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The Kŭn’gi Namin Faction’s Acceptance of the T’oegye School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Sŏngho School

        SIN Hangsu(신항수) 고려대학교 한국사연구소 2008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History Vol.12 No.-

        이익 가문의 학문은 17세기까지 북인 계열의 윤휴와 상당히 유사하였다. 이하진이나 이잠 형제, 조하주 등은 윤휴와 학문적으로나 정치적으로 매우 밀접한 관계였다. 반면 뒷날 이익이 계승한 인물로 평가받는 허목과는 정치적으로나 학문적으로 거리가 있었다. 이때까지 이익 집안의 학문은 성리학적 흐름과는 무관하였으며, 오히려 주희에 대해 매우 비판적이었다. 이러한 경향은 이후 일변하였다. 1699년 이잠은 정시한을 예방하여 가르침을 받았는데, 이는 퇴계학 수용의 증거이다. 이서는 주희의 경전 해석을 따르면서 이황의 학문을 수용하였다. 이익 단계인 1710년 이후에는 본격적으로 이기심성론과 관련된 저술을 하면서 학파를 개창하기에 이르렀다. 퇴계학을 수용하고 이기심성론과 관련된 성과를 낸 이익은 이제 이황과 자신을 연결하고자 하였다. 1715년에서 1720년 사이 이익은 전대에 거리가 있었던 허목과 이하진의 관계를 강조하면서, 허목을 자신이 사숙한 스승으로 규정하였다. 이러한 시도는 퇴계학으로 자정한 상대적으로 보수적인 근기 남인들에게 수용되었다. 한편 이익은 허목의 후학으로 자정한 이후에도 경전해석이나 경세론 분야에서는 여전히 윤휴의 영향을 받고 있었다. 이에 따라 일부에서는 전통적인 윤휴와의 계통을 강조하였는데, 이들은 상대적으로 개방적인 학문 경향을 보였다. 윤휴를 강조하던 인사들이 신유 박해로 몰락하면서 성호 학파의 학통은 오로지 퇴계학과 관련된 내용으로 전승되게 된다. 정리하자면, 북인계 학문의 전통을 가진 윤휴에게 영향을 받은 성호 학파는 지속적으로 퇴계학을 수용하면서 새로운 정체성을 찾고자 하였으며, 이는 18세기 후반의 정치적 상황 속에서 완성되었다.

      • KCI등재

        박정희 정권기 전통 사상에 대한 인식 변화와 국민윤리 교육

        신항수 ( Sin Hangsu ) 고려대학교 역사연구소(구 역사학연구회) 2021 사총 Vol.102 No.-

        이 글에서는 1970년대를 전후한 한국 전통 사상에 대한 인식 변화와 그것이 교육에 반영되는 과정을 고등학교 국민윤리 과목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쿠데타 이후 박정희는 전통을 부정적으로 평가하였으나, 한일 국교 정상화 이후 민족주체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북한과의 체제 대결에 승리할 수 있는 전통에 주목하면서 전통 사상을 높이 평가하였다. 박종홍은 한국 사상사를 성실본위의 무실사상의 흐름으로 정리하였으며, 국민교육헌장에서 효도를 강조하였다. 이러한 흐름 속에 1970년대에는 3차 교육과정이 고시되면서 민족주체성과 전통이 부각되었다. 3차 교육과정의 핵심으로 부각된 전통은 민주주의와 반공의 근거로 규정되었다. 국민윤리에서 한국 전통사상 서술의 분량도 늘었으며, 공산주의와 서구문화는 민족 전통과 배치되는 것으로 비난받았다. 2차 교육과정에 따른 1971년의 국민윤리 교과서에서는 전통 사상이 갖는 한계를 지적한 반면 3차 교육과정의 국민윤리 교과서는 유교를 중심으로 하는 전통 사상을 오늘날 되살려야 할 유산으로 평가하였다. 1975년에 출간된 국민윤리 교과서에서는 성실과 경애를 한국 전통 사상의 핵심으로 제시하였다. 이것은 박정희 정권의 이데올로그였던 박종홍의 생각이 반영된 것이었다. 1979년에 출간된 국민윤리 교과서에서는 성실과 경애 이외에 충효를 한국 전통 사상의 핵심으로 규정하였다. 3차 교육과정 국민윤리 교과서에 규정된 한국 전통 사상은 실제 한국 유교의 전통과는 거리가 있었다. 오히려 식민지 교육을 통해 주입된 일본 유교의 전통과 국체사상의 개념을 한국의 전통으로 소개하였다. 이것이 박정희 정권기 강조되던 민족주체성의 한 단면이었다. In this article, I examined the changes in perception of traditional Korean thoughts around the 1970s and the process of their reflection in education, focusing on the subjects of high school national ethics. After the coup, Park Chung-hee evaluated the tradition negatively, but after the normalization of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Korea and Japan, interest in national identity increased, paying attention to the tradition that could win the systemic confrontation with North Korea and appreciated traditional thoughts. Park Jong-hong organized the history of Korean thought as a flow of serving in reality ideas based on sincerity[誠實本位 務實思想], and emphasized filial piety[孝] in the National Education Charter. Amid this trend, national identity and tradition emerged as the third national curriculum was announced in the 1970s. Traditions that emerged as the core of the third national curriculum were defined as the basis for democracy and anti-communism. In terms of national ethics, the amount of narration of Korean traditional ideas has also increased, and communism and Western culture have been criticized for being contradicted by national traditions. The national ethics textbook of 1971 according to the second national curriculum pointed out the limitations of traditional ideology, while the national ethics textbook of the third national curriculum evaluated traditional ideology as a legacy to be restored today. In the textbook of national ethics published in 1975, sincerity[誠實] and respect[敬愛] were presented as the core of traditional Korean thought. This reflected the thought of Park Jong-hong, who was the ideologue of the Park Jeong-hee regime. In the textbook of national ethics published in 1979, in addition to sincerity and respect, loyalty and filial piety[忠孝] was defined as the core of traditional Korean thought. The Korean traditional ideas stipulated in the third national curriculum national ethics textbook were far from the actual Korean Confucian tradition. Rather, it introduced the concept of Japanese Confucianism and the idea of japanese national polity ideology[國體論] instilled through colonial education as a Korean tradition. This was an aspect of national identity that was emphasized during the Park Chung-hee regim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