erodes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it is suggested that the discourse surrounding families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in the public sphere. In addition, policies being expedited to support vulnerable families through this period of rapid change and the increasing importance of relationship-building skills.

      • KCI등재

        교사의 관점에서 상실을 경험한 학생과의 상호작용을 위한 탐색적 연구

        최새은(Choi, Saee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8

        본 연구는 교사가 상실경험이 있는 학생들과 상호작용을 할 때의 어려움과 이를 완화할 수 있는 방법을 탐색함으로써 상실을 경험한 학생들이 상처를 회복하고 성장하도록 돕는 데에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네 명씩 구성된 일곱 개의 초점집단면접을 실시하여 총 28명에 대한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교사들이 상실경험이 있는 학생과 상호작용을 할 때 느끼는 어려움은 막막함과 두려움에서 비롯되었다. 막막함은 상실을 경험한 학생에게 어느 정도를 어떻게 지원해야할 지 판단하기 어렵다는 점과 상실을 외부로 드러내는 데에 있어서의 수위를 정하기 어렵다는 점과 관련이 있었다. 두려움은 교사가 의도하지 않게 2차 가해자가 될 수 있다는 점과 시간부족으로 인해 내적 갈등이 생기거나 번아웃될 수 있다는 걱정에서 비롯되었다. 이러한 어려움을 완화하기 위하여 교사들은 막막함을 해소하기 위해 상실과 관련한 구체적인 정보나 자료가 제공될 필요가 있다고 생각했다. 또한, 두려움 해소를 위하여 학생을 둘러싼 환경에 있는 모든 어른들이 연계되어 유기적으로 함께 돌보는 통합적인 지원체계가 구축된다면 도움이 될 것이라고 보았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교사들이 상실을 경험한 학생들과 상호작용을 하는 데에 있어서 논의 사항을 제시하고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밝혔다. The study aims to explore the difficulties and helpful points of interaction with students who have experienced loss from the teacher s point of view. To this end, interviews with seven focus groups of four teachers (a total of 28 teachers) were conducted for analysis.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difficulty of teachers interacting with students who have experienced loss is expressed as vagueness and fear. The vagueness is related to the difficulty of determining how much students who have experienced loss should be supported and the difficulty of setting the level in revealing the loss to the outside world. Fear stems from the idea that teachers can unintentionally become secondary perpetrators and that, in reality, conflicts can arise or burn out due to lack of time. To alleviate this difficulty, teachers first thought that specific information or data related to loss needed to be provided to solve the difficulty. Second, fear relief would be helpful if an integrated support system was established in which all adults in the environment surrounding students with loss were connected and cared for organically together. Based on these analysis results, the study discusses what we need to pay attention to in relation to teachers interacting with students who experienced loss and made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 KCI등재

        이미지 해석을 통한 역사 그림책 교육 방안

        강서희(Choi, Saee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8

        이 연구은 역사 그림책에서 이미지 해석에 초점을 맞춘 교육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역사 그림책은 역사 소설, 역사 동화와 함께 역사적 사건을 배경으로 서사적 진실을 밝혀내고자 하는 장르이다. 그러나 역사 소설이나 역사 동화와 달리 이미지의 미적 사용을 통해 주제 의식을 강화한다. 역사 그림책은 명시적인 글과 달리 이미지를 통해 암시적인 의미를 전달하며, 독자의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해석이 이루어질 수 있는 실마리를 제공한다. 이 연구는 권윤덕의 『나무 도장』을 예시로 삼아 역사 그림책에서 이미지가 서사적 주제 의식을 강화하는 양상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표면적으로는 제주 4⋅3 사건의 전개를 알리며 비극성을 전달하는 것으로 보이나, 이미지의 상징적 의미를 해석하며 이념적 갈등 아래에서는 인간성 상실의 국면이 나타날 수밖에 없다는 보편적 의미를 발견할 수 있었다. 이론적 배경과 양상의 탐구를 바탕으로 이 연구는 교육 원리를 세 가지로 제시하였다. 첫째, 글과 이미지의 표면적 이해를 통한 역사적 사건의 이해, 둘째, 가추법을 활용한 이미지의 상징적 의미 탐색, 셋째, 상호텍스트적 감상을 통한 역사적 이해의 확장으로 제안하였다. 각각의 교육 원리에 대해 Ⅲ장에서 분석한 『나무 도장』을 예시로 그 구체적인 양태를 설명하였다. 이 연구는 역사 그림책에 대한 구체적인 문학교육적 접근 방법을 탐색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n educational way focusing on image interpretation in historical picture books. History picture books are a genre that seeks to uncover narrative truths based on historical events along with historical novels and historical children’s narrative. However, unlike historical novels or historical children’s narrative, the theme consciousness is reinforced through the aesthetic use of images. Unlike the explicit narrative of the text, historical picture books use images implicitly and provide a clue for the reader s active interpretation. Using Kwon Yun-deok s 『Wood Seal』 as an example, this study analyzed the aspect of image reinforcement of narrative subject consciousness in historical picture book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n the surface, it seems to convey the tragedy by notifying the unfolding of the Jeju 4⋅3 incident, but by interpreting the symbol of the image, it was possible to find a universal meaning that a phase of loss of humanity must appear under ideological conflict. Based on the investigation of the theoretical background and pattern, this study presented three principles of education. First, an understanding of historical events through the superficial understanding of texts and images, second, exploration of the symbolic meaning of images using a subtraction method, and third, expansion of historical understanding through intertextual appreciation. The specific aspects of each educational principle were explained using 『Wood Seal』 analyzed in Chapter III as an exampl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explores a specific literary education approach to historical picture books.

      • KCI등재

        가족인권교육 프로그램 체계도 구성을 위한 델파이 연구

        최새은 ( Saeeun Choi ),주현정 ( Hyunjung Joo ),이지선 ( Gisun Lee ) 대한가정학회 2020 Human Ecology Research(HER) Vol.58 No.3

        This study clarifies the definition of and to provides guidelines on educational objectives, core concepts, and content in developing a Human Rights Education Program for families. The Delphi survey method was used to develop a Human Rights Education Program for families. As a result, a Human Rights Education Program for families was defined as education that would ensure all members of the family enjoy universal human rights without discrimination. In addition, that the prejudice and discrimination against socially marginalized would not be created within the family by learning values and attitudes that respects human rights and freedom. The objectives were to learn the merit of respecting individuals, relationships, and community. Core concepts of the program were the rights for myself and others, communicating and responsibilities and a sense of citizenship. Content included human rights, respect of oneself and others, empathetic understanding, acceptance, communication in an intimate relationship, conflict management, sharing the role of caring the family, no discrimination against the socially marginalized, and creating an inclusive community culture. This study can be used as a guideline for family human rights education based on family human rights, which is the core of family democracy.

      • KCI등재

        가족인권교육을 위한 가족인권침해 인식 및 실태

        최새은(Choi, Saeeun),이지선(Lee, Gisen),주현정(Joo, Hyun-J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0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perceptions of general citizens about the seriousness of human rights violations in families and to identify the human rights education needs for familie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n online survey between November 21 and November 28, 2019, from 632 citizens who were 15 years old or older and living in Seoul.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overall perception of the violation of human rights in families in our society was found to be serious . Second, the human rights abuses against the social minorities from each family were recognized as ‘serious’. Third, the human rights education needs for families were generally high for all ten educational subjects, and the human rights education needs related to parent-child relationships were the highest. Fourth, the respondents said that the human rights violations in their own families were not as serious as the overall perception of the situation in our society, but differences by age groups were revealed. Fifth, the prejudice and discrimination against social minorities within the respondents’ families were the most serious in relation to gender, educational achievement, and physical traits 본 연구는 일반 시민들이 가족인권침해의 심각성을 얼마나 느끼고, 관련 교육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지 요구 정도를 파악하고, 실제 가족 내에서 발생하는 인권침해의 실태를 파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서울에 거주 중인 15세 이상부터 60대까지 시민 632명이며 온라인 패널을 구축하고 있는 조사업체에 위탁하여 2019년 11월 21일부터 11월 28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처리는 기술통계와 연구대상의 집단비교를 통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 대한 결과는 첫째, 우리사회의 가족인권침해에 대한 전반적 인식은 ‘심각하다’에 가깝게 나타났다. 둘째, 우리사회의 가족 내 사회적소수자에 대한 인권침해에 대한 인식은 ‘심각하다’로 조사되었다. 셋째, 주제별 가족인권교육의 필요성 인식은 10가지 교육주제에 대하여 각 교육주제별 ‘필요하다’이상의 인식을 나타냈으며, 특히 부모-자녀관계에서의 인권교육 요구도가 높았다. 넷째, 응답자의 가족 내 인권침해 실태는 우리사회 전반적 상황에 대한 인식과 비교해서는 심각하지 않다고 응답하였으나, 연령별 차이가 드러났다. 다섯째, 가족 내 사회적 소수자에 대한 편견 및 차별 실태는 젠더, 학력·학벌과 관련하여 가장 심각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 KCI등재
      • KCI등재

        남성육아휴직의무제를 통한 아빠노동자 탄생에 관한 사례연구

        최새은(Saeeun Choi),정은희(Eun Hee Joung),최슬기(Seulki Choi) 한국가족학회 2019 가족과 문화 Vol.31 No.4

        A기업은 국내 최초로 2017년 1월부터 ‘남성육아휴직의무제’를 도입하였다. 연구진은 이 사례가 기존 남성 육아휴직자 연구에서 한계로 지적된 육아휴직자 선택편향 문제로부터 벗어나고, 개인차원을 넘어선 집단차원의 변화도 살펴볼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이에 해당 제도도입 및 실행과정의 특징과 육아휴직사용자가 경험한 가정과 직장에서 변화를 다양한 자료를 활용한 사례연구를 통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A기업의 ‘남성육아휴직의무제’는 1) 남성 육아휴직을 의무화함으로써 조직내 육아휴직 사용을 빠르게 보편화하였고, 2) 대체근로자 충원없이, 3) 휴직기간은 1개월로 하며, 4) 통상임금 100%를 보장하였다. 또한 5) 출산초기 3개월 이내에 사용을 시작토록 하였으며 6) 부모교육프로그램을 운영한다는 특징을 지녔다. 이러한 특징들은 여성들이 갖는 출산전후휴가에 상응한 ‘아빠출산휴가’로 요약될 수 있다. 또한 육아휴직 경험자들은 휴직기간을 통해 아빠라는 정체성을 새로이 형성하였다. 이들은 복직후에도 ‘아빠노동자’라는 경계횡단자(border crosser)로 등장하여 가족친화적인 기업 문화를 형성하는 데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되었다. 이 연구는 국내 한 대기업집단에서 도입한 남성육아휴직 의무제를 사례연구를 통해 탐색적으로 살펴보았다. 여기에서 발견된 남성 육아휴직의무제의 긍정적 모습들은 ‘일-가정 양립’에 중요한 시사점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company A introduced “mandatory parental leave for fathers” from January 2017 for the first time in South Korea. We tried to explore the process adopting the new system and its effect on family and the company from a variety of research sources. The results show that the parental leave is different from usual spouse parental leave in six points; It is mandatory. There is no substitute. The period is one month. It guarantees the full payment. It should begin within 3 months from the birth. There is educational program called daddy-school. Instead, it is more similar to martenity leave. Then, it may be called ‘paternity leave’. We also found that they developed a new identity as a father. After returning from the leave, they became ‘working dads’ who are border crossers between two boundary - family and work. It is expected that they work for building family-friendly working environment. This study has a limitation that it is a case study from a leading conglomerate in Korea. The findings may not happen from other company in the same way, especially for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But the positive stories of mandatory parental leave for fathers we observed from the case could serve as a hint for work and family bala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