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에밀 졸라의 『대지La Terre』와 「5인선언Manifeste des Cinq」

        이정환(Junghwan LEE) 프랑스학회 2023 프랑스학연구 Vol.- No.103

        La Terre d'Émile Zola, sorti en 1887, marque la quinzième entrée dans la série Rougon-Macquart par une très forte polémique dont l'illustration la plus connue est un article intitulé le “Manifeste des Cinq”. Alors que celui-ci est représentatif de tout le processus de réception du roman - lequel contribua même à la construction de l'identité de La Terre - , de nos jours, l'étude zolienne ne s'intéresse malheureusement pas à ce processus. Celui- ci va être éclairci par notre étude qui mène une enquête aussi qualitative que quantitative s'intéressant à l'interrelation de trois moments charnières dans la réception de La Terre : le 17 mai 1886 (première annonce du roman à venir) ; le 29 mai 1887 (début de la livraison du roman en feuilleton d'un quotidien, Cil Blas) ; le 18 août 1887 (parution du “Manifeste des Cinq” dans le Figaro). Nous montrons dans cette étude comment les interactions joumalistico-littéraires se construisent en général, en particulier le cadrage médiatique, pour que La Terre puisse prendre sa place dans le paysage médiatique français du XlXᵉ siècle. 에밀 졸라의 『루공-마카르 총서』 소설들 중에서도 1887년 작 『대지Lα Terre』는 「5인선언Manifeste des Cinq」으로 대표되는, 작품에 대 한 논란으로 유명하다. 본 연구는 『대지』의 정체성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지만, 현재 졸라 연구에서는 다소 소홀한 대접을 받는 작품의 당대 매체 수용과정에 주목하였다. 본 연구는 『대지』가 최초로 소개된 1886년 5월 17일, 일간지에 소설이 연재되기 시작한 1887년 5월 29일, 「5인선언」이 나온 1887년 8월 18일, 이렇게 세 시기를 중심으로 작품과 작가를 둘러싼 프랑스 언론의 반응을 양적, 질적으로 조사하였다. 이를 통해 소설 『대지』의 매체적 존재감 형성 과정과 프레이밍 과정음 밝힘으로써, 「5인선언」을 둘러싼 『대지』의 ‘언론-문학 상호작용’에 관하여 자세히 알아본다.

      • KCI등재

        1997년 외환위기와 일본

        이정환(Junghwan Lee) 연세대학교 동서문제연구원 2016 동서연구 Vol.28 No.4

        1997년 외환위기의 전개과정에서 일본의 금융권과 일본정부는 한국의 정책결정자들이 기대했던 것과는 달리 협조에 미온적으로 대응하였다. 본 논문은 한국의 외환위기 전개과정에서 나타나는 한일관계의 성격을 일본의 내적 동학을 중심으로 살펴보고 있다. 일본 금융권의 자금 회수는 한국 외환위기의 주요 원인으로 여겨지고 있다. 일본 금융권의 이러한 선택은 한국기업들의 연쇄부도와 이에 맞물린 한국 금융기관들의 부실화에 대한 자연스러운 대응으로 파악될 수도 있지만, 직접투자와 생산네트워크의 발전이 더디었던 한일 양국 사이 경제협력의 특성으로 인해 증폭되었다. 한편 당시 한국의 정책결정자들은 일본정부가 나서서 한국으로부터의 여신회수를 서둘지 말 것을 일본 금융권에 ‘행정지도’를 해주기를 기대하였지만, 이는 일본 금융시스템 내에서 ‘행정지도’의 성격과 당시 일어나고 있던 일본금융행정의 변동에 대해서 이해가 높지 않았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Japan’s financial institutions and the Japanese government had passively responded to the Korean policy-makers’ wishes on their helps when Korea faced financial crisis in 1997. This article examines Korea-Japan relations in the development of Korea’s financial crisis, focusing on Japan’s internal dynamism. Japan’s financial institutions’ withdrawal of their lending to Korea, a crucial factor of Korea’s financial crisis, originated from their calculation on priority. Korea was placed low priority because Korea and Japan has not developed significant complementarity in direct investment and production system. Also, the Korean policy-makers misunderstood the ‘administrative guidance’ in Japan’s financial system and its own transformation.

      • 내열변형을 고려한 프런트 필라 트림의 리브패턴 설계에 관한 연구

        이정환(Junghwan Lee),전지환(Jihwan Chun),김종만(Jongman Kim),김영삼(Youngsam Kim),류승수(Seungsoo Ryu),김해룡(Haeryong Kim),서명원(Myungwon Suh) 한국자동차공학회 2007 한국자동차공학회 춘 추계 학술대회 논문집 Vol.- No.-

        In the development period of interior plastic parts of vehicle, the heat cycle test is an essential procedure to be confirmed. It is important to obtain the material properties for thermal deformation analysis under the various temperature conditions. Especially, creep data of plastic material was introduced to study the time-dependent deformation behavior of the pillar trim in heat cycle test. The time-hardening version of the power-law creep model was applied to account for the permanent deformation after heat cycle test, verified through the comparison of test result with FEA result for simple model. In this study, we also developed a methodology to design the rib pattern of A-pillar trim. Nonlinear finite element analysis has been implemented and integrated with sensitivity analysis method to minimize the thermal deformation at the areas of interest.

      • KCI등재

        중국 북송대 물아(物我) 관계에 대한 재정립과 미적 태도: 구양수와 소식의 즐거움(樂)과 우의(寓意)를 중심으로

        이정환 ( Lee Junghwan ) 한국미학회 2016 美學 Vol.82 No.3

        중국 북송대에 구양수와 소식에 의해 문장의 주제에 대한 외연의 비약적 확장이 이루어졌다. 이들은 기존의 사대부 문화에서는 찾아보기 힘든 다양한 사물과 사건으로 그 관심의 영역을 확대하였다. 이러한 변화의 기저에는 전통적인 물아(物我)관에 대한 근본적인 재정립이 자리하고 있었다. 불교와 도가와 별도로 고대로부터 북송 당시까지의 유가적 전통 속에서도 외부 사물을 주체의 마음을 매몰시키려는 대상으로 상정하는 경계적 물아관이 큰 줄기로 이어졌다. 이에 대해 구양수는 외부 사물에 대한 적극적 관심과 주체의 내적 즐거움(樂)의 상태가 양립가능함을 일관되게 표명하였다. 이를 이어 소식은 보다 근본적인 입장에서 이러한 양립가능성을 주관의 대상에 대한 단절이나 대상에 의한 주체성의 매몰이라는 양극단과 차별하여 “우의”(寓意)라는 일종의 대상에 대한 적절한 태도의 가능성을 통해 설명하고자 하였다. 즉 외부 사물에 대한 적극적인 관심자체가 문제가 아니라 그것을 대하는 주체의 태도의 적절성이 관건이라는 것이며, 이 우의로 대표되는 새로운 외부 사물에 대한 태도는 스톨니쯔가 정의한 미적 태도와 상당한 유사성을 가진다. In the Northern Song, the boundary of literary subjects was greatly expanded by Ouyang Xiu and especially by Su Shi. They extended the area of their interests to a variety of things and affairs, which had been rarely discussed by literati. Such a cultural change took place under the fundamental re-establishment of the subject-object relation. Apart from Buddhism and Daoism, the view that external things tend to overwhelm the mind of a subject had long been rooted in the Confucian tradition as well. Opposing to this view, Ouyang consistently proclaimed the compatibility between enthusiastic interests in and attention to external things and the inner state of pleasure. On this vein, Su Shi sought to concretize a specific kind of attitude towards things with the idea of “yuyi” (lodging one’s interest and attention to things). The point is that what matters does not consist in one’s expression of interests toward external things but in the very attitude of a subject directed toward things. This idea of Su Shi in many respect resembles “aesthetic attitude” defined by Stolnitz. The idea on this special attitude was discussed mainly in relation to the creation, appreciation, and collection of works of painting and calligraphy, thus making discourse on painting and calligraphy be more widely incorporated into the realm of literati culture. Additionally, such an aesthetic attitude on the basis of the re-established the subject-object relation caused the cultural pursuit of the followers of Ouyang and Su conflicted the Zhu Xi’s philosophy, which put stress on cognitive interests and moral rigidity in the relation.

      • KCI등재

        이시하라 신타로(石原慎太郎)와 2012년 센카쿠 분쟁화의 일본 국내 정치과정

        이정환(Junghwan Lee)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2018 아시아리뷰 Vol.8 No.1

        2012년 일본 정부에 의한 센카쿠 열도 세 섬의 국유화 결정은 중일 관계 악화의 결정적 계기가 되었다. 2010년 센카쿠 분쟁이 중국 측에서 촉발된 성격이 강한 반면에, 2012년 센카쿠 분쟁은 일본의 국내 정치과정에서 초래되었다. 2012년 센카쿠 분쟁화 사례 분석에는 신고전현실주의 관점에서 일본의 국내 정치적 요인이 어떻게 일본의 대중 정책에 영향을 주었는지 분석하는 것이 유용하다. 2012년 센카쿠 분쟁화는 일본 내에서 이시하라 신타로에 의해 촉발되었다. 이시하라 신타로는 ‘저자세 외교’에 대한 일본사회의 반발 심리를 동원하여 노다 요시히코 정권의 대중 정책에 제약을 주었다. 노다 정권은 이시하라의 도발에 대응하기 위해 어쩔 수 없이 현상변경이 아닌 현상유지 차원의 국유화를 선택했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국유화의 결정은 노다 정권의 정책결정자들이 중국 위협 인식에 기반을 둔 대중 균형 전략에 정책선호를 지니고 있었기 때문에 가능하였다. 즉, 2012년 센카쿠 국유화의 일본 정치과정은 이시하라의 일본 정부에 대한 비판론과 노다 정권 지도부의 대중 균형 전략 선호가 서로 맞물려서 진행된 것으로 파악될 수 있다. The Japanese government decided on the policy of nationalization of the Senkaku Islands in September of 2012, which escalated conflict between China and Japan. While the Senkaku dispute in 2010 originated mostly due to the Chinese government’s aggressive measures, the 2012 dispute was triggered from the Japanese side. In this regard, Neo-classical realism is more useful for explaining the case of the 2012 Senkaku dispute because Japan’s domestic narratives had been more critical. Ishihara Shintaro’s suggestion of buying these islands, while getting strong support from the Japanese society, provided limited policy options for the Noda Cabinet. However, because the Cabinet’s key policymakers have policy preferences for a balanced approach toward China, the nationalization dispute was escalated.

      • KCI등재

        순차적 실험계획법과 인공신경망을 이용한 제한조건이 없는 문제의 최적화 알고리즘 개발

        이정환(JungHwan Lee),서명원(MyungWon Suh) 대한기계학회 2008 大韓機械學會論文集A Vol.32 No.3

        The conventional approximate optimization method, which uses the statistical design of experiments(DOE) and response surface method(RSM), can derive an approximated optimum results through the iterative process by a trial and error. The quality of results depends seriously on the factors and levels assigned by a design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new technique, which is called a sequential design of experiments(SDOE), to reduce a trial and error procedure and to find an appropriate condition for using artificial neural network(ANN) systematically. An appropriate condition is determined from the iterative process based on the analysis of means. With this new technique and ANN, it is possible to find an optimum design accurately and efficiently. The suggested algorithm has been applied to various mathematical examples and a structural probl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