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Interfacial Characteristics of Epoxy Composites Filled with γ-APS Treated Natural Zeolite

        이재영,이상근,김상욱,Lee, Jae-Young,Lee, Sang-Keun,Kim, Sang-Wook 한국접착및계면학회 2001 접착 및 계면 Vol.2 No.3

        ${\gamma}$-APS (${\gamma}$-aminopropyltriethoxysilane)로 표면처리된 천연제올라이트와 에폭시 수지 복합 재료의 표면 자유 에너지, 인상강도 및 계면 모폴로지에 대해 연구하였다. 표면처리하지 천연제올라이트의 표면 자유에너지 성분 중에서 무극성 성분인 Lifshitz-van der Waals 성분, ${\gamma}{\frac{LW}{SV}}$는 $19.22mJ/m^2$이었고, 극성 성분인 Lewis acid-base 성분, ${\gamma}{\frac{AB}{SV}}$는 $15.27mJ/m^2$이 있다. ${\gamma}$-APS의 처리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gamma}{\frac{LW}{SV}}$값은 증가하였지만 ${\gamma}{\frac{AB}{SV}}$는 감소하였으며, 이는 ${\gamma}$-APS의 소수성 성분인 알킬기의 영향이 친수성 기인 아민이나 수산기의 영향보다 커지기 때문이다. 인장강도와 Young율은 ${\gamma}$-APS 처리에 의해 개선되었으며, SEM 분석에 의해 계면특성이 향상되었음을 확인하였다. Epoxy composites filled with natural zeolite was prepar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ilane coupling agent, ${\gamma}$-APS (${\gamma}$-aminopropyltriethoxysilane)on the surface free energy, tensile properties and interfacial morphology. The value of Lifshitz-van der Waals component, ${\gamma}{\frac{LW}{SV}}$ for polar was $19.22mJ/m^2$ and increased, while that of Lewis acid-base component, ${\gamma}{\frac{AB}{SV}}$ for polar was $15.27mJ/m^2$ and decreased with the increasing content of ${\gamma}$-APS treatment. It is due that the surface of the zeolite is more coated by hydrophobic of alkyl group than hydrophilic amine or hydroxyl group. The tensile strength and Young's modulus of epoxy system were improved by the treatment with ${\gamma}$-APS due to the strong interface bonding, which was confirmed by SEM.

      • PET/CT 감쇠보정시 다양한 CT Kernel 적용에 따른 유용성 평가

        이재영,성용준,윤석환,박찬록,이홍재,노경운,Lee, Jae-Young,Seong, Yong-Jun,Yoon, Seok-Hwan,Park, Chan-Rok,Lee, Hong-Jae,Noh, Kyung-Wun 대한핵의학기술학회 2017 핵의학 기술 Vol.21 No.2

        PET/CT 영상 재구성시 감쇠보정맵을 사용하여 영상재구성에 적용한다. 감쇠보정 맵의 CT parameter을 변경하여 PET/CT 영상 재구성 할 때 적용하여 SUVmax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비교 평가해보고자 한다. 장비는 Biograph mCT 64를 사용하였고 Phantom은 NEMA IEC Body Phantom을 사용하였다. 실험을 위해 환자는 2017년 2월에서 3월까지 본원 PET/CT 검사를 시행한 환자 20명을 대상으로 Lung, Liver, Bone에 관심영역을 선택하여 기존 08f AC, 45f medium, 80f ultra sharp 방식의 CT kernel을 적용한 감쇠보정맵을 사용하여 PET/CT 영상 재구성에 도입 후 방사능 농도(kBq/mL), SUVmax, SD(standard deviation) 변화 유무를 평가하였다. Phantom 방사능 농도 측정 결과 B08f AC 대비 B45f 0.96%, B80f 6.58% 증가하였고 B08f AC 대비 B45f 0.86%, B80f 6.54%각각 증가하였고, SD의 경우 B08f AC 대비 B45f 1.27%, B80f 6.96% 증가하였다. 환자에서 부위별 SUV는 Lung에서 B08f AC 대비 B45f 1.6%, B80f 6.6%, Liver에서 B08f AC 대비 B45f 0.7%, B80f 4.7%, Bone에서 B08f AC 대비 B45f 1.3%, B80f 6.2% 증가를 보였다. 부위별 SD는 Lung에서 B08f AC 대비 B45f 6.2%, B80f 15.4%, Liver에서 B08f AC 대비 B45f 2.1%, B80f 11%, Bone에서 B08f AC 대비 B45f 를 사용할 때 2.3%, B80f 14.7% 증가를 보였다. CT Kernel변화에 따라 sharpness noise와 영상의 질은 변화를 보였으나 SUVmax와 SD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5). 핵의학 영상은 정량적인 평가가 중요하다 따라서 부위에 따라 CT kernel이 적절하게 조절되고 noise level이 낮은 감쇠보정 맵을 사용하여 PET/CT 재구성시에 적용하여 정량적 평가에 오류를 줄이는 것이 중요하다고 사료되므로 따라서 같은 부위라 할지라도 sharpness noise가 인위적으로 증가된 kernel을 사용하는 것보다 noise가 낮은 kernel을 사용하는 것이 SD편차를 줄이고 정량적인 평가에 오류를 적게 하여 정확한 진단과 SUV 측정에 유용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Recently PET/CT image's attenuation correction is used CTAC(Computed Tomgraphy Attenuation Correction). it can quantitative evaluation by SUV(Standard Uptake Value). This study's purpose is to evaluate SUV and to find proper CT kernel using CTAC with applied various CT kernel to PET/CT construction. Materials and Methods Biograph mCT 64 was used for the equipment. We were performed on 20 patients who had examed at our hospital from february through March 2017. Using NEMA IEC Body Phantom, The data was reconstructed PET/CT images with CTAC appiled various CT kernel. ANOVA was used to evaluated the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esult. Results The result of measuring the radioactivity concentration of Phantom was B45F 96% and B80F 6.58% against B08F CT kernel, each respectively. the SUVmax increased to B45F 0.86% and B80F 6.54% against B08F CT kernel, In case of patient's parts data, the Lung SUVmax increased to B45F 1.6% and B80F 6.6%, Liver SUVmax increased to B45F 0.7% and B80F 4.7%, and Bone SUVmax increased to B45F 1.3% and B80F 6.2%, respectively. As for parts of patient's about Standard Deviation(SD), the Lung SD increased to B45F 4.2% and B80F 15.4%, Liver SD increased to B45F 2.1% and B80F 11%, and Bone SD increased to B45F 2.3% and B80F 14.7%, respectivel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discovered in three CT kernel (P >.05). Conclusion When using increased noise CT kernel for PET/CT reconstruction, It tends to change both SUVmax and SD in ROI(region of interest), Due to the increase the CT kernel number, Sharp noise increased in ROI. so SUVmax and SD were highly measured, bu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herefore Using CT kernel of low variation of SD occur less variation of SUV.

      • SCOPUSKCI등재

        천연 제올라이트 / 에폭시 복합재료의 경화반응 속도론

        이재영,천인숙,심미자,김상욱 ( Jae Young Lee,In Sook Chun,Mi Ja Shim,Sang Wook Kim ) 한국공업화학회 1996 공업화학 Vol.7 No.2

        천연 제올라이트/에폭시 수지 복합재료의 경화반응 속도론을 연구하기 위해 DSC 분석법 중 승온적 방법을 이용하였다. 천연 제올라이트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반응 시작온도와 발열피크의 온도가 낮아졌다. Diglycidyl ether of bisphenol A(DGEBA)/4,4`-methylene dianiline(MDA)/malononitrile(MN, 10phr)에 제올라이트를 20phr 충전한 경우에는 하나의 발열피크가 나타나며, 30phr인 경우에는 shoulder가 나타났다. 40phr의 제올라이트가 충전된 경우에는 발열피크가 두 개로 분리되며, 첫번째 발열피크의 활성화에너지, Ea₁은 12.30 kJ/㏖이고, 두번째 발열피크의 활성화에너지, Ea₂는 12.70 kJ/㏖이었다. Natural zeolite/epoxy resin composites were prepared and the cure kinetics was studied by dynamic DSC analysis. With the increment of natural zeolite content, the reaction starting temperature and the exothermic peak temperature were decreased. When diglycidyl ether of bisphenol A(DGEBA)/4,4`-methylene dianiline(MDA)/ malononitrile(MN, 10phr) was filled with 20phr of zeolite, DSC thermogram had one peak and when it was filled with 30phr of zeolite, a shoulder appeared on the DSC thermogram. With the filling of 40phr of zeolite, DSC thermogram was separated into two peaks and the activation energy of the first peak, Ea₁ was 12.30 kJ/㏖ and that of the second peak, Ea₂ was 12.70 kJ/㏖.

      • KCI등재

        탄소성 거동의 유한요소해석 후처리 방법

        이재영,Lee, Jae-Young 한국전산구조공학회 2009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Vol.22 No.5

        컴퓨터의 성능이 향상되고 해석 알고리즘이 개선될수록 유한요소 모델링은 정교해지고 복잡해지는 경향이 있으며, 그에 상응하여 후처리 기술도 다양하게 발전하게 되었다. 이와같이 하드웨어적, 소프트웨어적인 진전을 바탕으로 탄소성해석에서는 더욱 세분화된 단계적 증분과 반복의 중간 계산 결과를 이용하여 탄소성 거동을 관찰하고 분석하는 것이 실용적인 의미를 갖게 되었다. 이 논문은 유한요소해석을 통해서 얻은 계산 결과로 부터 탄소성 재료의 역학적인 거동을 이론적으로 구성하고, 컴퓨터 그래픽스로 가시화하는 새로운 후처리 방법에 관하여 기술하였다. 또한 소성 거동의 진행을 표현하는 새로운 방법과 해석의 중간단계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항복곡면과 응력경로의 형태로 재구성하거나 또는 Mohr원과 파괴포락선의 형태로 재구성하여 탄소성 거동을 분석하고 이해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The postprocessing technology has been advanced diversely to accommodate the tendency of increasingly refined and complicated practices of finite element modeling in pace with enhanced capabilities of computers and improved algorithm of equation solvers. As a result of such progresses in both hardware and software, it became practically meaningful to inspect and analyze the elasto-plastic behavior using the intermediate results from the increasing number of incremental and iterative processes. This paper is concerned about the new methods of postprocessing with computer graphic visualization of elasto-plastic behavior on the basis of the theoretically reorganized analysis results. This paper proposes a new method of rendering the plastic zone, and new approaches of analyzing and interpreting the elasto-plastic behavior using the graphical information visualized in the form of the yield surface and the stress path, or in the form of the Mohr circles and the failure envelope.

      • KCI등재

        국내 구술사 연구 동향 분석 -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

        이재영,정연경,Lee, Jae-Young,Chung, Yeon-Kyoung 한국기록관리학회 2018 한국기록관리학회지 Vol.18 No.3

        본 연구는 1991년부터 현재까지 이루어진 국내 구술사 연구 동향을 분석함으로써 구술사를 둘러싼 연구 지형을 파악하고 향후 구술사 연구의 방향성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학술연구정보서비스에서 구술사로 키워드 검색을 시행하여 1991년부터 2018년까지 이루어진 국내 구술사 연구 논문 총 439건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그리고 이를 시기별로 연구 논문 생산량과 주요 학술지, 연구자 및 연구 재원, 연구분야 및 연구 내용, 국제 협력으로 구분하여 국내 구술사 연구 동향을 다각도로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도출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을 정리하고 후속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s of oral history research in Korea from 1991 to the present, and to provide basic data on the future direction of oral history research. For these purposes, 439 research articles of domestic oral history researchers from 1991 to 2018 were retrieved by keyword search from 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ystem (RISS) in Korean Education an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KERIS). The research trends of domestic oral history were analyzed by the volume of periodical research papers, major journals, authors and research funds, research fields and research contents, and international cooperation. Finally,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implications were summarized, and direction for follow-up research was provided.

      • SCOPUSKCI등재

        DGEBA - MDA - SN - Hydroxyl Group System 의 합성 및 복합재료 제조 : 2 . 섬유강화 복합재료의 파괴에너지

        이재영,심미자,김상욱 ( Jae Young Lee,Mi Ja Shim,Sang Wook Kim ) 한국공업화학회 1994 공업화학 Vol.5 No.4

        유리섬유/탄소섬유/에폭시 수지 hybrid 복합재료의 파괴에너지를 파괴메카니즘 측면에서 연구하였다. 에폭시 수지 매트릭스는 DGEBA(diglycidyl ether of bisphenol A)-MDA(4,4`-methylene dianiline)-SN(succinonitrile)-HQ(hydroquinone)를 사용하였다. 섬유강화 복합재료의 파괴에너지를 연구한 결과, 유리섬유와 매트릭스의 계면에서는 post debond friction energy가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debonding energy와 pull-out energy는 비슷한 값을 나타내었다. 탄소섬유와 매트릭스의 계면에서 파괴가 일어나는 경우에는 pull-out energy가 가장 큰 영향을 나타내었다. The fracture energy of glass fiber/carbon fiber/epoxy resin hybrid composite system was investigated in the aspect of fracture mechanism. Epoxy resin matrix was DGEBA-MDA-SN-HQ system. On the interface of glass fiber and matrix, post debond friction energy provided a major contribution to the fracture energy, and debonding energy and pull-out energy were of the similar value. In the case of fracture on the interface of carbon fiber and matrix, pull-out energy was the major contributor.

      • SCOPUSKCI등재

        Kissinger Equation 과 Fractional Life 법에 의한 DGEBA / MDA / MN 계와 DGEBA / MDA / MN / HQ 계의 경화반응 속도론

        이재영,심미자,김상욱 ( Jae Young Lee,Mi Ja Shim,Sang Wook Kim ) 한국공업화학회 1994 공업화학 Vol.5 No.4

        DGEBA/MDA/MN계와 이 계에 촉매로서 hydroquinone(HQ)를 첨가한 계의 경화반응 속도론을 Fractional life법 및 Kissinger equation에 의해 연구함으로써 HQ가 경화반응 속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경화반응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반응속도는 증가하였고, 반응차수는 약간의 변화가 있을 뿐 경화온도에 따른 경향성은 없었다. 촉매로 HQ를 첨가한 계가 첨가하지 않은 계보다 반응속도는 크게 증가하였고, 활성화 에너지는 13% 감소하였다. 이는 HQ의 히드록 시기가 에폭사이드기, 아민기와 반응하여 전이상태를 형성함으로써 에폭사이드 고리를 쉽고 빠르게 개환시켜 주기 때문이다. Cure kinetics of DGEBA/MDA/MN system with and without HQ were studied by Fractional life method and Kissinger equation. And the effect of HQ as a catalyst was studied As cure temperature increased, the reaction rate increased and reaction order was almost constant. The activation energy of the system with HQ was lower about 13% and the reaction rate was higher than that of the system without HQ. It was because hydroxyl group of HQ formed a transition state with epoxide group and amine group and opened the epoxide ring easily and rapidly.

      • KCI등재

        공원부족구역 분석을 통한 도시공원 확충방안 연구 - 강릉시를 대상으로 -

        이재영,김태경,Lee, Jae-Young,Kim, Tae-Kyung 한국조경학회 2011 韓國造景學會誌 Vol.39 No.3

        본 연구는 강릉시의 저탄소 녹색도시 실현을 위한 방안으로 탄소흡수원으로서의 도시공원을 확충하기 위해 그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은 공원유치권과 동별 공원면적을 분석지표로 설정하여 각 지표에 대한 공원부족구역을 분류하고, 분류된 공원부족구역을 상호 중첩시켜 공원부족정도를 등급분류하였다. 이에 따라 우선적으로 공원 확충이 필요한 구역을 우선순위 평가를 통하여 설정한 후 실제 조성 가능한 대상지를 선정하였다. 먼저 공원유치권과 동별 공원면적에 대한 공원부족구역을 분석한 결과, 주로 오래된 주거 밀집지역이거나 공업지역에 해당되어 공원조성이 되지 않은 대상지 동쪽지역의 송정동과 성덕동이 공원부족정도가 가장 심각한 지역으로 나타났고, 인구밀도가 높으면서 공원이 부족한 지역은 포남동, 옥천동, 홍제동 일대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공원부족구역이 넓게 차지하고 있는 대상지의 동쪽지역과 홍제동은 공원 확충이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지역이며, 이 지역에서 실제 조성가능한 대상지는 학교숲 공원화, 시설이전지 공원화, 법적 검토를 통한 공업지역의 신규 소공원 조성 등의 유형으로 분류하여 선정하였다. 또한 공원 확보에 따른 공원부족구역 분석지표에 대한 재평가를 한 결과, 공원유치권에 대하여 공원의적절한 위치 선정으로 공원부족구역이 해결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1인당 공원면적 $3m^2$에 대한 충족여부도 송정동을 제외한 나머지 동들은 모두 확보기준 이상으로 나타나 공원이 균등하게 분배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송정동과 성덕동의 일부 공원부족구역이 나타났는데, 이는 인접해 있는 경포도립공원, 해변, 남대천 등을 대체 공원자원으로 활용한다면 해결될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plans to increase the number of urban parks as a way to help absorb carbon in order to implement the low carbon green city goals of Gangneung. As a study method, park incentive areas and current park areas were set as parameters and the areas of lacking in park space were categorized according to each indicator. The degree of park shortage was classified by overlapping the park shortage areas. Once the areas needing parks were assessed according to priority, target sites were selected on sites where construction would be actually possible. First, results of analysis showed that Songjeong-Dong and Seongdeok-Dong to the east of the target site lacking park space due to old residences and high population density or industrial use areas, were the most severe in the degree of park shortage. It was also shown that areas with high population density and park shortages included the Ponam-Dong, Okcheon-Dong and Hongje-Dong areas. Accordingly, the east side of the target areas and Hongje-Dong were both considered as high-priority areas needing to increase park space and actual possible target sites were selected for the creation of new, small parks in industrial areas by creating parks in school yards, in facility relocation sites and legal reviews. In addition, analysis indicators of park shortages were re-evaluated according to the securing of the park and it was shown that the problems in park shortages were resolved with the proper positioning of parks. In addition, satisfaction in the area of park per person, $3m^2$ was at a higher than a certain level in all areas except Songjeong-Dong, demonstrating that the park areas were evenly distributed. Areas of park shortage were shown in part of Songjeong-Dong and Seongdeok-Dong. This could be resolved by using alternative park resources such as the adjacent Gyeongpo Provincial Park, the beach and Namdaeche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