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만성 신질환 환자에서 발생한 고관절부 골절의 수술 후 합병증

        배인탁 ( In Tak Bae ),이우석 ( Woo Suk Lee ),김상범 ( Sang Bum Kim ),허윤무 ( Youn Moo Heo ),박철용 ( Cheol Yong Park ) 대한고관절학회 2009 Hip and Pelvis Vol.21 No.2

        목적: 만성 신질환 환자에서 고관절부 골절의 수술 후 합병증 발생과 사망률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1년 02월부터 2007년 02월까지 만성 신질환 환자 중 고관절부 골절로 수술적 치료를 받았던 59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 연령은 72(45~83)세였고, 남자가 21예, 여자가 38예였다. 대퇴골 경부 골절은 14예, 대퇴골 전자간 골절은 45예이었다. 연령, 성별, 기존질환, 골밀도, 수술 전 폐기능 검사, 수술 시기, 수술 방법, 마취 위험도에 따른 미국마취과 학회 분류, 추정 사구체 여과율 등에 따른 수술 후 합병증과 사망률을 분석하였다. 결과: 만성 신질환을 가진 59명의 환자에서 수술 후 합병증은 35.9%, 사망률은 15.3%이었다. 수술 전 낮은 폐기능은 수술 후 사망률을 증가시켰으며, 수술 시기, 미국마취과 학회 분류 등이 수술 후 합병증과 사망률에 영향을 주었다. 결론: 만성 신질환 환자에서 고관절부 골절의 수술 후 합병증은 호흡기 계통의 질환이 많이 발생하였고, 사망의 원인은 폐렴과 패혈증에 의한 경우가 많았으므로 감염에 주의를 요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valuate the factors affecting the complications and the mortality rate after surgery for hip fractures in patients with chronic kidney disease. Materials and Methods: We retrospectively analyzed 59 patients with chronic kidney disease and who were managed with surgical treatment after hip fracture between February 2001 and February 2007. The average age was 72 (range: 45~83) years old. There were 21 men and 38 women. The postoperative complications and mortality rate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patients` age and gender, the comorbid medical diseases, the preoperative pulmonary function tests, the timing of the operation and the operation methods, the American Association of Anesthetists score and the estimated glomerular filtration ratio (eGFR). Results: For 59 patients with chronic kidney disease, the overall complication rate was 35.9% and the mortality rate was 15.3%. The patients with poor pulmonary function showed a high mortality rate in the postoperative period. The timing of the operation and the ASA score were associated with the postoperative complications rate and the mortality rate. Conclusion: Respiratory complications were dominant in the hip fracture patients with chronic kidney disease. The cause of death was mainly associated with pneumonia and a septic condition. Careful management must be done during the postoperative period to prevent infectious complications.

      • 슬관절 관절경 수술시 세척액 - 생리 식염수와 Lactated Ringer 용액의 비교

        이우석,배인탁,허윤무,박원기,오병학,정환용,Lee, Woo-Suk,Bae, In-Tak,Hur, Yun-Moo,Park, Won-Ki,Oh, Byung-Hak,Chung, Whan-Yong 대한관절경학회 2008 대한관절경학회지 Vol.12 No.2

        목적: 슬관절 관절경하 반월상 연골 수술 시 생리 식염수와 Lactated Ringer 용액을 세척액으로 사용하여 임상적인 결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내측 반월상 연골 파열로 관절경하 내측 반월상 연골 부분 절제술을 시행한 64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제 I 군은 세척액으로 생리 식염수를 사용한 군으로, 제 II 군은 세척액으로 Lactated Ringer 용액을 사용한 군으로 분류 하였다. 수술 후 1일째의 visual analogue scale, 능동적 슬관절 굴곡 각도 및 슬관절 둘레의 증가율를 측정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수술 후 1일째의 visual analogue scale 및 능동적 슬관절 굴곡 각도의 비교는 통계학적으로는 두군 간에 유의성은 없었다. 그러나 수술 후 슬관절 둘레의 증가는 Lactated Ringer 용액을 사용한 군에서 생리 식염수를 사용한 군에 비해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적었다. 결론: 슬관절 반월상 연골 수술 시 Lactated Ringer 용액이 수술 후 부종의 감소에 생리 식염수보다 좋을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clinical results of noraml saline and Lactated Ringer's solution in the arthroscopic meniscus surgery on the knee. Materials and Methods: The study group included 64 patients who had an medial meniscus tear and received arthroscopic partial medial meniscectomy. The group I was normal saline group, which was used as an irrigation solution during operation. The group II was Lactated Ringer's solution group. We measured the visual analogue scale, painless active knee flexion angle, and the ratio of the knee swelling at postoperative one day for all patients. Results: The visual analogue scale and the painless active knee flexion angl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mparing with normal saline and Lactated Ringer's solution group. The ratio of the knee swelling in Lactated Ringer's solution group was significantly less than those of noraml saline group. Conclusion: Lactated Ringer's solution has an advantage of decreasing the knee swelling in the arthroscopic meniscus surgery on the knee.

      • KCI등재

        무혈성 괴사에 이환된 대퇴골두 연골세포의 세포외 기질 mRNA 발현

        정환용 ( Whan Young Chung ),이우석 ( Woo Suk Lee ),김상범 ( Sang Bum Kim ),배인탁 ( In Tak Bae ),박원기 ( Won Ki Park ) 대한고관절학회 2008 Hip and Pelvis Vol.20 No.4

        목적: 대퇴골두 무혈성 괴사의 관절 연골세포에서 제2형 교원질, aggrecan,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A (VEGF-A), pigmented epithelium-derived factor (PEDF) mRNAs의 발현 정도를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대퇴골두 무혈성 괴사로 인공 고관절 전치환술을 시행한 환자의 대퇴골두 관절연골에서 분리 배양한 연골세포를 삼차원 배양하여 제 2형 교원질, aggrecan, VEGF-A mRNA, PEDF mRNA 발현을 실시간 중합효소 연쇄반응법(Real-time PCR)으로 측정하였다. 결과: 대퇴골두 무혈성 괴사군의 관절 연골세포에서 제2형 교원질과 aggrecan mRNA의 발현은 감소하였다(p<0.05). VEGF-A mRNA와 PEDF mRNA의 발현은 정상 연골에 비해 차이가 없었다(p>0.05). 결론: 무혈성 괴사에 이환된 대퇴골두 연골세포의 연골 기질 형성 능력이 떨어져 있었다.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xpression of type Ⅱ collagen, aggrecan, VEGF-A and PEDF mRNAs in the human chondrocytes derived from the articular cartilage of the femoral heads with avacular necrosis (AVN). Materials and Methods: We cultured human chondrocytes that were primarily derived from the articular cartilage of femoral heads with AVN. We evaluated the mRNA expression of type Ⅱ collagen, aggrecan, VEGF-A and PEDF. Results: The chondrocytes of the AVN group showed decreased expressions of type Ⅱ collagen mRNA and aggrecan mRNA (p<0.05). The expression of VEGF-A mRNA and PEDF mRNA in the AVN group was the same as that of the normal group (p>0.05). Conclusion: The cartilage matrix`s formation ability was found to be decreased in the chondrocytes of the femoral heads affected by AVN.

      • KCI등재

        Bilateral Bipartite Carpal Scaphoid

        Sang-Bum Kim(김상범),Woo-Sik Kim(김우식),Whan-Yong Chung(정환용),Taek-Soo Jeon(전택수),In-Tak Bae(배인탁) 대한정형외과학회 2005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0 No.5

        이분 주상골은 드문 기형이며 아직도 그 선천성 혹은 외상성의 논란의 여지는 있으나 대부분의 보고가 선천성의 가능성을 시사 하고 있다. 현재 까지 이분 주상골에 대한 국내 증례보고는 없었으며 이에 저자들은 38세 남자의 이분 주상골의 증례를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Bipartite scaphoid is a rare anomaly and it has been questioned as whether it is of congenital origin or traumatic. However, many authors have reported that congenital origin is more probable. There was no case report in Korea about bipartite scaphoid, but this article reports a case of a 38-year-old male with bilateral bipartite scaphoid.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