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Role and Importance of Korean Cultural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 A Case Study of Malaysian Universities -

        Rou Seung Yoan,Kim Keum Hyun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2010 한국언어문화학 Vol.7 No.1

        류승완, 김금현. 2010. 한국어 교육에 있어 문화교육의 역할과 중요성 -말레이시아 대학에서의 사례연구-. 한국언어문화학. 7-1. 117-144. 본고는 말레이시아에서의 한국어 교육에 있어 문화 교육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실증적 조사를 통해 알아보는데 중점을 두었다. 한국은 물론 인근 동남아시아 국가들과는 달리 다인종, 다문화, 다종교 국가로 대별되는 말레이시아는 국어인 말레이어 외에도 중국어, 인도어 그리고 영어는 물론 토착민들의 토속어 등 사용언어에 있어서도 다언어 국가로 특징 지워진다. 80년대 중반부터 대학교 선택과목으로 보급된 한국어 교육은 언어구사능력 중심 교육에서 90년대 말부터 서서히 문화 교육을 도입하기 시작한다. 문화교육의 중요성을 인지하고는 있으나 실질적으로 한국어 학습자들이 어떠한 문화교육을 얼마나 필요로 하고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는 데 이 연구의 목적이 있다. 설문 및 인터뷰 방식을 채택, 단계별로 학습자들의 한국어 학습 목적 등에 관한 설문조사와 한국에 대한 지식 및 문화교육에 대한 학생들의 요구도를 조사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세 그룹으로 나누어, 첫 번째 그룹은 한국어를 선택과목으로 수강하는 말레이시아 국립 대학교 학생들, 두 번째와 세 번째 그룹은 말라야 대학교 학생들로서 한국어를 선택과목으로 그리고 전공/부전공으로 하는 학생들을 나누어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는 각 세 그룹 학생들의 문화교육에 대한 인식과 관심이 많은 부분에 있어 일치하고 있음과, 앞으로 말레이시아에서의 한국어 교육에 있어 문화교육의 체계화와 및 비중이 높아져야 함을 제시하고 있다. (말레이시아 국립 대학교, 말라야 대학교)

      • KCI등재

        Female Stereotyping and Gender Socialization through Proverbs and Idioms: A Comparative Study of Malaysia and Korea

        Keum Hyun Kim,Seung Yoan Rou,Tengku Intan Marlina Tengku Mohd Ali,Joseph Kim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2019 Asian Women Vol.35 No.3

        Despite rapid economic growth and social development, women in both Malaysian and Korean societies are still left behind in terms of their social, economic, and political positions compared to women in other countries of equivalent economic standing. In order to better understand the prevalence of gender inequality in both countries, this study, in recognizing the commonly accepted link between gender inequality and religious and socio-cultural context, emphasizes the significance of proverbs as a socializing agent that reflects and reproduces traditional norms and values that perpetuate female stereotypes. In both Malay and Korean societies, proverbs play an important role in upholding important social and cultural values, beliefs, and attitudes through which children learn gender-appropriate behaviors, accept gender assumptions and perspectives, and acquire gender-specific characteristics deeply rooted in the traditions of the society. By examining the depiction of the universal theme of the social role and behavior of women in proverbs, this study compares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the illustrations of women in both Malay and Korean proverbs. In doing so, it aims to analyze how gender stereotypes are created and reinforced through the process of socialization as it takes place within everyday language. Findings will extend our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ship between female stereotypes and gender gaps in society and offer greater insight into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language, culture, and gender.

      • KCI등재

        Impacts of the Korean Wave and the Conundrum of Malaysian Young Female Muslims

        Keum Hyun Kim,Seung Yoan Rou,Wan Kamal Mujani,Mohd Farhan Bin Md Ariffin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2023 Asian Women Vol.39 No.3

        There has been increasingly harsh criticism of the Korean Wave’s negative influence on young Malaysian women and girls since the early 2000s. This resulted from several untoward incidents that triggered the wrath of Malaysian Muslim society. From Muslim society’s point of view, young female Muslims in Malaysia seem to be deviating from Islamic norms and teachings due to the detrimental impact of Korean popular culture. This study examines the impact of Korean popular culture on young female Muslims in Malaysia. It looks, in particular, at whether they are exhibiting i) deviant behaviors, ii) erosion of moral standards, and iii) signs of identity crisis due to the negative influence of certain cultural elements in Korean popular culture that they passionately love. Their predicament was examined from the perspective of anomie through an analysis of data obtained from a survey of 643 female Muslim respondents between the ages of 13 and 40. The findings indicated that the majority of young female Muslims in Malaysia have not yet presented symptoms of anomie, as they are fully aware of the disparity between Korean and Islamic culture and norms. Nevertheless, amidst harsh criticism by the mass media and society of the deviations of some Korean Wave enthusiasts, some teenage respondents displayed uncertainty about the cultural disparity between their own Islamic norms and their beloved Korean culture. To overcome the prevalent skeptical view of the Korean Wave in Muslim society, it is imperative that all stakeholders provide Muslim youth with optimal guidelines and strategies to prevent potential anomie and deviance while ensuring their social, mental, and emotional well-being.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