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冠岳樹木園地域內 荒廢山地土壤의 肥沃化를 통한 綠化促進에 關한 硏究

        李宗學,麻鎬燮,權台鎬,李憲浩,禹保命 서울大學校農業生命科學大學附屬樹木園 1984 서울大學校 樹木園 硏究報告 Vol.- No.5

        冠岳樹木園地域의 山腹斜面은 地質的으로 대보화강암에서 풍화생성된 거친 돌부수러기가 많은 粗砂質壤土로 구성되었으므로 表土層의 土壤流失이 심하여 土深이 대단히 얕거나 岩盤露出이 심하여 林木生長이 심히 不良한 地帶로서,山地의 地力恢復 및 現存하는 散生樹木의 生長力恢復을 通한 山地綠化保全이 시급히 요청되고 있다. 이와같은 요청에 부응하여 荒廢地斜面에 自生하고있는 주요한 4樹種(소나무, 리기다소나무, 노간주나무, 철쭉)에 대하여 山地施肥效果 試驗을 春期와 秋期로 나누어 실시한 결과 樹高 및 直徑生長量에 있어서 無施肥區에 比하여 현저한 施肥效果가 인정되었다. 따라서 冠岳山地帶의 荒廢地를 조속히 復舊綠化하기 위해서는 砂防土木的 工事方法 및 砂防造林的 播植方法이외에도 현존 수목의 保全 및 生長力恢復을 통한 速成綠化方法도 채용되어야 할 것이다. Hillsides in the Kwanak arboretum area were composed mainly of coarse sandy loam having relatively high proportion of rough weathered debris derived from the Daebo granite geologically. Owing to heavy soil erosion resulted to shallow soil depth and heavy rock exposures, the growing trees in this type of surface soil are very poor in their growth. For woody plant vegetation establishment in this montain area, it is urgent to recover the fertility of soil and the growth of existing trees. For this purpose, in spring and autumn season in 1983∼84 the fertilization experiment was conducted with the 4 principal native species(Pinus densiflora, Pinus rigida, Juniperus rigida, Rhododendron schlippenbachii) growing in this denuded forest land, and the effects of fertilized tree plots were more prominent than the control plot in both height and root-collar diameter growth. Therefore, the accelerating measures of vegetation rehabilitation through conservation of existing trees and recovery of tree growth by forest fertilization practices, besides forest engineering measur es and soil erosion control afforestation measures, could be acceptable as the measures for the recovery of denuded forest land in Mt. Kwanak area.

      • 冠岳樹木園地域內 荒廢山地土壤의 肥沃化를 통한 綠化促進에 關한 硏究

        李宗學,麻鎬燮,李憲浩,權台鎬,禹保命 서울大學校 農科大學 1984 서울대농학연구지 Vol.9 No.2

        冠岳樹木園地域의 山復斜面은 地質的으로 대보화강암에서 풍화생성된 거친 돌부수러기가 많은 粗砂質壤土로 구성되었으므로 表土層의 土壤流矢이 심하여 土深이 대단히 얕거나 岩盤露出이 심하여 林木生長이 심히 不良한 地帶로서, 山地의 地力恢復 및 現存하는 散生樹木의 生長力恢復을 通한 山地綠化保全이 시급히 요청되고 있다. 이와같은 요청에 부응하여 荒廢地斜面에 自生하고 있는 주요한 4樹種(소나무, 리기다소나무, 노간주나무, 철쭉)에 대하여 山地施肥效果 試驗을 春期와 秋期로 나누어 실시한 결과 樹高 및 直徑生長量에 있어서 無施肥區에 比하여 현저한 施肥效果가 인정되었다. 따라서 冠岳山地帶의 荒廢地를 조속히 復舊綠化하기 위해서는 砂防土木的 工事方法 및 砂方造林的 播植方法이외에도 현존 수목의 保全 및 生長力恢復을 통한 速成綠化方法도 채용되어야 할 것이다. Hillsides in the Kwanak arboretum area were composed mainly of coarse sandy loam having relatively high proportion of rough weathered debris derived from the Daebo granite geologically. Owing to heavy soil erosion resulted to shallow soil depth and heavy rock exposures, the growing trees in this type of surface soil are very poor in their growth. For woody plant vegetation establishment in this montain area, it is urgent to recover the fertility of soil and the growth of existing trees. For this purpose, in spring and autumn season in 1983~84 the fertilization experiment was conducted with the 4 principal native species(Pinus densifltora, Pinus rigida, Juniperus rigida, Rhododendron schlippenbachii) growing in this denuded forest land, and the effects of fertilized tree plots were more prominent than the control plot in both height and root-collar diameter growth. Therefore, the accelerating measures of vegetation rehabilitation through conservation of existing trees and recovery of tree growth by forest fertilization practices, besides forest engineering measur es and soil erosion control afforestation measures, could be acceptable as the measures for the recovery of denuded forest land in Mt. Kwanak area.

      • KCI등재

        볼커스 현대도예의 형성 요인에 관한 연구

        이헌국(Lee, Heon-Kook),이명순(Lee, Myeong-Soon) 한국조형디자인학회 2003 조형디자인연구 Vol.6 No.2

        Peter Voulkos is one of the outsta nding artist s 111 America n contemporary ceramic art. who has transferred craf t from 'c ra ft as function ' to 'c raf t as ar t.' His philosophy of art as such has been formed by the influences of j apanese thought of Zen Buddhism, the Abstract Expressionism, and Cubism. Insp ired by Zen thought of j apan, he has confirmed that art comes from the mind. and has devoted himself to realization of ' sab i' as a characterist ic of j apanese ceramic art. Meanwhile such a thoug ht of ' sa bi' has been already introduced into America in 1906, which has been reviewed by a Brit ish ceramic arti st. Leach. etc. As a resu lt. Voulkos ' s ceramic art has led to prefer to the effect of chance being free from regularity. symmetry formed by the wheel-thrown method. As for the Abstract Expressionism. Voulkos has used its trend, improv isation and gesture, by which he has been deviated from the past convention to stress the resu lt of a work to a new direction to emphas ize the making process and the arti st' s intuiti on. Thus Voulkos has opened up a new horizon of ceramic art in his work s by stacking the slates, pressing, making the dent s. and using the gla zes producing bubble and crack. He also has used the characteristics of Cubism sugges ted by Picasso, Miro, etc. for his ceramic art. and he, by dest roying three dimensionality of ceramic art by usage of color and line. has come to under st and the energies of color and line in a new vision. In conclusion, I am sure that Voulkos can be recognized as an arti st who largely has devoted himself to establishing a new American aesthetics of ceramic art and destroying the European Romantic tradition in that his art world has been based on Zen thought of Japanese ceramic art being advocated by the Japanese ceramic artist s, Hamada, Yanag i, etc., keeping paces with the epochal background that America has begun to direct to the Oriental philosophy and thought from the early of the 20th century.

      • KCI등재

        고구려계 사비양식 백제토기의 형성 과정과 그 배경

        이명헌 ( Lee Myeong Heon ) 백제학회 2022 백제학보 Vol.- No.39

        ‘고구려계 사비양식 백제토기’란 사비양식 백제토기 중 고구려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제작·사용된 토기를 지칭한다. 대부분 부여, 익산, 공주 등 백제 도성급 유적에서 출토되고, 사비도성 내에서도 중요 유적(왕궁추정지, 왕실 사찰, 관영 공방 등)에서 확인되는 것으로 보아 상위계층이 사용했던 것임을 알 수 있다. 또 일부 의례용으로 사용된 기종(대부완, 이배, 접시 등의 소형기종)을 제외하면 대부분 생활용으로 추정된다. 그리고 주로 회색계열, 정선된 점토 혹은 소량의 첨가제가 혼입된 태토, 연질로 제작되며 타날(선문)을 이용해 성형된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고구려계 사비양식 백제토기와 고구려토기와의 비교를 통해 고구려계 사비양식 백제토기의 형성 과정과 등장 배경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고구려계 사비양식 백제토기의 형성 과정을 3단계로 구분하였다. 1단계는 6세기를 전후하여 일부 고구려계 기종이 확인되는 단계로, 도성(공주) 외 지역에서 소수 확인되며 형태나 제작기법상 5세기대 고구려토기 제작집단과 관련이 깊다. 또 일반적인 고구려계 사비양식 백제토기와는 다르게 격자문 타날의 비율이 높고, 사용자의 위계 역시 높지 않았던 것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특징들로 인해 1단계 토기는 2단계 토기와 출현 경로나 그 성격에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고, 1단계 토기를 사비양식 백제토기로 분류하기에는 무리가 있어 보인다. 2단계는 6세기 중~후엽에 고구려계 사비양식 백제토기가 본격적으로 등장하는 단계이다. 전체적으로 형태나 제작기법이 6세기대 고구려토기와 유사하고, 사비도성 내 국가 중요시설에서 다수 확인된다. 또 중앙 생산된 것으로 판단되며, 사용자의 위계 역시 높다. 이를 통해 기존 견해처럼 사비기에 고구려와의 문화접변으로 고구려토기 문화가 전파된 것이 아니라 국가적인 차원에서 도입·수용했음을 짐작할 수 있다. 3단계는 7세기를 전후한 시점부터 백제 멸망까지로, 고구려계 사비양식 백제토기가 백제 공인들에 의해 제작되면서 고구려토기의 변천 양상과는 상관없이 자체적으로 변화해나가는 단계이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기존과는 다른 사비기만의 독특한 토기 양식을 형성하게 된 것으로 이해해 볼 수 있다. 이어서 고구려계 사비양식 백제토기의 등장 배경은 Peer Polity Interaction 모델을 이용해 해석을 시도하였으며, 한성기에 유행한 적석총과 고구려와 삼연의 문화적 동질성 등의 사례를 참고하였다. 그 결과 두 사례와는 다르게 고구려계 사비양식 백제토기는 비교적 간접적인 상호작용(비물질문화의 전이, 기술의 전달 등)을 통해 형성되었을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추정하였다. 그리고 고구려토기의 생활 편리성은 고구려계 사비양식 백제토기의 성립 이후 해당 양식이 확산 및 발전하는데 있어 하나의 동인으로 작용했을 가능성이 있다. Koguryo style Sabi Baekje pottery refers to a new style of Baekje’s Sabi pottery pottery of a new style that emerged under the influence of Koguryo pottery. The development of Koguryo style Sabi Baekje potteries can be explained in three stages. In Stage 1, which centers around the beginning of the 6th century, potteries were mainly excavated from areas outside the capital (Ungjin). Stage 2, which ranges from the mid to the late 6th century, marks the full-fledged production of Koguryo style Sabi Baekje potteries. In addition, given the fact that the stage 2 potteries are found in the capital and related to 6th-century Koguryo potteries, they are different from the stage 1 potteries in terms of their nature and places of excavation. There appears to be no continuity between the stage 1 potteries and the stage 2 potteries. In Stage 3, which lasted from the beginning of the 7th century to the fall of Baekje, Koguryo style Sabi Baekje potteries began to show its own development trajectories regardless of the changes in Koguryo potteries in the era. Alternatively, this study attempts an interpretation of the formational background of Koguryo style Sabi Baekje potteries using the Peer Polity Interaction model. The analysis showed that Koguryo style Sabi Baekje potteries are estimated to have been formed by indirect interactions (transfer of non-material culture and technology transfer). Meanwhile, the convenience of Koguryo potteries appears to have been one of the causes behind the dissemination and development of Sabi-style Baekje potteries.

      • Chest 검사시 산란선에 의한 Gonad 차폐 전후 선량비교 연구

        신명호(Myeong ho Shin),강헌효(Heon hyo Kang),김민재(Min jae Kim),이상헌(Sang heon Lee),이예나(Ye na Lee),강동원(Dong won Kang) 대한CT영상기술학회 2013 대한CT영상기술학회지 Vol.15 No.1

        목적 Chest CT 검사시 발생하는 산란선에 의해 감수성 높은 장기인 Gonad 부위의 차폐 전후의 평균선량에 대해 비교 연구하였다. 대상 및 방법 Somaton Definition Flash 장비를 사용하여 본원에서 사용하고 Chest Protocol을 이용하여 Rando phantom을 스캔하였다. 먼저 Chest 검사시 정중앙에 RadEye G-10 장비를 위치하여 검사부위의 누적선량을 측정하였다. 그 후, Gonad 부위 차폐 전 전부, 양측부, 후부, Gonad부위의 산란선을 측정하고 Xenolite nolead Apron(0.35 mm PB), Xenolite nolead Apron(front 0.35 mm PB Mix back 0.25 mm PB, Skirt overlap), Half Apron(0.5 mm PB)으로 차폐 후 각각의 누적선량을 측정하였다. 결과 Chest CT 검사시 검사부위의 누적선량은 272μ㏜가 측정되었고, Apron으로 차폐하지 않았을 시에 평균 전부 43μ㏜, 좌측부 81μ㏜, 우측부 82μ㏜, 후부 38.8μ㏜, Gonad부위 16μ㏜로 측정되었다. Xenolite nolead Apron으로 위쪽부분만 차폐하고 측정했을 전부 11.2μ㏜, 좌측부 43.1μ㏜, 우측부 45.3μ㏜, 후부 12μ㏜, Gonad부위 5.2μ㏜로 측정되었다. Xenolite nolead Apron(Skirt overlap)으로 Pelvis 부위를 360° 감싼 후 선량을 측정하였을 때 전부 5.6μ㏜, 좌측부 22.4μ㏜, 우측부 15.7μ㏜, 후부 6μ㏜, Gonad부위 3.2μ㏜로 측정되었다. Half Apron으로 위쪽만 차폐하고 측정했을 때에는 전부 10.7μ㏜, 좌측부 42.6μ㏜, 우측부 40.6μ㏜, 후부 11.3μ㏜, Gonad부위 4.7μ㏜로 측정되었다. 결론 골반부위를 360° 차폐하는 방법이 80% 이상 선량감소를 보였고, 전부 차폐시 70% 이상의 선량감소효과를 보였다. CT를 이용한 모든 검사에 있어 피폭선량 경감을 위한 연구와 차폐가능한 장비를 활용하는 다양한 기법에 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Ⅰ. Purpose On chest study, it is to reduce exposed dose to minimum in man’s Gonad which is not in the examination area. Ⅱ. Meterial and Methods Rando phantom was scaned in somatom definition flash with chest protocol. First of all, redeye G-10 equipment was placed in the middle of chest and then accumulated dose of examination area was measured. Secondly scatter ray were measured at the front back left and right of Gonad region before shielding and then each dose was measured after shielding with Xenolite nolead apron (0.35 mm PB), Xenolite nolead apron (front 0.35 mm PB Mix back 0.25 mm PB, skirt overlap), Half apron (0.5 mm PB). Ⅲ. Result Accumulated dose of examination region was measured at 272μ㏜ in the chest examination. It was mean front 43μ㏜, left 81μ㏜, right 82μ㏜, back 38.8μ㏜, and Gonad 16μ㏜ without any shielding around Gonad. The accumulated dose had front 11.2μ㏜, left 43.1μ㏜, right 45.3μ㏜ back 12 μ㏜ and Gonad 5.2μ㏜ with the xenolite nolead apron shielding which covers front of pelvis. The dose was front 5.6μ㏜, left 22.4μ㏜, right 15.7μ㏜, back 6μ㏜ and Gonad 3.2μ㏜ after 360° shielding on pelvis with xenolite nolead apron (skirt overlap). It was front 10.7μ㏜, left 42.6μ㏜, right 40.6μ㏜, back 11.3μ㏜ and Gonad 4.7 μ㏜ of front left right and Gonad respectively after only front shielding with half apron. Ⅳ. Conclusions 360° shielding method around pelvis shows dose reduction of over 80%. In addition, only front side shielding shows dose reduction of over 70%. It is necessary to reduce radiation dose to the patient by shielding the region besides the examination area.

      • Water Jet Peening에 의한 SUS 304의 경도에 관한 연구

        이미헌(Lee Mi-Heon),서병훈(Seo Byung-Hun),나승한(Na Seunghan),정성균(Cheong Seong Kyun),이명호(Lee Myeong-Ho) 한국철도학회 2009 한국철도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09 No.11월

        Material properties of the metal surface can be changed by Water Jet Peening, which uses highly pressurized water. The effect of water jet peening(WJP) on the hardness of SUS 304 is investigated in this study. The specimen was cut into 40 × 40 × 10 ㎜ and polished on one side. Two different methods were used to investigate the change of hardness on the surface of SUS 304. Water Jet Peening(WJP) and Water Cavitation Peening(WCP) methods were used to examine the difference of hardness. The distance between specimen and nozzle was also changed as an important parameter. The hardness data were examined by 40 micro meter interval. The results show that the hardness distribution is different depending on peening methods and peening distance. Water Jet Peening seems to be a good method to increase the hardness of metal surface and further research work on WJP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practicality.

      • KCI등재후보

        만성간질환 환자에서의 B-림프구 기능에 관한 연구

        이명극 ( Lee Myeong Geug ),강원권 ( Kang Won Gwon ),김민범 ( Kim Min Beom ),박철신 ( Park Cheol Sin ),이헌영 ( Lee Heon Yeong ),김삼용 ( Kim Sam Yong ),이복희 ( Lee Bog Hui ) 대한내과학회 1990 대한내과학회지 Vol.38 No.6

        N/A To investigate the B-cell function in patients with chronic liver diseases, a peripheral blood T-cell subset, a delayed type skin reaction, serum levels of IgG, IgA, IgM and in vitro production of IgA, IgG were studied in patients with chronic liver diseases(10 cases of chronic hepatitis, 12 cases of liver cirrho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percentage of peripheral blood suppressor T-cell(CD8 positive) decreased in patients with chronic hepatitis(p<0.05). 2) The results of delayed type skin reaction with CMI test showed no difference between normal subjects and patients with chronic liver diseases. 3) Serum IgG, IgA and IgM levels increased in patients with chronic hepatitis and in patients with liver cirrhosis(p<0.05). Serum IgA levels in patients with liver cirrhosis showed the most prominent increase(330% of control). 4) Unstimulated in vitro IgA production from peripheral blood mononuclear cell lymphocytes was higher in patients with liver cirrhosis(p<0.05). IgA production stimulated with pokeweed mitogen was not different from that of the normal control subjects. IgG production stimulated with pokeweed mitogen was lower in patients with liver cirrhosis(n=5)(p<0.05, Wilcoxon rank sum test).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indicate that there is no major defect in cellular immunity in patients with chronic liver diseases and that the B cells in patients with chronic liver disease are polyclonally activated in vivo. In patients with liver cirrhosis, the IgA-producing B cells seem predominently activated in comparison with the IgG-or IgM-producing B-cells.

      • KCI등재
      • KCI등재

        고구려 토기를 통해 본 연천 은대리성의 활용 연대

        이명헌(Myeong Heon Lee) 한국상고사학회 2024 한국상고사학보 Vol.123 No.123

        본 연구에서는 은대리성에서 출토된 고구려 토기에 대한 검토를 실시하여 은대리성의 활용 연 대를 추정해 보고자하였다. 검토 결과 은대리성 출토 양이부호는 중국지역과 남한지역(원주 건등 리 유적 출토품 제외)에서 지금까지 동일한 형태가 확인되지 않았으며, 남한지역에서 동시기(5세 기 중후반) 양이부호들과의 형태 차이가 명확히 관찰되었다. 이러한 형태의 차이는 당시 토기 제 작 집단이 달랐던 것으로 추정하였고, 그 차이의 원인은 시기차이로 판단된다. 그리고 은대리성 양이부호는 고구려의 남진 과정 중 현지에서 제작되었던 것으로 추정되는데 이에 대한 근거로 토기 표면에서 확인되는 타날흔과 주변 재지계 유적에서 출토된 토기들과의 유 사성을 들 수 있다. 또한 남한지역 출토 양이부호의 경부 형태를 4가지로 구분하여 I형부터 IV형 까지 형태에 따른 편년을 시도한 결과 은대리성 양이부호는 II형의 경부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그 시기는 4세기 말에서 5세기 초로 판단된다. 따라서 은대리성 출토 토기가 4세기 말에서 5세기 초로 판단되는 만큼 기존 인식과는 달리 장수왕보다는 광개토왕의 남진과 관련이 깊은 것으로 추정하였고, 이를 검증하기 위해 은대리성의 장수왕대 활용설에 대한 검토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은대리성이 장수왕의 남진 과정 중 축조되었다고 보기 힘든 여러 문제점이 확인되었는 데, 첫째, 장수왕의남진과정중축조된다른관방유적은목책으로조성되었다는점, 둘째, 은대 리성 출토 양이부호와 5세기 중후반대 양이부호와의 형태 차이가 두드러진다는 점, 셋째, 성 내부 에서 고구려 시기로 판단되는 유구가 거의 확인되지 않았다는 점, 넷째, 동일한 곳에 입지한 은대 리성과 전곡리 목책유구와의 관계를 고려해 볼 때 은대리성의 축조 필요성이 낮다는 점 등이 있다. 이후 은대리성이 광개토왕의 남진 중 축조되었다면 어떻게 활용되었을지 고찰해보았다. 은대리 성은 군사적인 목적으로 축조한 것으로 보이며, 409년 광개토왕이 국동에 축조했다는 6개의 성 중 하나로 언급되는 경우가 있었는데, 고고학적으로 검토한 결과 국동 6성과는 관련이 없는 것으 로 판단된다. 그리고 최근 4세기 말에서 5세기 초의 고구려와 백제의 접경 지역이 예성강 이남에서 임진강 이북에 형성되었을 것이라는 연구 결과가 주목되는데 본고에서 파악한 은대리성의 고고학적 정황 이 이헤 부합한다. 따라서 은대리성은 광개토왕이 남진 과정 중 군사적 목적으로 축조했지만 접경 지역이 예성강 이남에서 임진강 이북으로 형성되면서 임진·한탄강 유역은 공백지가 되었고, 이곳 에 위치한 은대리성은 축조할 당시의 목적을 이루지 못하고 폐기된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construction period and nature of Eundaeri Fortress through the analysis of Koguryo pottery excavated from Eundaeri Fortress. The pottery with pots with bridge-shaped handles excavated from Eundaeri Fortress was locally produced during the process of Koguryo's expansion southward. Notable differences in form were observed when compared to contemporaneous (mid-late 5th century) pots with bridge-shaped handles, indicating variations in the pottery-making groups. Therefore, it is believed that the period in question can be dated from the late 4th century to the early 5th century. Eundaeri Fortress is closely associated with King Gwanggaeto's expansion southward. We examined the role of Eundaeri Fortress during King Gwanggaeto's southern expansion in 409. While Eundaeri Fortress has been mentioned as one of the six fortresses constructed by King Gwanggaeto in ‘Gukdong,’ archaeological evidence suggests that it is unrelated to the ‘Gukdong 6 fortresses.’ Additionally, when the border region of King Gwanggaeto's domain is defined as south of the Yesungang River and north of the Imjin River, the archaeological context of Eundaeri Fortress, as discovered in this study, aligns with this geographical demarcation. Therefore, it is inferred that King Gwanggaeto constructed Eundaeri Fortress for military purposes during the southern expansion, but it was abandoned without achieving its intended objectives at the tim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