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A New Sweetpotato Cultivar, "Matnami" suitable for Table Use

        Joon Seol Lee,Hag Sin Kim,Young Sup Ahn,Mi Nam Chung,Byeong Choon Jeong,Jin Ki Bang 한국육종학회 2007 한국육종학회지 Vol.39 No.2

        “Matnami” is a new sweetpotato variety developed by Mokpo Experiment Station,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NICS), RDA in 2006, for table use and food processing. This variety was selected from the cross between “Hongmi” and MI9510-12 in 1999. Seedling and line selections were performed from 2000 to 2002. Preliminary and advanced yield trials were carried out from 2003 to 2004. The regional yield trials were conducted at six locations from 2005 to 2006. “Matnami” has cordate leaf, green with purple vine and petiole, elliptic storage root, red skin and yellow flesh color of storage root. The average yield of storage root was 27.0 ton/ha in the regional yield trials, which was 11% higher than that of Yulmi variety. Number of storage roots over 50 gram per plant was 2.6. The average weight of one storage root was 173 gram. This variety is also resistant to fusarium wilt and nematode. In addition, steamed “Matnami” has higher polyphenol contents as 3.3 mg/g dw and higher biological activitiesas, which improve the bioactivity in human. The total sugar content was higher, thereby, sweeter than “Yulmi”. It shows lower (68.6℃) initial temperature of starch gelatinization and slower retrogradation process than “Yulmi”.

      • KCI등재후보

        ‘병동 중심의 처치수가 산정지침 개발’ 등을 통한 간호업무 표준화 및 그 효과

        한혜정,설미진,김영주,박소영,박아리스,문한경,이현영 한국의료QA학회 2009 한국의료질향상학회지 Vol.15 No.1

        문제: 병동 처치수가 산정 부정확 및 누락으로 인한 부적절한 재고관리로 진료차질, 불필요한 업무발생 및 수익이 감소한다. 목적: 병동 처치수가 산정 정확화를 위한 업무 표준화 도구 및 시스템을 개발하여 적정 재고관리를 통한 수익증대 및 직무만족도를 향상시킨다. 의료기관: 서울시 종로구에 소재한 대학병원 질 향상 활동: 병동중심의 처치 산정지침 개발 및 수가물품의 적정재고 관리방안을 모색하였다. 개선효과: 병동중심의 처치수가 산정 지침서를 제작하여 업무표준화를 기하였음. 응급청구 품목 및 수량이 ’07년 대비 71%감소하고 타 병동 차용품목이 활동 전에 비해 61% 감소, 수량은 77% 감소함. 응급청구 총소요시간이 활동 전에 비해 ’07년 대비 77% 감소하고 타 병동 차용 총 소요시간이 61% 감소함. 전년 동기간 대비 수익이 4% 증가하였으며 또한 54병동과 보험 심사팀에서 직원들의 직무만족도가 향상되었다.

      • KCI등재

        A New Sweetpotato Variety for Food and Starch, "Healthymi"

        Young Sup Ahn,Byeong Choon Jeong,Mi Nam Chung,Joon Seol Lee,Hag Sin Kim 한국육종학회 2006 한국육종학회지 Vol.38 No.1

        Healthymi is a new sweetpotato variety developed from Mokpo Experiment Station,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NICS), RDA in 2003, which was for the utilization as food and starch. This variety was selected from the cross between Seonmi and MI9001-12

      • SCOPUSKCI등재

        Determination of Hydrogen Peroxide on Modified Glassy Carbon Electrode by Polytetrakis(2-aminophenyl)porphyrin Nanowire

        Jeong, Hae-Sang,Kim, Song-Mi,Seol, Hee-Jin,You, Jung-Min,Jeong, Eun-Seon,Kim, Seul-Ki,Seol, Kyung-Sik,Jeon, Seung-Won Korean Chemical Society 2009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Vol.30 No.12

        Nanowires of polytetrakis(o-aminophenyl)porphyrin (PTAPPNW) were fabricated by electrochemical polymerization with the cyclic voltammetric method in anodic aluminum oxide (AAO) membranes. The glassy carbon electrode (GCE) modified by PTAPPNW, single-walled carbon nanotubes (SWNT) and Nafion as a binder was investigated with voltammetric methods in a phosphate buffer saline (PBS) solution at pH 7.4. The PTAPPNW + SWNT + Nafion/GCE exhibited strongly enhanced voltammetric and amperometric sensitivity towards hydrogen peroxide ($H_2O_2$), which shortened the response time and enhanced the sensitivity for $H_2O_2$ determination at an applied potential of 0.0 V by amperometric method. The PTAPPNW + SWNT + Nafion/GCE can be used to monitor $H_2O_2$ at very low concentrations in biological pH as an efficient electrochemical $H_2O_2$ sensor.

      • KCI등재

        교육의 지방 분권화와 공공가치, 그리고 민주주의 교육 재고찰

        정설미(Jeong, Seol Mi),정동욱(Jeong, Dong Wook) 한국교육행정학회 2020 敎育行政學硏究 Vol.38 No.5

        최근 지방분권 개헌 논의와 교육 개혁 과정에서 교육의 지방 분권화가 핵심적인 담론으로 형성되고 있는 가운데 본 연구는 교육 분권화의 기반이 되는 이론을 검토해보고, 교육 분권화를 공공가치에 근거하여 비판적으로 재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먼저 교육 분권화의 개념과 다차원적 특성을 이론적으로 정리함으로써 우리나라 교육 분권화의 양상을 체계적으로 인식하고, 실행주체 간 명확하고 적절한 권한 배분이 이루어져야 함을 제언하였다. 다음으로 교육 분권화와 공공가치의 관계를 비판적으로 재탐색하였다. 효율성 및 형평성과 같은 공공가치는 교육행정의 중요한 전통적 가치로서 앞으로 교육 분권화가 진행되어가면서 각각의 가치가 적절하게 실현되고 있는가 면밀하게 분석·확인할 필요가 있다. 관련 문헌 분석결과, 교육 분권화가 해당 공공가치 제고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일관된 결론을 얻지 못했다는 점에서 국내 맥락에서 후속연구가 요구된다. 또한, 공공가치 간 교환 관계 또는 상호보완적 관계를 고려하여 교육 분권화의 수준을 논의할 필요가 있으며, 특히 우리나라는 교육자치의 관점에서 교육의 전문성과 자주성·자율성도 중요한 가치로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교육 분권화에 내재된 민주성의 가치는 그 자체로 교육 분권화에 당위성을 제공해주며, 우리나라 교육의 목적인 민주시민의 양성과 결부되어 더욱 큰 가치를 갖게 된다. 철학자 토크빌과 듀이의 사상에 근거하여 민주시민 양성의 교육목적을 달성하는 데 교육 분권화가 적합한 교육·행정 환경을 제공할 수 있겠으나, 교육 분권화의 재구성에서 교육감 및 지역 공동체와 함께 결코 ‘학교’의 의미를 간과해서는 안 된다는 점을 강조하는 바이다. As education decentralization has become a core discourse in the recent educational innovation progress, this study aims to introduce theories and philosophies that underlie education decentralization and critically re-discover it based on public values. First of all, by theoretically arranging the concept and the multi-dimensional characteristics of education decentralization, this paper tries to understand its aspect in Korea objectively and promote balanced development between various domains and agents. Next, we critically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education decentralization and public values. Public values, such as efficiency and equity, are essential practical tasks in education and need to be carefully analyzed and confirmed to ensure that education administration attains these values. Lastly, the importance of democracy as a core value inherent in education decentralization justifies decentralization itself. Therefore we cover democracy in decentralization as a separate chapter in that it has a special meaning in connection with the development of citizens, the purpose of education in Korea. Based on the philosophers Tocqueville and John Dewy"s idea, education decentralization can provide a very suitable educational and administrative environment for democratic citizens" development. However, we suggest that the government never disregards the significance of a "school" as the cradle of democratic citizens while recomposing education decentralization.

      • KCI등재

        기초학력 지원을 위한 교육복지정책사업 조합의 시너지 효과 연구

        정설미(Jeong, Seol Mi),정동욱(Jeong, Dong Wook) 한국교육행정학회 2022 敎育行政學硏究 Vol.40 No.1

        최근 기초학력 성취에 어려움을 겪는 학교와 학생에게 복수의 교육복지정책사업을 중복지원하는 복합정책 양상이 확대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현실에서 개별정책사업의 효과를 엄밀하게 식별하는 데에는 어려움이 존재하며, 시행 정책사업의 수와 조합에 따라 그 효과가 상이할 수 있다는 관점을 견지한다. 이에 ‘기초학력 지원’이라는 공통된 목표를 추구하는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Wee클래스 사업, 두드림 학교 사업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며, 특히 개별정책사업만으로는 발생하지 않는 교육복지정책사업 조합에 의한 시너지 효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한국교육종단연구」2013코호트의 4차년도(2016)와 5차년도(2017)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이원고정효과모형과 패널로짓고정효과모형 그리고 시너지 효과 추정을 순차적으로 실행하였다. 분석결과, 1개의 정책사업을 시행하거나 3개의 정책사업 모두를 시행하고 있는 경우에는 효과가 유의하지 않았으나 2개의 정책사업을 시행하고 있는 경우 국어와 수학 수직척도점수 모두에서 유의한 학업성취도 향상 효과를 발견할 수 있었다. 이어서 구체적인 정책사업 조합의 효과를 분석한 결과, ‘Wee클래스’와 ‘두드림 학교’ 사업이 함께 시행되었을 때 유의한 긍정적 시너지 효과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교육복지 유관사업의 중복성과 충분성의 딜레마를 노정하는 결과로, 교육복지정책 효과의 충분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복합적 지원이 요구되나 중복 수혜로 인한 비효율을 줄이기 위해서는 관리 체계를 유연화하고 단위학교의 권한과 자율성을 강화할 필요가 있음을 제언하였다. "Mixed policy" refers to how a government combines and implements policies under common aims, targets and agents, and the instruments employed. In education, the mixed policy phenomenon expands to support schools and students who have difficulties achieving basic academic ability: by applying multiple policies for the same school or students. However, it is challenging to identify the effects of individual policy in this complex environment, and the effects may differ depending on the number and combination of implemented policy projects. Therefore, we analyze the individual effects and synergy effects of "Educational Welfare Priority Support Project," "Wee Class Project," and "Do-Dream School Project," which pursue a common policy goal of supporting basic academic ability. We sequentially analyze the individual and combined effects and then estimate the synergy effects using the data from the fourth and fifth years of 「The Longitudinal Study of Korean Education 2013」. The results show that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is not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number of school policy projects. We also found no significant effect of each policy project, whereas implementing "Wee Class" and "Do Dream School" projects together produces significant positive synergies. These results uncover the dilemma of overlapping and sufficiency of education welfare policy; overlapped support is inevitable to ensure the sufficiency of policy effects; simultaneously, deregulating the management system and strengthening school autonomy is necessary to reduce inefficiencies.

      • KCI등재

        중학생 시민의식의 종단적 변화와 영향요인 분석 : 학부모와 교사의 학교참여 효과를 중심으로

        정설미(Jeong, Seol Mi),김영롱(Kim, Young Rong) 한국교육정치학회 2020 敎育政治學硏究 Vol.27 No.4

        본 연구는 생태학적 체계 이론의 관점에서 학생의 주요 사회화 대행자인 학부모와 교사의 학교참여가 학생의 시민의식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자료는 경기교육종단연구의 4차~6차년도(2015년~2017년) 중학생 자료이며, 학생 시민의식의 종단적 변화와 영향요인을 밝히기에 적합한 다층성장모형을 적용하였다. 먼저 기초모형 분석결과, 중학생 시민의식 평균은 연령이 증가함에 따른 뚜렷한 증감 추세를 보이지 않았으나 하위요인별로는 서로 다른 양상을 보였으며, 학생 개인별로 시민의식 초기값과 기울기에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조건모형을 적용하여 분석한 결과, 학부모의 학교참여는 자녀의 시민의식 변화율에 유의한 영향이 없었으나, 교사의 학교참여는 학생 시민의식 변화율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다 구체적으로 시민의식 하위요인별 분석결과, 학부모의 학교참여는 자녀의 공동체의식 변화율에 유의한 정적 영향이 있으며, 교사의 학교참여는 학생의 참여·개방의식과 윤리의식 변화율에 유의한 정적 영향이 있었다. 그러나 교사의 학교참여는 학생의 공동체의식 변화율에 유의한 부적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학교참여 과정에서 교사의 업무 부담이 높아짐에 따라 학생-교사 간 상호작용과 학생 지도가 상대적으로 소홀해지며 나타나는 결과로 해석된다. 이상의 분석을 통해 본 연구는 학생의 시민의식 형성에 있어 학부모와 교사의 역할모델 효과를 실증적으로 확인하였으며, 민주시민교육에 교육 공동체 내 다양한 구성원의 역동적인 상호작용을 적절히 활용할 필요가 있음을 밝혔다. 그러나 본질적인 교육 활동이 소홀해지지 않는 범위 내에서 학부모와 교사의 학교참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으며, 참여의 적정 수준에 대해서는 향후 보다 신중한 논의가 요구됨을 제언하였다. From the perspective of ecological system theory,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d the effect of parents and teachers engagement as the agents of socialization on the students citizenship development. We use middle school students data from the fourth to sixth years(2015-2017) of GEPS and apply a multilevel growth model suitable for clarifying longitudinal changes and citizenship influencing student factors. First, the unconditional model analysis shows that middle school students citizenship does not have any significant time trends, and the initial value and slope of citizenship are significantly varying between students. Also, the conditional model analysis shows that both parents and teachers’engagement in school substantially affect students citizenship growth. More specifically, teachers engagement in school involves students participation, openness, and ethics. However, teachers engagement in school has a significant adverse effect on students community consciousness. Through the analysis, this study empirically confirms the effect of parents and teachers engagement in school as the role model in students citizenship development. However, we need further discussion on the appropriate level and scope of various subjects engagement without harming essential education activities.

      • 국가별 교육기회 보장 정책의 수렴과 분화: 복지국가의 관점을 중심으로

        정설미(Seol Mi Jeong) 한국교육정치학회 2023 한국교육정치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3 No.-

        복지국가 논의에서 교육은 다른 사회정책과의 근본적인 성격 차이로 인해 특수한 영역으로 여겨져 왔다. 이에 복지국가별 교육정책 및 제도의 특징이 어떠한지, 그리고 그에 따른 교육 평등의 수준이 어떠한지 등은 아직 충분히 연구되지 않았다. 그러나 최근 복지국가에서 예방적 사회정책이 핵심 전략이 되면서 개인의 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이 핵심 사회정책으로 부상하고 있다. 본 연구는 복지국가의 관점에서 국가별 교육기회 보장 정책의 특징을 분석하여 유형화하고, 사회복지와 교육의 연결성을 탐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서구 복지 선진국과 동아시아 국가를 포함한 총17개 국가를 분석대상으로 하여 1990년대부터 2010년대까지 교육기회 보장 정책의 법제도, 지원 범위, 재정 지출 차원과 관련한 현황자료를 수집하고, 군집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각국에서 교육개혁뿐만 아니라 사회개혁의 핵심 아젠다로서 교육기회 보장 정책이 강조되고 있으며, 특히 상당수의 국가가 분석 기간 내 의무교육과 무상교육을 확대하는 정책의 수렴 현상을 관찰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변화에도 불구하고 많은 복지국가 연구자들이 밝혀낸 서구 복지국가 유형(자유주의, 보수주의, 사민주의)은 여전히 유효했으며, 유형에 따라 교육기회 보장 정책에 서로 다른 고유한 특징이 있었다. 한편 동아시아 국가는 복지국가를 향해 약진하고 있는 가운데 2000년대부터 교육기회 보장 정책이 자유주의형 복지국가와 유사한 방향으로 변화하고 있었다. 본 연구는 이상의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Education has been regarded as a special area in the welfare state discussion due to its fundamental difference from other social policies. Consequently, insufficient study explores the characteristics of education policies in welfare states and their educational equality. However, as the activation policy or preventive social policy has recently become a key strategy in welfare states, education for enhancing individual capacity is emerging as a critical social policy. From a welfare state perspective, this study aims to analyze and classify the characteristics of each country’s equal educational opportunity policy, which ensures equal access to public education, and to explore the connection between social welfare and education. This study collects 17 countries’ data on the legal system, the scope of support, and the expenditures of each country’s equal educational opportunity policies from the 1990s to the 2010s. It analyzes the data by applying cluster analysis to identify the typologies and characteristics of equal educational opportunity policies. The main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Equal educational opportunity policies have become a critical agenda for social and educational reform in many countries. Despite these converging changes, the Western welfare state typologies (liberal, conservative, and social democratic) and East Asian welfare state typology (developmental) identified by many welfare state researchers were still valid. Also East Asian countries such as Japan, Korea, and Hong Kong, excluding Singapore, were classified into the same cluster as liberal welfare states. However, this does not mean that East Asian countries have become liberal welfare states; instead, they have been passing by the closest welfare state cluster -the liberal welfare state- in the trajectory of change and development. From the results above, this study derived some policy suggestions.

      • KCI등재

        초등교원의 교직 이탈 현황과 관련 요인 탐색 : 지역 편차에 따른 쟁점을 중심으로

        정설미(Jeong, Seol Mi),김영롱(Kim, Young Rong),이승민(Lee, Seung Min),정동욱(Jeong, Dong Wook)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021 敎育財政 經濟硏究 Vol.30 No.2

        최근 안정적인 교원 수급과 균등한 교원의 질 관리를 저해할 수 있는 교직 이탈이 증가하며 사회적 문제로 떠오르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2009년~2018년 전국 시·도교육청 내 초등교원의 교직 이탈과 관련한 자료를 수집하여 교원의 명예퇴직, 이직퇴직, 기타퇴직의 현황과 지역별 차이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2014년~2018년 전국 지역교육지원청의 자료를 수집하여 지역 생활 여건과 학교근무 여건의 어떠한 요소들이 초등교원의 교직 이탈과 유의한 관계를 갖는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먼저 초등교원의 교직 이탈 현황 분석결과, 지난 10여년 간 국내 교직 이탈률은 평균 2% 이내로 영미권 국가와 비교하였을 때 절대적 수치는 그리 높지 않았으나, 지역 간의 편차가 큰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일정 수준 이상의 자격과 경력을 갖춘 교사가 특정 지역에서만 지속적으로 더 많이 이탈하고 있는 것으로, 이러한 시·도교육청 간 이탈률의 편차와 1급 정교사 및 경력 교사의 비율 편차가 일부 상관이 있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특정 지역에서 더 많은 교사의 이탈은 지역 간 교육 인적자원 구성의 편차를 유발해 학생의 형평한 교육의 기회를 저해할 수 있다는 점에서 주의가 요구된다. 이에 패널토빗모형을 적용하여 초등교원의 교직 이탈 영향요인을 분석한 결과, 명예퇴직률은 의료기관 병상 수, 사설학원 수, 교사 1인당 학생 수와 유의하게 정적인 관계를 보이지만, 문화시설 수나 교원복지비와는 부적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직퇴직률은 교·사대 출신 교원 비율과 유의하게 정적인 관계가 있었으나, 문화시설 수와 학교 시설여건개선비와는 유의하게 부적관계가 있었다. 마지막으로 기타퇴직률은 교·사대 출신 교원 비율, 기간제교사 비율과 유의하게 정적관계를 보이지만, 재정자립도, 교원역량강화지원비, 교원복지비와는 유의하게 부적관계를 보였다. 이상의 분석결과를 종합하여, 본 연구는 교사가 전문직으로서의 자신감과 긍정적인 직업정체성을 유지하며, 교직생활에서의 지나친 소진을 방지할 수 있도록 시·도교육청의 적절한 정책적 개입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In recent years, the increasing number of teacher attrition, which can hinder teachers stable supply and demand and the quality management of teachers, is emerging as a social problem. Therefore, we collected data on elementary school teacher attrition from 2009 to 2018 and explored teacher attrition and regional differences. In addition, we empirically analyzed which factor has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tirement from teaching. The first analysis shows that the average attrition rate in South Korea is within 2%, which is not so high in absolute numbers compared to Anglo-American countries, but there are significant deviations between regions. The second analysis of the factors influenci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attrition by applying the panel Tobit model shows that the honorary retirement rate shows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 number of hospital beds, private education institutes, and students per teacher, but a negative relationship with the number of cultural facilities or teacher welfare expenses. The turnover and other retirement rates have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 ratio of teachers from education colleges and temporary teachers. However, there is a significant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number of cultural facilities, the cost of improving school facility conditions, and teachers welfare support. In the end, we suggest improving financial support and treatment so that teachers can maintain their professional confidence and positive job identity and prevent excessive burnout.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