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초 연약지반 안정의 소요시간 추정기법에 관한 연구

        이종보,이광열,송무효 東義大學校産業技術開發硏究所 1998 産業技術硏究誌 Vol.12 No.-

        Dredged soils used in coast reclamation are soft clay that have different characteristics, depending upon the sites. In this study, the consolidation behavior of the soft clay are analyzed by conducting consolidation tests. Also, results by the test are compared with those of numerical analysis of "LRSC" equation to assess predictions of the consolidation settlement. Dredged soils used in this study are the expendable clay with the coefficient of peameability in the range of 6.1×10-7∼5.0×10-5cm/s, and a long term consolidation settlement calculated by "LRSC" equation showed higher values than experimental results. From the column tests, it is found that the maximum excess pore pressure takes place at the lower part of the column and this unusual phenomenon is supposed to be affected by the self-consolidation process.

      • SCOPUSKCI등재

        한국 재래식 된장과 고추장의 숙성 중 미생물, 효소활성 및 주요 성분의 변화

        이종수,권수진,정성원,최영준,유진영,정동효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 ( 구 한국산업미생물학회 ) 1996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Vol.24 No.2

        재래식 된장과 고추장의 가스 발생을 억제하여 저장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생물공학적 방법을 개발하고자 먼저 재래식 된장(봄메주 된장과 가을메주 된장)과 고추장(순천식)을 제조하여 4개월간 숙성시키면서 미생물과 효소활성 및 주요 성분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호기성 세균은 된장과 고추장 모두 숙성 60일까지 증가한 후 큰 변화가 없었고 혐기성 세균은 숙성기간 동안 된장에서는 10^7~10^8/g, 고추장에서는 10^5~10^6/g이었으며 효모는 된장에서는 숙성 15일까지 급격히 증가한 후 변화가 없었으나 고추장에서는 숙성 15일에 출현하여 60일까지 10^6/g으로 증가하였다. α-amylase 활성은 가을메주 된장에서, glucoamylase는 고추장에서 숙성기간 전반에 걸쳐 제일 높았고 산성 protease와 중성 protease 활성은 대체로 숙성 15일~30일경에 최대를 보였다. pH는 된장에서는 숙성 60일까지 7.0까지 높아졌지만 고추장은 숙성기간 내내 pH 5.0으로 낮아졌다. 수분은 봄메주 된장과 고추장에서 숙성이 진행됨에 따라 낮아져서 숙성 120일 후 40%이었으며 환원당은 고추장에서 숙성 15일까지 19.9%로 증가한 후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Changes in microorganisms, enzyme activities and major components of two types of Doenjang prepared with spring Meju and autumn Meju and Kochujang were investigated during 5 months of fermentation. The viable cell counts of aerobic bacteria in Doenjang and Kochujang were increased up to 60 days of fermentation, but viable cell counts of anaerobic bacteria did not show remarkable changes during fermentation. Viable cell count of yeast showed a rapid increase up to 15 days of fermentation in Doenjang and 60 days in Kochujang. It was found that α-amylase activity of autumn Meju Doenjang and glucoamylase activity of Kochujang were higher than the other. Acidic and neutral protease showed the highest activity during 15~30 days of fermentation. The pH of Doenjang was increased up to pH 7.0 until 60 days of fermentation, but pH of Kochujang gradually decreased during fermentation. Moisture content of spring Meju Doenjang and Kochujang decreased to 40% during fermentation and reducing sugar content of Kochujang increased up to 15 days of fermentation, but decreased after that.

      • KCI등재

        ULSI 금속배선용 구리의 전착

        이동녕,김기범,최창희,이효종,민석홍 대한금속재료학회(대한금속학회) 1998 대한금속·재료학회지 Vol.36 No.10

        The microstructural evolution of Cu films deposited by electroplating was investigated with the variation of the deposition rate from 0.1 ㎛/min to 3 ㎛/min by using a copper sulfate solution. Electrodeposition of copper was conducted on 0.1 ㎛ or 0.5 ㎛ thick copper seed layer deposited by sputtering process. The growth characteristics were investigated by monitoring the surface microstructure, electrical resistivity and chemical composition. The feasibility of electroplating process for ultra-large-scale integration(ULSI) metallization scheme was demonstrated through preferred crystallographic growth direction, resistivity and step coverage. The uniform Cu film was successfully electroplated at deposition rates from 0.5 to 3 ㎛/min and its continuous growth on the copper seed layer was observed in every specimen. The resistivity of as-deposited copper film made at deposition rates from 0.5 to 3 ㎛/min was about 2.5μΩ-㎝ and subsequent annealing in a vacuum at 200℃ for 2 min reduced it to 2.3μΩ-㎝.

      • WO_3의 환원-탄화에 있어서 Zeolite NaX, HX, KX의 특성에 따른 영향

        이동활,이종대,박영효,박노국,이태진 한국공업화학회 2003 응용화학 Vol.7 No.1

        The effect of the Zeolite HX,NaX, and KH prepared by ion-exchange method, on the reduction-carburization of WO_3 was studied This study was performed at thetemperature range from 300℃ to 735 ℃ with CO gas. The produced gas, CO_2, was analyzed by mass spectroscopt The addition of the Zeolite HX, NaX,and KX into WO_3 increased the efficiency of the reduction-carburization of WO_3 and Zeolite HX with the strongest acidity was the most effective on redution-carburization among them. The Zeolite HX, NaX, and KX improved the oxygen mobility of WO_3 and the acidity of the Zeolite was directly related to the increasing efficiency of reduction-carbuization of WO_3.

      • 임파세포분화항원 CD5의 C-말단부위의 유전자 클로닝 및 세포내 CD5-특이적 결합단백질의 규명

        이희종,김효준 한양대학교 이학기술연구소 2002 이학기술연구지 Vol.4 No.-

        A Iymphocyte surface marker, CD5 is expressed in pan-T cells and certain B cell sub- populations such as Bla cells which secretes natural autoantibodies and malignant B cells as in chronic Iymphocytic leukemia (B-CLL). For the reasons that the cell-type specific expression patterns and that the immunoreceptor tyrosine-based activation motif (ITAM) containing cytosolic region of the molecule, CD5 was considered to be involved in a probable cellular signal transductions for the Iymphocyte activations. In order to shed light on the cellular signal transdcutions for the Iymphocyte activation. In order to shed light on the cellular function of the CD5, the gene for cytosolic region of the molecule(cd5_(cyt)) was cloned and the intracellular protein that interacts with CD5 cytosolic region(CD5_(cyt)) was investigated using yeast two hybrid system. Among them a clone, 27-2, harvested 1.2 kb inserts. Partial deoxyribonucleic acids sequences of 120 bp were read out from clone 27-2, preserntly. Amino acid sequences deduced from the DNA sequences revealed that it might be a G-protein like milecule which is unknown from human but showed 61% of homology with the ADP-rebosylation factor l-directed GTPase from C. elegans under the BLAST comparisons. Therefore, it might be suggersted that the CD5 mediated signal transduction may be a G protein-dependent pathway. 임파세포특이 항원인 CD5는 T cell의 경우 모든 sub-population에서 발현되고 있으나 B cell의 경우에는 natural autoantibody를 생산하는 Bla cell population 및 자가면역항체 생성 B cells, B cell Iymphoma 등의 특수한 minor population에서만 발현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세포 특이적 발현 양상과 함께 94개의 amino acids로 이루어진 CD5의 cytoplasmic region에는 immunoreceptor tyrosine-based activation motif (ITAM)가 존재하여 임파 세포의 세포 내 신호전달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CD5분자를 매개한 면역담당세포의 신호전달체계를 규명하고 더 나아가 CD5의 세포 내 기능을 분자수준에서 규명하기 위하여 CD5의 cytoplasmic domain에 해당되는 유전자를 분리하였고 이와 CD5와 세포내 상호작용을 이루는 CD5특이적 결합 단백질을 yeast two hybrid system을 이용하여 검색하였다. Selected clone중에서27-2로 명명한 clone의 insert 크기는 1.2 kb였으며, 확인한 유전자서열은 129 염기로 단백질 1차 구조를 유추하여 BLAST로 검색한 결과 C. elegans의 G protein의 하나인 ADP-ribosylation factor 1-directed GTPase와 61%의 homology를 보였으나, human에서는 대응하는 단백질이 보고되지는 않았다. 세포내 CD5-특이적 결합단백질로 GTPase로 예상되는 새로운 단백질을 밝힘으로 CD5의 signal transduction이 G protein-dependent pathway일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 마그네틱 베어링 타입 터보분자펌프 컨트롤러의 제작

        이효종,이성준 한국기술교육대학교 2003 論文集 Vol.10 No.1

        Turbo Molecular Pump(TMP) is a kind of vacuum pump for high vacuum applications, which is widely used in the semiconductor industry. Since TMP typically requires more than 30,000 rpm of rotational speed, magnetic bearing (MB) shows much better performance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mechanical bearing for TMP systems. MB holds its rotor without any mechanical contacts and it does not require any lubrication method. This makes MB adequate for ultra-high speed or clean environment applications like semiconductor FAB or aerospace industry. MB type TMP controller is organized with three parts, i.e., a MB controller, a motor driver, and a processor for controlling the whole system. We implemented a controller for a commercial TMP and succeeded to run the system up to 30,000 rpm of rotational speed.

      • KCI등재

        인터넷 메타데이타 검색 및 관리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이원석,박경용,양영종,정효택,김순용,이규철 한국문헌정보학회 1997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31 No.2

        인터넷은 디지탈 형태의 다양한 정보를 신속하게 전달한다는 점에서 매우 각광을 받고 있다. 그러나, 대량의 인터넷 정보 중에서 자신이 원하는 정보 자원을 정확하게 많이 얻어 낼 수 있는 방법의 제공은 매우 어려운 문제이다. 본 논문에서는 인터넷 정보 자원의 메타데이타를 관리하기 위해 SeriCore라는 SGML 형식의 메타데이타 DTD(Document Type Definition)를 정의하고, 이들 메타데이타를 효율적으로 저장하고 검색,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을 설계, 구현하였다 The Internet has gained popularity because ot provides various information in digital format. However, it is very difficult to provide methods which make it possible to search adequate information resource from bulk of Internet information. In this paper, we define a SGML metadata DTD, named SeriCore, and design and implement a metadata retrieval and management system which can store, retrieve and manage the Internet metadata efficiently

      • Clozapine과 Haloperidol이 흰쥐의 미상피각과 측좌핵에서 Proenkephalin, Protachykinin 및 Proneurotensin의 유전자 표현에 미치는 영향

        이종범,조희중,임효덕 대한생물치료정신의학회 1995 생물치료정신의학 Vol.1 No.1

        Clozapine의 약리장용기전을 보다 구체적으로 밝혀보기 위하여, in situ hybridization의 방법을 이용하여 clozapine과 전형적 항정신병약물인 haloperidol의 장기 투여(28일간)가 흰쥐 미상피각 및 측좌핵에서 pENK, pTAK, pNT의 유전자 표현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pENK 유전자 표현에 미치는 영향 대조군의 경우 미상피각 및 측좌핵에 많은 pENK-mRNA 함유신경세포가 관찰되었다. Haloperidol 투여군의 경우 대조군에 비하여 미상피각에서 pENK-mRNA 함유신경세포들이 유의한 숫적증가를 보였으며(P<0.05). 측좌핵에서는 pENK-mRNA 함유신경세포의 유의한 숫적증가는 관찰되지 않았으나 pENK-mRNA 함유신경세포상의 은입자수의 유의한 증가가 관찰되었다(P<0.05). Clozapine 투여군의 경우 대조군에 비하여 미상피각 및 측좌핵에서 pENK-mRNA 함유신경세포의 수 혹은 pENK-mRNA 함유신경세포상의 은입자수의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2. pTAK 유전자 표현에 미치는 영향 대조군의 경우 많은 pTAK-mRNA 함유신경세포가 미상피각 및 측좌핵에서 관찰되었으며 미상피각에서는 외측부에서 내측부보다 더 많은 pTAK-mRNA 함유신경세포를 함유하고 있었다. Haloperidol 투여군의 경우 대조군에 비하여 미상피각에서는 pTAK-mRNA 함유신경세포의 유의한 숫적감소(P<0.05) 및 pTAK-mRNA 함유신경세포상의 은입자수의 유의한 숫적감소가 관찰되었다 (P<0.05). 측좌핵에서도 대조군에 비하여pTAK-mRNA 함유신경세포의 유의한 숫적감소(P<0.05) 및 pTAK-mRNA 함유신경세포상의 은입자수의 유의한 숫적감소가 관찰되었다(P<0.05). Clozapine 투여군의 경우 대조군에 비하여 미상피각 및 측좌핵에서 pTAK-mRNA 함유신경세포의 수 혹은 pTAK-mRNA 함유신경세포상의 은입자수의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3. pNT 유전자 표현에 미치는 영향 대조군의 경우 pNT-mRNA 함유신경세포는 미상피각에서는 매우 드물게 관찰되었으며 측좌핵의 경우 대조군에 비하여 미상피각 및 측좌핵에서 pNT-mRNA 함유신경세포 및 이들 세포상의 은입자수의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고, clozapine 투여군의 경우도 대조군에 비하여 아무런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는 clozapine을 장기투여할 경우, ENK, TAK 및 NT의 합성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음으로써, clozapine은 dopamine계나 dopamine계와 관련이 많은 GABA계, acethylcholine계와는 무관한 기전으로 작용하며 따라서 extra-dopaminergic system과의 관련성이 보다 중요한 기전임을 시사하고 있다고 하겠다.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clarify pharmacological action mechanisms of clozapine(atypical antipsychotics) compared with haloperidol(typical antipsychotics). The author observed the level of proenkephalin(pENK) mRNA, protachykinin(pTAK) mRNA and proneurotensin(pNT) mRNA in the caudate putamen(CP) and nucleus accumbens(NA) of the rat with in situ hybridization histochemistry after chronic treatment for 28 days with haloperido(1mg/kg) and clozapine(20mg/kg).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Haloperidol induced the elevated level of pENK-mRNA in CP and NA, but clozapine made no significant changes in the level of pENK-mRNA in both areas. 2) Haloperidol decreased the level of pTAK-mRNA in CP and NA, but clozapine made no significant changes in the level of pTAK-mRNA in both areas 3) The level of mRNA was not changed in CP and NA after chronic administration of haloperidol or clozapine.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longterm phamacological action mechanisms of clozapine were not related with the dopaminergic system and might also be unrelated with GABA system and Ach system, which have close connections with the dopaminergic system. So, clozapine is suspected to have a more important effect on the extradopaminergic system.

      • KCI등재

        기관지천식 환자의 정신신체의학적 특성 : Focused on Alexithymia 감정표현불능증을 중심으로

        이종명,김상헌,임효덕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96 신경정신의학 Vol.35 No.1

        본 연구는 감정표현불능증적 성격 경향이 정신신체질환을 가진 환자들의 고유한 성격적 특성인지를 알아보기위해, 단일 신체 질환인 기관지천식 환자군에서 지금까지 알려진 여러 가지 도구들을 사용하여 감정표현 불능증을 중심으로 한 정신신체의학적 특성들을 확인해보고자 하였다. 정상군(30명), 기관지천식 환자(30명), 정신분열증 환자(30명) 그리고 신경증 환자(33명)를 대상으로 하여 각 장애를 가진 환자들의 감정표현불능증적 경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정신의학적 면담과 BIQ, MMPI-A, TAS, 주제통각검사를 실시하였고, 각 군의 특징적인 성격 경향 그리고 내재하는 정신병리를 확인하기 위하여 MMPI와 SCL-90-R을 시행하였다. MMPI와 SCL-90-R에서 각 군은 정상 범위안에 있었는데, 신경증 환자군의 정신병리의 수준이 가장 높았고 정상군이 가장 낮았다. 기관지천식 환자군과 정신분열증 환자군은 양 극단 사이의 중간 수준을 보여주었다. BIQ 평균점수에서 기관지천식 환자군이 정상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으며(p<0.05), 다른 군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MMPI-A 평균점수 및 TAS 전체 합산 점수 모두에서 각 군은 정상군과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주제통각검사에서 신경증 환자군은 가장 많은 정동 어휘를 기록하였지만 정상군과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는데 비해, 기관지천식 환자군과 정신분열증군 환자군보다 유의하게 많은 정동 어휘 수를 기록하였다(p<0.0001). 즉 기관지천식 환자군은 감정표현불능증적 경향이 주제통각검사에서는 신경증 환자군에 비해서 유의하게 많고(p<0.001), BIQ에서는 정상군에 비해서 유의하게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나(p<0.05), TAS, MMPI-A 검사 상에서는 정상군을 포함한 다른 대조군들과 유의하게 구분되지 않았다. 이러한 소견에 따라 본 연구는 감정표현불능증이 기관지천식 환자군만의 특징적 성격 특성이라는 추정에 대한 확실한 답을 얻지는 못하였지만, BIQ는 정상군과 정신신체질환군을 변별하는 데, 그리고 주제통각검사는 신경증군과 정신신체질환군간의 관계를 변별하는 데에는 유용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대상의 수가 적고 보다 다양한 정신신체질환을 대상으로 하지 못하였다는 제한점을 가지고 있지만, 다음과 같은 4가지 연구 방향을 결론 내릴 수 있을 것이다. 첫째 향후 정신신체의학 연구에 있어서 다양한 집단 속에 존재하는 감정표현불능증을 감별해내는 데 있어서 각 도구들이 가진 특정한 변별 특이성을 고려하여 단일 도구가 아닌 각 도구들의 집합체를 종합적으로 이용해야 할 필요성, 둘째 향후의 연구로서 대규모 임상연구에 의한 정신신체질환과 정신병적 상태와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셋째 외국 검사 도구들의 국내 임상에의 적용 과정에서 보다 철저한 신뢰도 및 타당도 검증과 한국화에 대한 연구 그리고 국내 독창적인 도구의 개발, 넷째 감정표현불능증적 경향이 실재로 정신신체질환에만 특정적으로 존재하는 성격적 소인이 아닐 가능성과 이런 방향으로의 국내 정신신체의학 연구 등이 그것이다. 앞으로 다양한 정신신체질환에서 감정표현불능증과 다른 정신과적 질환과의 관계에 대한 다각도의 연구와 함께 한국적인 상황에서 감정표현불능증을 평가하는 보다 신뢰성 있고 타당성 있는 도구의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is designed to evaluate psychosomatic characteristics, especially alexithymic tendency, of the patients with bronchial asthma and to determine whether alexithymia is a unique personality characteristic of the patient with classical psychosomatic disorder, using various methods developed for measurement of alexithymia. Thirty normal healthy persons, thirty patients with extrinsic bronchial asthma, thirty schizophrenic patients, and thirty-three neurotic patients were studied to assess differences in alexithymic tendency using the methods of thirty minute psychiatric interview, BIQ, MMPI-A, TAS and TAT. They were also assessed by MMPI and SCL-90-R to evaluate general personality traits and underlying psychopathology. All the groups were in the normal range of the scores of MMPI and SCL-90-R. The neurotic patients showed the highest level of psychopathology, and the normal group the lowest in both inventories. Bronchial asthma and schizophrenic patients, were between the highest and the lowest extremes of the scores. The mean score of BIQ in the bronchial asthma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in the normal group(p<0.05) and no difference was found among the other groups. The mean scores of MMPI_A and the total scores of TAS showed no difference among all the groups. In TAT the neurotic patients scored the highest in affect word counts and showed significantly higher counts than ther bronchial asthma patients and schizophrenic patients(p<0.0001), while they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with normal persons. That is, in TAT the group of bronchial asthma had more alexithymic tendency than that of the neurotic patients(p<0.0001), and in BIQ it had more alexithymic tendency than that of normal(p<0.05). Bronchial asthma patients were found to express less emotional words than normal persons and neurotic patients, but were not differentiated any more from groups of the schizophrenic, neurotic, and normal by TAS and MMPI-A. The authors with the inconsistent results of this study, could not confirm the assumption that alexithymia is the personality characteristic of patients with classical psychosomatic disease. But we found that BIQ was useful in discriminating between the groups of normal and psychosomatic disease, and TAT was useful in discriminating between the groups of neurosis and psychosomatic disease with alexithymia construct. This study has some limitations in the number of subjects and the diversity of psychosomatic diseases, but in spite of those limitations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some considerations are needed for further investigation. They are as follows: First of all, a study on the need of the combination of multiple tools in consideration of the specific discriminating ability of each tool ; secondly, a clinical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ychosomatic diseases and the psychotic state in a large population ; thirdly, a study on the applications of foreign tools in the Korean culture and on the problem of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such tools ; and a study is needed on the possibilities that alexithymic tendecy is not a specific predisposing factor of personalities with psychosomatic disorder. It is thought that more variegated studies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diverse psychosomatic diseases and alexithymia, and on the development of reliable tools with validity in the measurement of alexithymia in the context of the Korean culture should be taken in further investigations.

      • 자발성 뇌간 혈종(출혈) 5예 : Especially in Midbrain, in Pons, and in Ponto-mesencephalon

        이현개,호종수,이승재,박효일 인제대학교 1982 仁濟醫學 Vol.3 No.4

        자발성 뇌간 혈종은 흔하지 않으며 특히 중뇌에 생긴 자발성 혈종은 대단히 드물다. 뇌간에 생긴 혈종은 생긴 장소와 크기에 따라서 다양한 신경학적 증상과 vital sign의 변화를 보인다. ocular sign 및 vital sign의 변화와 의식상태 등에 의해서 뇌간 혈종의 위치를 식별할 수도 있다. 뇌간 혈종이 있는 환자를 치료하는 중에 환자의 의식상태는 혈압과 밀접한 관계를 보이며 수축기 혈압이 140mmHg이거나 이보다 약간 높은 상태에서 비교적 안정될 때는 환자의 의식이 호전되었고 강하시에는 의식의 악화를 보였으며 또한 혈압에 따라 이외의 신경학적 증상의 변화를 보였다. 본 교실에서는 Brain CT에 의해서 자발성 뇌간 혈종 5예, 즉 중뇌 혈종 1예, 뇌교 혈종 2예 및 뇌교-중뇌 혈종 2예를 경험하였다. Spontaneous brain stem hematoma is not common, especially spontaneous midbrain hematoma is extremely rare. Brain stem hematoma leads to variable neurological deficits and wide variations of vital signs correspending to its location and volume. It is possible to localize the hematoma in the brain stem by means of changes of ocular signs and vital signs, and the level of consciousness. During treatment of the patients with brain stem hematomas we found that the level of patient's consciousness was closely related to the level of blood pressure. At or slightly above 140mmHg of systolic pressure the patient's consciousness was markedly improved, but the decreased systolic pressure caused its deterioration. Also according to level of blood pressure other neurological findings were slightly variable. We hove experienced five cases of spontaneous brain stem hematoma which were diagnosed with brain CT. They were a case of midbrain hematoma, two cases of pontine hematoma and two cases of pontomesencephalic hematom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