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약용식물인 야우 (Colocasia antiquorum Schott ) 의 주년재배에 관한 연구

        이종일,JongIllLee 한국자원식물학회 1991 한국자원식물학회지 Vol.4 No.2

        남부지방에서 무가온 하우스 및 터널등 피복재료로서 재배형을 달리하여 조기생산의 가능성을 구명하고자 본 시험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하우스내의 반촉성 재배 결과 7월 30일 조기수확이 가능하였으며, 특히 멀칭 + 터널구에서는 엽병수확이 1,600kg/10a을 생산할 수 있었고, 괴경수량도 700kg/10a 수확이 가능하였다. 2. 조숙재배의 1차 (8월 30일) 수확은 멀칭터널구가 엽병수량 4,200kg/10a, 괴경수량 1,900kg/10a을 생산할 수 있어 다른 수확에 비히여 크게 증수되었으며, 2차 (9월 30일) 수확에서도 멀칭과 멀칭 + 터널구가 괴경수량은 현저하게 배수되었다. 그러나 괴경수량은 8월 30일 보다 감소되는 경향으로서 조기재배는 8월 하순경이 식물체 지하부의 생장최성기가 되었다. 이상 결과로 보아 하우스내에서 야우을 3월 상순 안식할 경우 7월 하순경에 초기생산을 할 수 있었으며, 오역에서 조숙재배로 8월하순 조기생산을 할 수가 있어서 약용식물로 조기공급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se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to test the possibility of produciilg taro earlyplanting culture growing them in polyethylene vinyl house and/or polyethylene tunnneland/or polyetllylene mulching without any supplenmentary heat. Out of various combin-ation of the method of using polyethylene film, Plenty more of taro in polyetllylenehouse+tunnel+mulching on the 5th of March showed the clear possibility that tarocould be harvested on middle of july, which was harvested 3 months earlier thanwhen growing in the open culture . Therefore, it is concluded that taro could be grownas an early crop by using polyetlene film.

      • KCI등재

        전남지역 한약자원식물 수집분류 및 이용체계에 관한 연구 |. 모후산 한약자원 식물분포조사

        이종일,JongIllLee 한국자원식물학회 1988 한국자원식물학회지 Vol.1 No.1

        전남지역에서 3대 명산중의 하나인 모후산 지역에 분포되어 있는 한약자원식물을 수집 및 분류하여 약용작물로 재배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이 지역의 한약자원 식물의 분류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bullet$ 모후산에 분포되어 있는 한약자원 식물은 58과 230종으로 분류되었다. $\bullet$ 분류수종중 초본류는 질경이, 차조기, 쇠무릎, 우엉, 사삼, 반하, 하수오, 결명자, 용담초, 맥문동, 하고초, 산삼, 도라지, 둥글레, 참마, 칡, 대계등 17종과 대본류는 인동초, 참으아리, 방기, 목퉁, 엄나무, 구기자, 산수유, 밤나무, 매화, 인진호, 희첨, 지유, 초오등 13종이 한약재료로 많이 사용되는 것들이었다. The Plants medicinal resources of Mt. Mohu were investigated 12 times from July 1, 1987 to July 28, 1988. In order to analyze the vegetation of Mt. Mohu area,herb plants structure and distribution. Herb plants of Mohu Mt. consisted of 58families, 230 species in all. The resources of important herb drugs were plant-aginaceae, Labiatae, Amarantaceae, Campanulaceae, Asclepiaclaceae, Leguminosae,Gentianaceae, Liliaceae, lilicaceae, Dioscoreaceae, Compositae, Caprifoliaceae,Ranuncvlaceae, Lauraceae, Lardizabalaceae, Araliaceae, Solanaceae, Cornaceae,Fagaceae and Rosaceae. The herb drugs were comparatively more than in othermountains in our count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