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CMS에서 전력제어를 위한 AGC의 성능 개선에 관한 연구

        이원구,이철희,천종훈,박수봉,박종안,신용길 조선대학교 동력자원연구소 1996 動力資源硏究所誌 Vol.18 No.1

        CDMA 시스템에서는 이동국이 Open-loop 전력제어 및 Close-Loop 전력제어를 할 때 비 선형적인 AGC의 특성으로 인해 수신기의 감도가 현저히 낮아진다. 본 논문에서는 AGC의 비선형적인 특성 곡선값을 S/W로 선형화 시켜 RAS RAMDATA를 생성하고 이를 RAS RAM에 넣어 선형적으로 보상된 AGC특성을 얻는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실험을 통하여 그 유효성을 증명한다. In CDMA system, the sensitivity of receivers is lowered significantly due to characteristics of non-linear AGC when the mobile station implements open-loop power control and closed-loop power control. In this paper, We propose a algorithm that obtains linearly conpensated AGC characteristic by inserting the RAS RAM DATA in RAS RAM, which linearizes the value of non-linear characteristic graph in AGC by S/W, and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s the validity.

      • 90˚ 분기덕트 내의 유속 및 압력분포에 관한 연구

        이행남,박길문,이종구 朝鮮大學校 機械技術硏究所 2001 機械技術硏究 Vol.4 No.2

        The velocity and pressure distributions in a bifurcated duct are investigated experiment. Physical properties such as mean velocity vectors, mean vorticity and total pressure distributions are obtained for three different Reynolds numbers(578, 620, 688) using PIV measurements and CFD analysis. Also, two different dividing duct(90°) was selected for experimental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would be useful to the engineer in designing the flow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on, air conditioning and wastewater purification plants.

      • KCI등재

        직무 스트레스 평가를 위한 측정도구 개발 및 표준화 연구(Ⅱ) : 인구통계학적 변인의 영향 및 규준 수립 Demographic Variables and Norm

        이동수,김지혜,한우상,우종민,강동우,고영건,연병길,김이영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99 신경정신의학 Vol.38 No.6

        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Osipow와 Spokane(1992)의 직무 스트레스 모형에 기초한`직무 스트레스 검사(Occupational Stress Inventory)`를 표준화하고 규준을 작성하기 위해서 성별, 연령, 직업기간, 직종 등의 인구통계학적 변인에 따라서 직무 스트레스의 경험이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분석을 실시하고, 이에 따라 규준을 작성하였다. 방 법: 한국직업사전 직업분류에 따라서 7개 직종군의 805명(남성 76.5%, 여성 23.5%)에게 직무 스트레스 검사를 실시하였다. 성별, 연령, 연봉, 직업기간, 일반직종, 직급 차이, 일반직/특수직, 사무직/근로직에 따라 직무 스트레스의 경험과 반응이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살펴보았다. 이후, 이러한 결과에 기초하여 남성, 여성 집단 각각의 규준을 작성하였다. 결 과: 1) 남성과 여성은 직무 스트레스의 경험, 스트레스에 대한 반응, 대처 행동에서 서로 차이가 있었다. 전반적으로 여성은 직무 자체의 특성에 따른 스트레스 수준이 높았는데, 남성집단에 비해 역할 불충분(RI), 역할 모호성(RA), 사회적 지지(SS), 직무 긴장(VS) 척도의 수준이 높았으며, 남성은 여성에 비해 역할 과부하(RO), 책임감(R) 척도의 수준이 높았다. 2) 다음으로 연속변인으로 측정한 연령, 연봉, 직업기간과 직무 스트레스와의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일반적으로 연령이 많고, 연봉이 높고, 직업에 종사한 기간이 길수록 직무로 인한 스트레스와 그에 따른 문제가 적고, 적절한 대처자원을 가지고 있었다. 3) 일반적인 직종에 따라서 직무 스트레스의 경험에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연령, 연봉, 직업기간을 통제한 공변량분석(ANCOVA)을 실시하였는데, 남성집단, 여성집단 모두에서 일반적인 사무직종 내에서는 직무 스트레스의 경험이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동일한 직종 내에서 직급에 따른 고유한 효과는 없었다. 다음으로 일반 사무직종 이외에 경비회사 직원, 직업군인(장교)과 같은 특수 직종에 종사하는 사람들의 직무스트레스 경험이 일반 회사원과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공변량분석을 실시하였을 때, 직종간 유의미한 차이가 존재하였으며, 일반 사무직과 기능 근로직에 대한 비교에서도 직종에 따른 차이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일반 사무직종 내에서 직종에 따른 직무 스트레스 경험의 차이는 적지만, 특수직종과 기능직을 비교하였을 때는 직종에 따라서 전반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앞선 분석결과에서 가장 의미 있는 차이가 나타난 변인인 성별을 기준으로 한국판 직무 스트레스 검사의 규준을 작성하였다. 결 론: 직무 스트레스에 대한 개인의 경험과 반응은 성별, 연령, 연봉, 직업기간, 직종, 직급 등의 여러 인구통계학적인 변인에 따라 서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한 개인의 스트레스 경험과 반응을 객관적으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 개인의 인구 통계학적인 특성에 대한 폭넓은 탐색이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한편, 본 연구를 통해서 개발된 규준을 이용하여, 개인의 스트레스 경험을 상대적으로 비교할 수 있으며, 검사의 결과를 적절한 임상적 개입을 위한 지표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s: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demographic variables on the job stress experience and established the norms of the Korean version of Occupational Stress Inventory. Methods: The normative group consisted of 805 adult workers who represent seven major job class in Korea. K-OSI were administered to normative group and data were analyzed by subjects demographic variables. Results: To explore the effects of demographic variables on K-OSI, we considered several factors such as age, sex, duration of employment, job class, job position and so 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We found significant sex difference in K-OSI. Compared with men, women showed higher scores in Role Insufficiency, Role Ambiguity, Social Support, Vocational Strain Scales and men showed higher scores in Role Overload, Responsibility Scales. 2) Generally, a person who was older, earned higher salary, more duration of employment experienced job stress and had more coping resources. 3) In general, white-collar workers, job classes and job position had little effects on job stress. But other workers such as security guards, military officers were different from general white-collar workers in K-OSI. Conclusions: Because men and wome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K-OSI, we constructed norms according to sex. K-OSI would be an useful instrument to identify one`s job stress experience and develop intervention plan.

      • 신경회로망(LANG)을 이용한 인쇄체 한글 인식

        이종국,이태주,남인길 대구대학교 산업기술연구소 1992 産業技術硏究 Vol.11 No.-

        In this paper, a recognition system for Printed Korean Character is proposed. Next to decomposing into three subpattern for a character with subpattern decomposition algorithm proposed by our Lab., it extracts directional codes of a phoneme by Rule Base System and then recognizes a character with Neural Network. Optimal codes of a phoneme is obtained by applying rule based on seven basic strock types to each strocks and processing two-stage translation, that is deletion for input noise and insertion for loss. For a character recognition, extracted direction codes are presented as input to Neural Network(LANG, mode).

      • KCI등재

        소아정신과 환자의 임상적 고찰 : 부산의 한 사립종합병원의 외래 및 입원환자의 경험

        이채일,김정기,김종길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85 신경정신의학 Vol.24 No.3

        1978년 1월 1일부터 1983년 12월 31일까지 만 7년간 본원 신경정신과 외래를 방문하였던 소아환자 986명, 입원환자 76명을 대상으로 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신경정신과 외래 총 신환자 9326명중 소아환자는 986명으로 10.57%를 차지하였다. 입원환자의 경우 총 2,247명중 소아환자는 76명으로 3.36%였다. 2. 형제순위는 맏이가 37.59%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중간과 막내가 각각 28.71%였다. 3. 발병후 내원시 까지의 기간은 6개월이상이 41.48%로 가장 많았고 1주이내 19.22%, 2개월에서 6개월이 17.35%의 순서였다. 4. 동반보호자의 어머니가 74.21%로 가장 많았고 부모 9.21%, 아버지 8.76%, 형제 3.04%의 순서였다. 5. 주소는 두통 19.59%, 신체증상 17.89%, 경련 9.25%, 수면장애 8.03%의 순서였다. 6. 진단은 외래의 경우 신경증 30.08%, 특수증상군 16.67%, 간질 12.89%, 정신지체 5.80%의 순서였으며 입원환자의 경우 신경증 53.32%, 일과성 상황장애 9.21%, 간질 14.47%, 정신분열증 10.53%의 순서였다. 7. 치료에 대한 반응은 투약하에 관찰한 경우가 73.36%였는데 투약없이 관찰만 한 경우보다 병원을 방문한 횟수가 유의있게 많았다. Clinical study was done for the children who visited Department of Neuropsychiatry, Maryknoll Hospital, Pusan, Korea, from Jan. 1, 1978 to Dec. 31, 1983.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first visiting childhood outpatients occupied 10.57% of all the first visiting psychiatric outpatients, and 3.31% of all the psychiatric inpatients were children. 2. Viewing the sibling order of the outpatients, the eldests were 35.59% of them, and the middles and the youngests were 28.71% respectively. 3. Most of the first visiting outpatients(41.48%) came to the hospital more than 6 months after onset. 4. The frequent chief complaints for which the first visiting outpatients sought medical help were headache, followed by somatic symptoms, convulsions, sleep disturbances, bizarre behaviours, in order. 5. Almost all the patients were accompanied by their mothers. 6. Among the outpatients, the most frequently encountered disease entity was neurosis, and then special symptoms, epilepsy, mental retardation, in order of frequency. Among the inpatients, the diagnosis of neurosis was also the most frequent one, followed by transient situational disturbances, epilepsy, schizophrenia, in order. 7. The number of visiting the outpatient clinc was greater in the patients whose medication were prescribed, compared with the patients whose medication were not prescribed.

      • 敎育刑思想에 淵源한 現行刑罰制度의 考察

        李浩鍾,崔根爀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1983 碩士學位論文集 Vol.1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goes this; It is to find out the process of the educational punishment completion, to distinguish education from the educational punishment and to look for what kinds of existing system based upon the educational punishment system. The results from this paper go these: 1. In these days, if becomes important to distinguish punishments in according to the kind of punishment and the quality of it in order to personalize it and socialize the criminals. 2. The thought of the educational punishment is that people believe the nature of punishment is education. 3. The thought of the educational punishment aims at improvement the criminal's nature by education. 4. But only the education of the criminals is not sufficient for making them socialize and therefore there must be nation's systematic quarantee and it is necessary for nation to control the social environments. 5. In our country among the educational punishment systems, there are a stay of sentence system, probation system, parole system, amercement system, an indeterminate sentence system, disposal of maintenance of public security system, a stay of prosecution. 6. According to the essence of the punishment, there has been two trends, "The punishment is a nemesis," and "The punishment is an education". Nowadays, it has been impossible for us to seek the value and the meaning of the punishment without understanding the essence of it as an education. The theory that believes the essence of the punishment as an education is Liepmann's "Theory of the educational punishment". 7. The theory of the educational punishment is a basic theory which lays the importance for the prevention of the future crime.

      • KCI등재

        직무 스트레스 평가를 위한 측정도구 개발 및 표준화 연구 (Ⅰ) : 신뢰도와 타당도 Reliability and Validity Study

        이동수,김지혜,한우상,우종민,강동우,고영건,연병길,김이영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99 신경정신의학 Vol.38 No.5

        연구목적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실정에 적합하게 직무 스트레스(job stress)를 측정하고자 Osipow와 Spokane(1992)의 이론적 모형에 기초한 직무 스트레스 검사를 개발하고, 그 신뢰도 및 타당도를 검증할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방 법 : Osipow와 Spokane(1992)의 이론에 근거하여 한국판 직무 스트레스 검사(The Korean Version of Occupational Stress Inventory)를 제작하였다. 문항분석을 거쳐 최종적으로 직무 역할(Occupational Role Questionnaire ; ORQ), 개인적 긴장(Personal Strain Questionnaire ; PSQ), 개인적 자원〕(Personal Resource Questionnaire ; PRQ) 등 세 가지 하위 영역의 총 140문항으로 검사를 구성하였다. 한국직업사전의 직업분류에 기초하여 총 7개 직종군의 805명(남성 76.5%, 여성 23.5%)에게 검사를 시행한 뒤 직무 스트레스 척도의 신뢰도 및 타당도에 대한 연구를 실시하였다. 결 과 : 1) 직무 스트레스 검사의 신뢰도에 대한 분석에서 직무 역할(ORQ), 개인적 긴장(PSQ), 개인적 자원(PRQ) 각 하위 영역에 대해서는 .89∼.92 14개 하위 척도에 대해서는 .70∼.88의 높은 내적 일관성 신뢰도계수 α를 얻을 수 있었다. 8주 간격으로 검사-재검사를 실시하였을 때의 신뢰도 계수는 .62∼.79였으며, 2개 언어 사용자를 대상으로 한국어판 검사와 영어판 검사를 모두 실시하였을 때의 상관 계수는 .82∼.96으로 나타나서 전반적으로 높은 수준의 신뢰도를 확인하였다. 2) 타당도 분석에서 개인이 경험하는 직무 스트레스의 수준은 대처 자원과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γ=-.29)를 나타냈고, 스트레스로 인한 긴장과는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γ=.69)를 나타냈으며, 개인의 대처 자원은 스트레스로 인한 긴장과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γ=-.40). 전체 직무 스트레스 검사에 대한 요인분석 결과, 전반적인 스트레스 요인과 그에 따른 반응, 스트레스에 대한 개인의 대처기술, 스트레스에 대한 개인의 심리적, 신체적, 행동적 반응 등 세 가지 요인이 추출됨으로써, 이론적 모형에 따른 구성타당도가 입증되었다. 결 론 : 본 연구에서 개발된 검사는 그 높은 신뢰도와 타당도가 입증됨으로써, 직장인의 직무 스트레스 경험을 체계적으로 이해하는 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는 도구임이 확인되었다. 향후 직무 스트레스의 구체적 원인과 그 대처방법을 규명하고 나아가 직무 스트레스와 각종 정신적 신체적 질환의 관련성을 과학적으로 평가함으로써, 스트레스로 인해 고통받는 일반 직장인 및 환자의 치료에 기여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Objectives : The present study explored the reliability and the validity of our newly constructed job stress scale, the Korean version of the Occupational Stress Inventory(K-OSI). Methods : Through preliminary item-analysis, we constructed 140 items of the Korean version of Occupational Stress Inventory(K-OSI). K-OSI consists of three subscales measuring three sections, 'ORQ'(Occupational Role Questionnaire), 'PSQ'(Personal Strain Questionnaire), and 'PRQ'(Personal Resource Questionnaire), respectively. The normative group consisted of 805 adult workers who represented six major job classes in Korea. Results : The internal consistency coefficients of 'ORQ', 'PSQ', and 'PRQ' ranged from .89 to .92, and of those 14 subscales ranged from .70 to .88. The test-retest reliability coefficients of 8 week duration ranged from .62 to .79, and bilingual's consistency coefficient ranged from .82 to .96. The validity of the K-OSI was investigated by factor-analysis, yielding 3 factors of overall job stress and its responses, personal stress coping, psychological, physical, and behavioral responses of job stress. Conclusion : The present results indicate that the K-OSI is a reliable and valid measure of job stress.

      • 강제치환 거동특성에 관한 원심모형실험

        이종호,박병수,정길수,유남재 강원대학교 산업기술연구소 2003 産業技術硏究 Vol.23 No.A

        This thesis is results of centrifuge model experiments to investigate the behavior of replacement method in dredged and reclaimed ground For experimental works. centrifuge model tests were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behavior of replacement method in soft clay ground. Basic soil property). tests were performed to find mechanical properties of clay soil sampled from the southern coast of Korea which was used for ground material in the centrifuge model tests Reconstituted clay ground of model was prepared by applying preconsolidation pressure in 1g condition with specially built model container. Centrifuge model tests were carried out under the artificially accelerated gravitational level of 50g Replacing material of leads having a certain degree of angularity was used and placed until the settlement of embankment of replacing material was reached to the equilibrium state. Vertical displacement of replacing material was monitored during tests. Depth and shape of replacement. especially the slope of penetrated replacing material and water contents of clay ground were measured after finishing tests Model tests of investigating the stability of embankment after backfilling were also performed to simulate the behavior of the dike treated with replacement and backfilled with sandy material. As a result of centrifuge model test. the behavior of replacement, the mechanism of the replacing material being penetrated into clay ground and depth of replacement were evaluated

      • KCI등재
      • 지도자의 경쟁가치리더십과 선수만족 및 인지된 경기력의 관계

        김종욱,양용길,이정수,장갑석,정종환 한국스포츠리서치 2004 한국 스포츠 리서치 Vol.15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s among competing value leadership, athlete satisfaction and performance in sport field, The instrument for data collection was a questionnaire in which competing value leadership consisted as identified by Ha(1996), athlete satisfaction consisted as identified by Che(1997), and performance consisted as identified by An(2002), 350 subjects were selected from universities in Seoul by the stratified cluster sampling method, Among these selected subjects, 322 responded, and data analyses consisted of employing descriptive statistics, one-way ANOVA, multiple-regression using SPSS/PC version 11.0. First, competing value leadership and athlete satisfaction differ statistically and partially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variables of athletes, Second, athlete satisfaction and performance statistically and significantly is influenced by competing value leadership of leader, Third, athlete satisfaction statistically and significantly influence performance of athlet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