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Prediction of Contralateral Occult Malignant Nodule in Patients with Unilaterally Confined Papillary Thyroid Carcinomas

        Sang Wook Jo,Ha Kyoung Park,Tae Kwun Ha 대한갑상선-내분비외과학회 2018 The Koreran journal of Endocrine Surgery Vol.18 No.3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presence of contralateral occult malignant foci (OMF) among patients who confined unilateral papillary thyroid carcinomas (PTCs). Methods: From January 2010 to December 2012, we retrospectively evaluated 714 patients who received total thyroidectomy with central lymph node (LN) dissection after being diagnosed as having unilaterally confined PTC. By dividing the patients into 2 groups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contralateral OMF, the relationship between OMF and clinicopathological factors such as age, sex, tumor size, multifocality, chronic lymphocytic/Hashimoto s thyroiditis, contralateral lobe benign nodule, extrathyroidal extension (ETE), and central LN metastasis. Results: When the patients were subdivided based on primary tumor size, OMF in the contralateral lobe were more frequently found as the tumor sizes increased,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P=0.012). In the patients with multifocal thyroid cancer in the lobe that had primary tumor, OMF was observed in the other lobe regardless of the number of primary malignant nodules, and the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01). Conclusion: The primary tumor size or multifocality is a risk factor that can predict the presence of contralateral lobe occult cancers. We suggest that patient needs to carefully observe the remaining contralateral lobe,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size and multifocality of the primary tumor, when performing unilateral thyroid lobectomy.

      • KCI등재

        단일 요천추 신경근증에서 선택적 신경근 차단술의 단기 임상 결과 및 효용성

        김상범(Sang-Bum Kim),전택수(Taek-Soo Jeon),박원기(Won-Ki Park),조성권(Sung-Kwun Jo),김용상(Yong-Sang Kim),황철목(Cheol-Mog Hwang) 대한정형외과학회 2009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4 No.6

        목적: 추간판 탈출증 또는 추간공 협착증에 의한 단일 요추 신경근증에서 선택적 신경근 차단술 후 단기 추시 결과를 분석하여 임상적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단일 분절의 추간판 탈출증 또는 추간공 협착증에 의한 편측 하지 방사통으로 경추간공 스테로이드 주사를 시행받은 환자들 중 65예를 대상으로 후향적 연구를 하였다. 추간판 탈출증 37예를 1군, 추간공 협착증 환자 28예를 2군으로 분류하여 각군에서 Visual analogue scale (VAS)을 이용한 하지 통증의 정도와 주관적인 환자의 만족도로 선택적 신경근 차단술의 치료 효과를 판정하였다. 평균 추시 기간은 11개월로 1군은 13.5개월, 2군은 7.6개월이었다. 결과: 총 65명의 환자들의 시술 전 VAS는 평균 7.8에서 1-3회의 신경근 차단술 후 1개월 째 2.9, 3개월 째 3.4로 감소하였다. 1군의 경우 시술 전 VAS는 7.4에서 시술 후 1개월에 3.3, 3개월에 3.7로 통증이 감소하였고, 2군의 경우 VAS는 시술 전 평균 8.3에서 시술 후 1개월 평균 2.3, 3개월 평균 3.0으로 호전되었다. 시술의 효과가 없거나 시술 후 증상이 악화 되어 수술을 시행한 경우는 1군에서 8예(12%), 2군에서 4예(6%)가 있었으며 1개월 추시에서 증상의 호전이 있었으나 3개월 추시에서 악화된 경우는 1군의 경우 3예(8%) 2군의 경우 2예 (7%)를 보였다. 두 군 중 추간공 협착증의 경우가 1개월(p=0.002) 및 3개월(p=0.01) 추시에서 더 나은 치료 결과를 보였다. 두 군 모두에서 선택적 신경근 차단술과 관련된 합병증은 발생하지 않았다. 결론: 요추 추간판 탈출증 또는 추간공 협착증에 의한 단일 신경근증으로 인한 편측성 하지 방사통의 비수술적 치료로서 증상 발현 후 초기 단계에서의 선택적 신경근 차단술은 매우 효과적이고 안전한 시술이다. 따라서 수술적 치료를 선택하기 이전에 반드시 시행을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사료되며, 특히 추간공 협착증의 경우 더욱 효과적일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We wanted to determine the clinic usefulness of selective nerve root block for treating lumbosacral radiculopathy that's due to a herniated nucleus pulposus (HNP) or foraminal stenosis (FS) by analyzing the short-term results after the selective nerve root block (SNRB) procedure. Materials and Methods: Sixty-five patients were investigated in our research. Sixty-five pati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thirty-seven patients of group one were the HNP patients and twenty-eight patients of group two were the FS patients. The effect of SNRB treatment was assessed by the degree of radiating pain in lower legs with using the visual analogue scale (VAS) and patients' subjective satisfaction. The average overall follow-up period was eleven months: that of the first group was 13.5 months and that of the group was 7.6 months. Results: For the 65 patients, the average VAS was 7.8 before a SNRB procedure and this decreased to 2.9 and 3.4 after one to three SNRB procedures, respectively. For group one, the VAS was 7.4 before the procedure and it decreased to 3.3 at one month and 3.7 at three months after the procedure. For group two, the VAS was 8.3 before the SNRB procedure and this favorably changed to 2.3 at one month and 3.0 at three months after the procedure. An operation was carried out due to no response for 8 patients (12%) and due to aggravation for 4 patients (6%) after the SNRB procedures. Three patients (8%) of group one and two patients (11 %) of group two obtained pain relief at one month and aggravation at three months, respectively. On comparing the two groups, a better treatment effect was observed for the FS group after one month (p=0.002) and three months (p=0.01). Complications related to the SNRB procedure haaves not been observed in both groups. Conclusion: The SNRB procedure is a very effective and safe procedure, after the appearance of symptoms, as a non-operative treatment for single lumbosacral radiculopathy due to a herniated nucleus pulposus or foraminal stenosis. This treatment appears to be more effective for the FS group than for the HNP group and it should be considered before carrying out an operative treatment.

      • 진화 컴퓨팅 기반 RBF 신경회로망의 설계

        정병조(Byoung-Jo Jeong),노석범(Seok-Beom Roh),장성환(Sung-Whan Jang),오성권(Sung-Kwun Oh) 한국지능시스템학회 2004 한국지능시스템학회 학술발표 논문집 Vol.14 No.1

        본 논문은 최적화 방법인 유전자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진화 컴퓨팅 기반 RBF 신경회로망을 이용한 새로운 비선형 시스템 설계 방법을 제안한다. 비선형 시스템 설계시 문제점으로는 복잡성과 불확실성을 들 수 있으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지능형 모델을 사용하게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일반적인 신경회로망보다 성능이 뛰어난 RBF 신경회로망을 사용하여 비선형 시스템을 모델링 한다 HCM 클러스터링을 이용하여 유사한 특성을 가진 비선형 데이터를 분류하여 입력으로 사용한다. 제안한 진화 컴퓨팅 기반 RBF 신경회로망을 이용한 모델의 적용 및 유용성을 비교 평가하기 위하여 비선형 학습 데이터와 테스트 데이터를 이용하여 그 우수성을 보인다.

      • LabVIEW 기반 지능형 비전 인식 시스템에 관한 연구

        정병조(Byoung-Jo Jeong),오성권(Sung-Kwun Oh),김현기(Hyun-Ki Kim) 한국지능시스템학회 2008 한국지능시스템학회 학술발표 논문집 Vol.18 No.2

        본 논문은 산업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최적의 비전 인식 시스템 설계를 목적으로 하며, 그에 따른 LabVIEW를 이용한 지능형 비전 인식 시스템 개발을 목표로 한다. LabVIEW는 가상장치 개념으로 PC 속의 가상공간에서 시스템 설계가 이루어지며, 이에 따라 다양한 요구 및 필요조건에 대한 유연한 대처가 가능하다. LabVIEW 기반의 지능 모델을 설계하고, 비진 인식 시스템에 적용하여 실질적이고 실용적인 시스템을 구축하고자 한다.

      • 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담도 협착에서 종양 특성과 솔질세포검사 순서에 따른 진단 정확도

        조영걸 ( Yeong Geol Jo ),이태훈 ( Tae Hoon Lee ),조현득 ( Hyun Deuk Cho ),박상흠 ( Sang Heum Park ),박재만 ( Jae Man Park ),조영신 ( Young Sin Cho ),정윤호 ( Yunho Jung ),정일권 ( Il Kwun Chung ),최현종 ( Hyun Jong Choi ),문종호 ( 대한소화기학회 2014 대한소화기학회지 Vol.63 No.4

        Background/Aims: There are few data supporting the diagnostic yield of brush cytology depending on the order of cytologic reparation method or the location or shape of tumors in biliary strictures. We investigated diagnostic yields and variations n brush cytology with direct smear and cell-block preparations according to sampling preparation sequence and tumor location nd shape in biliary strictures. ethods: Patients who had undergone ERCP with tissue sampling between August 2009 and April 2013 were analyzed etrospectively. Group A was examined using brush cytology with direct smear followed by cell-block with or without biopsy, hile the reverse order was performed for group B. esults: Among 138 enrolled patients, 92 patients (A: 36, B: 56) underwent both brush cytology with direct smear and cell-block reparations. No differences in sensitivity, specificity, or accuracy were observed according to the sampling preparation method nd the location or shape of tumors in biliary strictures. The cellularity observed from brush cytology with direct smear was etter than that from cell-block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the tumor (p<0.01). The diagnostic yield was increased in both roups with addition of an endobiliary biopsy. onclusions: No difference in diagnostic accuracy was observed between the sequences of preparation for brush cytology ith direct smear and cell-block techniques. Brush cytology showed better cellularity for diagnosis.

      • KCI등재

        지방정부의 성과관리(BSC)와 예산의 연계 과제

        김현조(Kim, Hyeon-Jo),강성권(Kang, Sung-Kwun),박영강(Park, Yung-Kang) 한국지방정부학회 2011 지방정부연구 Vol.14 No.4

        부산광역시를 중심으로 BSC와 예산의 연계과정에서 나타나는 개선과제를 모색하기 위하여 공무원을 대상으로 인터뷰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다음과 같은 사실이 발견되었다. 첫째, 담당자들의 “예산연계에 대한 이해도”는 비교적 높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부서 관리자의 이해와 지지” 수준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예산과의 연계를 위한 “현행 시스템구조의 변화 필요성”, “BSC와 예산 시기조정의 어려움” 역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분석결과에 의하면 선행연구에서 강조되는 예산연계에 따른 시기조정의 문제는 적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성과지표와 예산구조의 개선을 포함하는 시스템구조의 측면에서는 근본적인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 밖에 “부서 관리자의 이해와지지” 수준이 낮은 점과 현행 사업예산제도의 구조적 문제점도 개선과제로 나타났다. 이러한 과제의 대안으로는 담당자의 범위를 넘어선 전체 구성원에 대한 체계적인 교육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problems and to seek alternatives in introducing a system of conntecting Performance Management(BSC) to Budget Management in Busan Metropolitan City(BMC), Korea. Information was obtained by surveys from officials of Busan Metropolitan City. According to the studies and surveys the following problems were found out in the BMC: First, time schedule matching would be difficult in the process of connecting BSC to budget management. Second, improvement of performance indicators and budget structure were needed. Third, introducing cost accounting methods including B/C analysis were needed. To improve the connecting model of the BMC alternatives proposed as below: First, the city authority concerned have to declare clear process and time schedule of connecting system. Second, constructing numbers of the indicators within the limits of twenty at all of the agencies(departments) and changing the indicators to result oriented direction would be needed to improve the performance indicators. Finally, periodical education to officials and improving computer system for the connections would be needed.

      • 차분진화 알고리즘을 이용한 FCM기반 퍼지시스템의 최적설계에 관한 연구

        조세희(Se-Hee Jo),정대형(Dae-Hyung Jung),오성권(Sung-Kwun Oh) 한국지능시스템학회 2011 한국지능시스템학회 학술발표 논문집 Vol.21 No.1

        본 논문에서는 표준적인 퍼지 시스템의 효율적인 구축 및 최적화를 위하여 FCM 클러스터링 방법과 차분진화(Differential Evolution: DE)알고리즘을 이용한 모델링 방법을 제시한다. 제안된 퍼지추론 시스템에서 전반부의 멤버쉽 함수는 FCM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구하며, FCM의 소속행렬이 멤버쉽 함수에 적합도로 이용된다. 퍼지 시스템의 후반부는 다양한 다항식의 구조로써(상수, 1차, 2차, 변형된 2차)고려되며, 선형식의 파라미터 계수는 최소자승법(Least Square Estimation) 또는 하중최소자승법(Weighted Least Square Estimation)로 동정된다. 제안된 모델의 성능은 퍼지클러스터링의 퍼지화 계수, 클러스터 수(퍼지규칙수), 후반부 다항식 구조에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이러한 요소들을 최적화 하기위해 다양한 형태의 목적함수를 최적화 하는데 매우 효율적인 차분진화알고리즘(Differential Evolution Algorithm)을 사용하여 동정한다. 제안된 모델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Miles per Gallon (MPG) dataset을 사용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