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NEESgrid 시스템의 구성과 기능별 역할 분석을 통한 우리나라 건설실험시설의 네트워크 시스템 구축

        정태경(Jeong Tai Kyeong),심낙훈(Shim Nak Hoon),박영석(Park Young Suk) 대한토목학회 2006 대한토목학회논문집 A Vol.26 No.4A

        본 연구에서는 분산된 시스템 안에서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다량의 자료와 데이터를 동시에 공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원격지에서도 실시간으로 실험이 가능한 건설실험시설의 분산공유에 따른 실질적인 연구현황과 이에 따른 문제점을 그리드 컴퓨팅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이로써, 향후 건설실험시설의 인프라 구축에 있어 분산공유에 대한 데이터의 처리와 공유를 가능하게 하는 시스템구축의 실질적인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며, 분산된 다양한 데이터를 다수의 사용자에게 동시에 공유할 수 있는 건설실험시설의 인프라를 구축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This paper presents the developments of Grid computing architecture which is use many data and resources from distributed and parallel system for construction test equipments, i.e., large scale computer networks meant to provide access to massive computational facilities for very large communities of users, drawing upon experiences of existing Grids architecture. In this paper, we present an efficient way to construct a construction test equipment infrastructure.

      • KCI등재
      • KCI등재후보

        교잡종 블랙베리(Rubus fruticosus L. × R. parvifolius L.)의 근맹아 절편체로부터 다경유도를 통한 식물체 재분화

        신정순(Jeong-Sun Shin),이종천(Jong-Chon Lee),심옥경(Ock-Kyeong Sim),윤태영(Tai-Young Yoon),조한직(Han-Jik Cho),김이엽(Ee-Yup Kim) 한국자원식물학회 2008 한국자원식물학회지 Vol.21 No.2

        노지에 있는 교잡종 블랙베리의 근맹아를 채취하여 1.2% sodium hypochlorite 용액에 침지하여 표면 살균한 후 BA를 첨가한 변형된 × 1, × 1/2 MS 고체배지에서 다경유도를 시도하였다. 4주간 배양하였을 때 BA $1mg·L^-1이 첨가된 기본 MS배지에서 고빈도(83.3%)의 다경유도가 이루어 졌으며, 절편체당 신초수는 $0.5mg·L^-1 BA를 첨가한 MS 기본배지에서 3.7개로 가장 높게 형성되었다. 또한 12주간 배양하였을 때 4주간 한 경우에 비하여 신초형성율이 4.1배 많은 15.4개가 형성됨을 관찰할 수 있었다. 형성된 신초로부터 뿌리발생은 식물생장조절물질이 첨가되지 않은 MS배지를 1/1, 1/2, 1/4배로 희석하여 신초를 배양하였을 때 특히 1/2 MS 배지에서 95%로 가장 양호하였다. 재생된 식물체는 모래 : 원예용상토 : 버미큘라이트(1:1:1, vol.)혼합토양에서 순화하였을 경우 95%의 생존율을 나타내었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duce plant regeneration via multiple shoot formation from sucker explants of Rubus fruticosus L. × R. parvifolius L. To induce adventitious shoots, the sucker explants were sterilized in 1.2% sodium hypochlorite (NaOCl) solution, and then were cultured on the full and 1/2 MS solid medium supplemented with BA (0.1, 0.5, 1.0, $2.0mg·L^-1). After 4 weeks of culture, the highest frequency (83.3%) of shoot formation from sucker explants was obtained from the full MS medium with $1.0mg·L^-1 BA. The highest shoot number (3.7) per explant was obtained from the full MS medium with $0.5mg·L^-1 BA. After 12 weeks of culture, the number of shoots (15.4) per explant was increased. The highest frequency (95%) of root formation was obtained from the 1/2 MS medium, when the explant with shoot were cultured on the full, 1/2 and 1/4 MS medium. The survival rate of the plantlets after transfer to plastic pots containing sand, soil, and vermiculite (1.1:1, vol.) was 95%. The results indicate that multiple shoot procedure can be applied for an efficient mass propagation of Rubus fruticosus L. × R. parvifolius L.

      • KCI등재후보

        빛간섭단층촬영으로 진단한 백내장 수술 후 지연적으로 발생한 낭폐쇄증후군 2예

        정경도(Kyeong Do Jeong),김태진(Tai Jin Kim),김재석(Jae Suk Kim),황제형(Je Hyung Hwang) 대한검안학회 2015 Annals of optometry and contact lens Vol.14 No.3

        Purpose: To report 2 cases of late postoperative capsular block syndrome after uneventful phacoemulsification and posterior chamber intraocular lens implantation diagnosed with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Case summary: 64 and 57-year-old woman consulted with us because of blurred vision in the pseudophakic eye at four or five years after cataract surgery. On slit-lamp examination, remnant cortex, multiple cells and posterior capsule distension was found. The adherence of the capsulorhexis margin and optic of intraocular lens was confirmed with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After Nd:YAG laser posterior capsulotomy, the visual acuity of patients was improved. Conclusion: The operator should give attention to the cortex removal during phacoemulsification to prevent capsular block syndrome.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can be helpful to diagnose capsular block syndrome.

      • KCI등재

        Evaluation and Benchmarking on Operating System for Embedded Devices

        정태경,Jeong, Tai-Kyeong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2006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10 No.1

        본 고에서는 임베디드 시스템을 위한 운영체제를 평가하고 성능을 검사하는 것을 주안점으로 삼고 있으며 현재 상용화 되어있는 윈도우즈 플래포움을 기초로 하고 있다. 전형적인 컴퓨터의 workload 이용하고 시스템성능을 증가시키는 운영체제의 벤치마킹의 분석을 포함한 기본적인 방법과 동시에 하위레벨에서의 규명을 이루고 있다. 본 고에서는 "WinStone"과 "HBench" 같은 선택되어진 어플리케이션 중심과 직접적으로 시스템에 영향을 끼치는 가장최선의 벤치마킹툴이 사용되었다. 이 실험과 케이스 연구를 통하여 벤치마킹툴을 이용하여 윈도우즈 플래포움의 하위레벨 테스트와 동시에 어플리케이션 레벨의 임베디드 마이크로시스템의 성능을 보여 주고 있다.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an operating system for embedded devices to that of the commercially available Windows platform. Analysis includes benchmarking the operating systems using a 'typical' PC workload, as well as identifying low-level areas in which the updated OS is limiting or enhancing the system performance. The primary benchmarking suites selected for this paper are 'WinStone' and 'HBench', with the former providing an application-based suite of tests and the latter providing the most direct means for isolating operating system effects on the system. We have demonstrated in a case study for embedded microprocessors, and evaluated a Windows platform at a low-level test as well as an application level using a benchmarking suite.

      • KCI등재

        TC-1 세포주를 이용한 동물모델에서 As4O6에 의한 혈관폐쇄 효과

        남궁정 ( Jeong Namkung ),배수미 ( Su Mi Bae ),문란영 ( Lan Ying Wen ),오은경 ( Eun Kyeong Oh ),신재은 ( Jea Eun Shin ),김용욱 ( Yong Wook Kim ),김태응 ( Tae Eung Kim ),박태철 ( Tai Churl Park ),안웅식 ( Woong Shick Ahn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9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2 No.2

        목적: As2O3는 다양한 고형암에서 혈관손상을 통하여 항종양 효과를 유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자궁경부암동물 모델에서 새로운 비소 화합물인 As4O6와 As2O3를 비교하여 종양 내 혈관폐쇄 현상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HPV 16-E6/E7 유전자를 가지고 있는 TC-1 종양세포를 이용한 자궁경부암 동물모델에서 종양의 부피가 200~250 ㎣에 이르면 PBS, As2O3 and As4O6를 복강 내 투여하였다. 비소 화합물을 주사한 후 종양의 크기는 2~3일 간격으로 측정하고, 종양내혈관 폐쇄현상은 Evans blue 추출법과 Hoechst 33342 염색법 등 2가지 방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또한 헤마토실린-에오신 염색을 통하여 조직학적 변화를 관찰하였다. 결과: As2O3와 As4O6 주사 후, 종양 성장은 대조군에 비해 효과적으로 지연되었으며, As4O6 처리군이 가장 우수한 항종양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비소화합물의 투여는 종양내의 거대한 세포괴사와 혈관폐쇄 현상을 유도하였다. 결론: TC-1 세포주를 이식한 고형암 동물모델에서 As4O6의 처치는 혈관폐쇄 효과에 의한 항종양 효과를 나타내었다. Objective: Arsenic trioxide (As2O3) is known to have potent anti-vascular activity and significantly suppress solid tumor growth.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vascular shutdown effects of a novel arsenic compound, tetraasrsenic oxide (As4O6), in comparison with As2O3 using cervical cancer animal model. Methods: Mice tumor challenge model was used C57BL/6 mice transplanted with TC-1 cells. After the growth of tumors was reached up 200~250 ㎣, mice were divided into 3 groups randomly for control and treatment of either As2O3 or As4O6. As2O3 and As4O6 was treated by i.p. injection. The tumor size was caliperated in twice for weeks and anti-vascular effect were assessed by Evans blue extraction assay and Hoechst 33342 staining. In tumor tissue, histopathological feaure was obserevd by hematoxylin and eosin (H&E) staining. Results: In mice treated with either As2O3 and As4O6 (i.p.), both of As2O3 and As4O6 was significantly suppressed the tumor growth compared with control group. Moreover, effect of As4O6 is more pronounced. These tumor growth inhibition is led to the massive necrosis and vacular shutdown in tumor tissue.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As4O6 may have potential anticancer activity via vascular shutdown in C57BL/6 mice transplanted with TC-1 cells.

      • KCI등재

        Clock Distribution in High-Performance System Design

        정태경,이장호,Jeong Tai-Kyeong.T,Lee Jang-Ho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2006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10 No.9

        수용 가능한 수준의 성능을 동시에 전달하고 분배하는 동안의 소비 전력을 줄이는 문제는 고성능 시스템의 설계분야에서는 더욱 더 결정 적 인 관심사로 받아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전력분배의 문제를 클럭 신호 발생과 분배의 관점에서 제시하고자 한다. 우리는 클럭 신호의 전력 효율성과 다른 응용제품 이외에도 무선통신의 회로에서도 찾아 검증하였다. The problem of reducing power dissipation while simultaneously delivering acceptable levels of performance is becoming a critical concern in high pelf[mann system design. In this paper, we present this power dissipation problem from the clock generation and distribution side. We examine clock power efficiency and several applications as well as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 KCI등재

        A Study on Electrodeionization for Purification of Primary Coolant of a Nuclear Power Plant

        Seo,One-Sun,Jeong,Cheorl-Young,Yeon,Kyeong-Ho,Moon,Seung-Hyeon,Chong,Sung-Tai 대한방사선 방어학회 1999 방사선방어학회지 Vol.24 No.2

        현재 경수로형 원자력발전소의 일차계통 냉각수 정화를 위해 사용되는 이온교환방법은 제염효과가 우수하고 공정이 단순하며 조작이 간편하기 때문에 광범위하게 활용되고 있으나 비금속성분도 함께 제거하여 수지의 수명이 단축되고 폐이온교환수지가 발생되는 단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일차계통 냉각수 정화를 위해 사용되는 이온교환수지의 대체공정으로서 전기투석과 이온교환이 결합된 전기탈이온법의 사용가능성을 조사하기 위해 모의 용액을 이용하여 다양한 실험조건하에서 수행하였다. 실험결과 유입유량이 증가할수록 제거율은 증가하고 전력소모는 감소하였다. 금속성분 제거율에서 제염계수 1000으로 일정한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전력소모 면에서는 TDS 3 ppm이하를 기준으로 유입유량이 2.0 ℓ/min일 때 40.3 mWh/ℓ 이었다. 유입유속이 동일한 조건네서는 희석실에 채운 이온교환수지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금속성분 제거율과 전력소모에서 효과적인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온교환수지를 채운 전기탈이온 공정은 이온교환수지 자체에 의한 수리적 저항과 현탁질에 의한 수지의 오염으로 인해 운전이 계속될수록 유량이 감소하게 된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이온교환수지 대신 이온전도성 스페이서를 설치하여 실험한 결과 유입유량 문제는 해결할 수 있었으나 전력소모와 금속성분 제거율 및 전류효율 면에서 비효율적인 것으로 평가되었다. 전기탈이온 공정의 연속운전에서도 금속성분 제거율에서 제염계수가 1000으로 안정적인 수준을 유지하였다. The ion-exchange method for the purification of primary coolant has been used broadly in PWR(pressurized water reactor)-type nuclear power plants due to its high decontamination efficiency, simple system, and easy poeration. However, its non-selective removal of metal and non-radionuclieds shortens its life, resulting in the generaton of a large amount of waste ion-exchange resin. In this study, the feasibility of electrodeionization (EDI) was investigated for the purification of primary cooling water using synthetic solutions under various experimental conditions as an alternative method for the ion exchange. The results shows that as the feed flow-rate increased, the removal efficiency increased and the power consumption decreased. The removal rate was observed as a 1000 decontamination factor(DF) at a nearly constant level. For the synthetic solution of 3 ppm TDS (Total Dissolved Solid), the power consumption was 40.3 mWh/L at 2.0 L/min of feed flow rate. The higher removal rate of metal species and lower power consumption were obtained with greater resin volume per diluting compartment. However, the flow rate of the EDI process decreased with the elapsed time because of the hydrodynamic resistivity of resin itself and resin fouling by suspended solids. Thus, the ion-exchange resin was replaced by an ion-conducting spacer in order to overcome the drawback. The system equipped with the ion-conducting spacer resolved the problem of the decreasing flow rate but showed a lower efficiency in terms of the power consumption, the removal rate of metal species and current efficiency. In the repeated batch operation, it was found that the removal eficiency of metal species was stably maintained at DF 1000.

      • 보강섬유의 종류에 따른 섬유보강 콘크리트의 휨특성

        강영태 ( Kang Young-tai ),김규용 ( Kim Gyu-yong ),이보경 ( Lee Bo-kyeong ),이상규 ( Lee Sang-kyu ),김경태 ( Kim Gyeong-tae ),남정수 ( Nam Jeong-soo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7 한국건축시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17 No.2

        In this study, the flexural behavior of fiber-reinforced concrete by fiber type were evaluated. As a result, the flexural strength of the hooked steel fiber-reinforced concrete(HSFRC) was lower than that of the amorphous metallic fiber reinforced concrete(AFRC), however it was shown strain-softening behavior by the pull-out of fiber. The flexural strength and the equivalent flexural strength of polyamide fiber-reinforced concrete(PAFRC) were lower than other specimens, but the equivalent flexural strength ratio was similar to that of AFRC. The flexural behavior of the fiber-reinforced concrete was associated with the bonding and pull-out properties of the fiber and matrix depending on the fiber type.

      • KCI등재

        그리드 기반의 토목공학 원격실험 시스템

        이장호,정태경,Lee, Jang-Ho,Jeong, Tai-Kyeong 한국정보처리학회 2007 정보처리학회논문지 A Vol.14 No.2

        최근 공학 분야에서 실험시설에서 진행된 실험에 대한 실험 결과를, 지리적으로 떨어진 곳에 있는 연구자들이 직접 해닝 실험 시설을 방문하지 않고서도 효과적으로 공유할 필요가 늘어나고 있다. 특히 토목 공학의 경우, 연구자들이 원격지의 실험 시설에서 진행 되는 실험에 참여할 필요성이 점점 증가하고 있다. 게다가 구축 비용이 매우 높은 실험 시설의 경우 보다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원격으로 사용되는 것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이용률을 높일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그리드 기술을 이용하여 분산된 주요 토목 공학 실험 시설들을 연결하여, 지리적으로 떨어져 있는 연구자들에게 원격 실험에 참여할 수 있게 하고, 실험 시설들에서 이루어진 실험들의 결과들이 자동적으로 원격지의 연구자들에게 공유될 수 있게 하는 KOCED(Korea Construction Engineering Development)라고 불리는 프로젝트에서 개발 중인, 토목 공학 분야의 원격 실험 환경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이를 기반으로 하여, 지리적으로 떨어져 있는 2개의 물리적 실험 장비 사이트와 1개의 수치해석 시뮬레이션 사이트를 연동시키는 하이브리드 실험시설에 대한 설계를 하고 그 프로토타입의 구현 및 테스트를 통하여 그리드 기반의 토목 공학 실험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Recently, in the engineering area, there is an increasing need for researchers at a distance to share the result of the experiment, without having to visit the experiment facilities. Especially in the civil engineering, researchers feel the need for participating in a experiment conducted at a distant location. In addition, it is suggested that high-cost facilities should be used by remote researchers thereby increasing the utilization rate. This paper proposes a remote experiment environment in civil engineering that are being developed in a project called Korea Construction Engineering Development(KOCED), which connects major civil engineering experiment facilities using grid technology, allows researchers to participate in a remote experiment, and has the experiment results shared by remote researchers automatically. Then, based on the suggested environment, we designed a hybrid test facility that involves two physical experiment facility sites and one numerical simulation site that are geographically apart. Then, we implemented its prototype and ran some tests, which showed a possibility of grid-based civil engineering experi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