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항정신병약물 사용 중인 정신분열병 환자에서 올란자판으로의 교체 방법에 관한 연구(II) : Comparison of Safety 안전성 비교

        안용민,권용실,권준수,민성호,박두병,양문정,소형석,송종호,신윤식,우행원,유범희,이홍석,정한용,한창환,김용식 大韓神經精神醫學會 2002 신경정신의학 Vol.41 No.5

        연구목적: 이 다기관 공동임상연구는 사용 중인 항정신병약물을 ’직접 교체 방법’또는 ’시작-감량 교체 방법’중 한 가지 방법으로 올란자핀으로 교체한 후, 안정성 측면에서 두 교체 방법 간의 비교와 교체후의 변화를 관찰하기 위한 것이다. 방법: 국내 13개 병원의 입원 및 외래에 내원한 환자들 중 ICD-10 지단기준으로 정신분열병에 해당되며, 임상적으로 항정신병약물 교체가 필요한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두 가지 교체 방법 중 한 가지를 무작위로 피험자에 적용하였으며, ’직접 교체 방법’에 배정된 경우에는 사용중인 항정신병약물을 일시에 중단하고 10㎎의 올란자핀을 바로 투여하였고, ’시작-감량 교체 방법’에 배정된 경우는 10㎎의 올란자핀 투여하고 2주에 걸쳐서 기존 약물을 감량하여 중단하였다. 올란자핀 사용기간은 총 6주이며, 용량은 5∼20㎎ 범위로 제한하였다. 한정성 평가를 위해서 체중, 생명징후, 자발적인 이상반응 복, 실험실 검사 그리고 Simpson-Angus Scale(SAS), Barnes akathisia rating scale(BARS), Abnormal involuntary movement scale(AIMS). Liverpool University neuroleptic side effect rating scale(LUNSERS)등을 이용하였다. 결과: 총 103명의 정신분열병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사용한 올란자핀의 용량, 벤조디아제핀의 병용률, 탈락률과 탈락 사유, 자발적인 이상반응 보고, 생명징후, 실험실 검사 그리고 대부분의 부작용 척도 상에서 임상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를 두 교체 방법간에 발견하지 못하였다. 다만 AIMS의 감소는 ’직접 교체 방법’군에서 보다 적었고, 항콜린제의 병용률은 ’시작-감량 교체 방법’군에서 보다 많았다. 기저 상태에서 전체 피험자의 SAS와 BARS 점수는 각각 3.5점과 1.8점이었으며 70% 이상의 피험자가 고프로락틴 혈증을 보였다. 올란자핀으로 교체한 후, SAS, BARS, AIMS 점수의 유의한 감소가 있었으며 고프로락틴 혈증을 보인 피험자 분율도 약 30%이하로 감소하였다. 그러나 교체 방법과 상관없이 올란자핀 교체 후 유의한 체중 증가가 있었다. 결론: 이 연구를 통해 교체 방법에 관계없이 비교적 안전하고 용이하게 올란자핀으로 교체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기존 항정신병약물을 올란자핀으로 교체함으로써 일부 부작용들을 줄일 수 있음을 간접적으로 관찰할 수 있었다. 하지만 이 연구는 여러 제한점과 문제점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보다 체계적인 연구를 통해 검정이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Objectives: This multicenter clinical trial involving 13 hospital sites compared the safely of switching to olanzapine between ’direct switching method’ and ’start-tapering switching method’. Method: This study included both inpatients and outpatients who fulfilled the criteria for schizophrenia as defined in the ICD-10, and were in need to be appropriate for switching antipsychotics. Subjects were randomly assigned to one of the two switching methods. For ’direct switching method’group, previous antipsychotics were abruptly discontinued and 10㎎ of olanzapine was administered, and previous antipsychotics was gradually tapered for 2 weeks. Olanzapine was used for 6 weeks and the dose was adjusted within the range of 5-20㎎. The safety of switching to olanzapine was measured with vital sings including body weight, adverse events reported spontaneously, laboratory tests, and various scales such as Simpson-Angus Scale(SAS), Barnes Akathisia Rating Scale(BARS). Abnormal Involuntary Movement Scale(AIMS), and Liverpool University Neuroleptic Side Effect Rating Scale(LUNSERS). Results: 103 patients were switched to olanzapine in this study. The comparison between two switching methods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osage of olanzapine used, the concomitant use of benzodiazepine, the rate and reasons of drop-out, the adverse events, vital signs, laboratory tests, and most scales for measuring side-effects. However, the decrease in AIMS scores was significantly lower in ’direct switching method’ group, and the concomitant use of anticholinergics was comparatively greater in ’start-tapering switching method’ group. At baseline, SAS and BARS scores were 3.5 and 1.8 points respectively, and more than 70% of the subjects showed hyperprolactinemia. After switching to olanzapine, SAS, BARS, and AIMS score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and the proportion of the patients with hyperprolactinemia was also decreased to less than 30%. However significant weight gain after the treatment of olanzapine was observed regardless of switching method. Conclusion: This study may suggest that switching to olanzapine can be done with relatively high safety regardless of switching methods and olanzapine can significantly decrease some side-effects induced by other antipsychotics.

      • 煙草의 折衷被覆栽培에서 着根肥 施用이 初期生育에 미치는 影響

        張鎔煥,石泳善,裵吉寬 충북대학교 엽연초연구소 1999 煙草硏究 Vol.17 No.-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tarter solution on the growth responses of flue-cured tobacco at the transplanting time, which had been cultivated with compromised mulching culture system, and to find out the ways to reduce the damages at the early growth stage due to low temperature and drought.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1.Soil moisture content of the compromised mulching plot at the early growth stage after transplanting was lower, 2∼4%, than that of the pit-covered mulching culture. 2.The growth of flue-cured tobacco during early growth stage in compromised mulching culture plot were delayed about 5 days compared to those of the pit-covered mulching culture. 3.200ppm of (NO4)2SO4, NH4NO3 and KNO3 application had accelerating effects on the early growth of tobacco. 4.By applying 200 and 300ppm of KNO3 and 100 and 200ppm of NH4NO3 as starter solution, the growth of length and width of largest leaf, plant height, weight of top and roots, root length were accelerated during early growth stage.

      • KCI등재후보

        장기간 운동이 노인들의 심혈관계 기능 변화에 미치는 효과

        지용석,김동진,유신환 대한스포츠의학회 2004 대한스포츠의학회지 Vol.22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nge of related factors in cardiovascular function variables after long duration regular exercise program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0 older man and women residing Seoul-Seniors-Tower. All of subjects divided to four groups, exercise group 20(man = 10, women = 10) was participating in an exercise program for 3 years, and the other group or non-exercise group 20(man = 10, women = 10) was not in that program. In the results, Changes of cardiovascular function were significantly improved in peak oxygen uptake, ventilation, rest blood pressure of cardiovascular function variables in male or female exercise groups after 3 years' exercise program. Also, we have been known to the facts that although the cardiopulmonary variables of men are superior to those of women, if being exercised for a long time, the women's cardiopulmonary variables(e.g. Endurance time, HRrest, SBPrest, SBPmax, DBPrest, RPPrest, and RPPmax) would not different from those of the men especially in old ages. As a conclusion, we could know that not only the regular exercise might increase or change almost the cardiovascular function variables except for V ˙O2max, Ventilation, and HRmax of elderly people, but also the sex's differences were vanished in endurance time, HRrest, SBPrest, SBPmax, DBPrest, RPPrest and RPPmax between males and females. Therefore, we might tell that exercise programs could provide an excellent parameters for enforcing or keeping the cardiovascular functions of elderly people.

      • KCI등재

        정신장애인 가족에 대한 사회복지사의 관점에 관한 연구

        서진환,김용석 한국 정신보건 사회사업학회 2000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10 No.-

        정신보건영역에서 사회복지사는 정신장애인 및 환자가족들과 가장 밀접하게 관여하고 있는 전문직으로서, 가족이 정신장애인에게 주는 영향에 대한 사회복지사의 인식 및 태도는 이들의 서비스 제공에 중요한 영향을 줄 수 있다. 1950년대의 가족체계이론에 기초한 전문가들이 정신장애인의 가족을 정신장애의 원인으로 보는 관점을 가지고 있을 때, 가족들은 치료장면에서 소외되거나 비난받는 결과를 가져오게 되었다. 그러나, 정신장애의 생물학적 원인에 대한 최신의 연구결과 및 탈시설화로 인한 가족의 중요성에 대한 인정으로 가족원인론을 포기하게 되고, 질병과정에서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가족요인(예: 높은 EE) 또한, 가족의 성격특성이라기보다는 가족성원의 정신장애로 인한 스트레스에의 반응행동이라는 관점이 대두하게 되면서, 전통적 가족치료 대신 가족의 교육과 정서적 지지의 제공을 목적으로 하는 가족접근이 주류를 이루게 된 것이다. 정신보건영역에서 정신장애의 발병과 질병과정에 정신장애인 가족이 주는 영향에 대한 전문가의 관점이 변화하고 있고 이에 따른 개입방법의 전환이 이루어져 있는 상황에 있는 것이다. 본 연구는 우리의 사회복지실천현장에 있는 사회복지사들이 이러한 변화에 얼마나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는지를 알아봄으로써, 사회복지 교육과 훈련과정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조사 결과, 우리의 사회복지사들은 정신장애인가족에 대하여 새로운 관점을 수용하면서도 아직까지 가족체계론적 이론에 기초한 가족원인론의 영향을 받고 있어 치료목표설정과 가족에 대한 태도가 서로 모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정신장애영역에 대한 사회복지교육과 임상훈련과정에서 발병의 원인과 지속요인 및 치료적 개입의 방향에 대한 일관된 방향 제시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Since social workers have become the professionals most intensively involved with the severely mentally ill and their families, social worker views about the impact of the family on the etiology and treatment of mental disorder affect their services for patients and their families. During the time when the prevalent family systems theories perpetuated the notion that the family was the major cause of mental disorders, families with a mentally ill member were either neglected or ineffectively used in the treatment of the disorder. While such approaches have been largely refuted and discarded within the profession of mental health owing to the critical review of family culpability, the accumulation of evidence supporting a biological bases for the mental illness, and the recognition of family burden and needs, they persist among practitioners unaware of the latest scientific data. The current study reports that although Korean social workers recognize the importance of biological factors, they believe that parental and family culpability are also important causes. The results suggest that we are in need of curricular revisions that reflect what is currently known about serious mental illness and the role of families in treatment. A specific attention should be paid to the biological aspects of psychotic illnesses, family burden and needs, and a critical review of the family pathogenesis literature.

      • 표재성 방광암에서 Bacillus Calmette-Guerin 방광 내 주입요법 : 장기적 추적결과 Long-term Follow up Results

        김용웅,왕세환,육승모,한동석,노안식,나용길,설종구 충남대학교 의학연구소 2003 충남의대잡지 Vol.30 No.2

        To evaluated the results of long-term follow up of superficial bladder cancer patients who were treated with transurethral resection and intravesical BCG therapy. Between April 1989 and December 1997, 65 patients with superficial bladder cancer were treated with TUR-B(Transurethral resection of bladder tumor) and intravesical BCG instillation, and follow-up was performed for 5 years longer, and the mean follow-up duration was 82 months. Of 65 patients, pathologic stage were Ta in 17 cases and T1 in 48 cases and grade were G Ⅰ in 22 cases, G Ⅱ in 35 cases and G Ⅲ in 8 cases. The tumor recurred in 22(33.8%) at the median of 21.8 months and the tumor progressed in 9(13.8%) at the median of 20.8 months. Most of the recurrences and progression were within 3 year(838 and 77%). Progression is more likely in higher grade(G Ⅱ, G Ⅲ) and higher stage(T1). The complete response rate after first and second courses of BCG therapy were 53% and 73% and the 5 and 10 year disease specific survival rates were 89.5 and 78% respectively. The complete response rate after first and second courses of BCG therapywere 53% and 73%. Most of recurrences and progressions were within 3 years of the BCG therapy, but some cases occured after 5 years. Therefore, close long-term follow up is needed.

      • 토끼에서 Etofenprox와 Spinosad 합제의 국소자극성 시험

        황윤환,김명석,송인배,박병권,양승호,임용현,송치용,안성한,남현수,임정교,정상일,명노일,윤효인 忠南大學校 獸醫科大學 附設 動物醫科學硏究所 2008 動物醫科學硏究誌 Vol.15 No.1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ion the skin and eye irritation of etofenprox 8% and spinosad 4% combination in male New Zealand White rabbits. In skin irritation test, the combination of etofenprox and spinosad did not showed any change of body weight but caused slight skin irritation with the P.I.I. (primary irritation index) value 0.25. The etofenprox and spinosad combination showed severe eye irritation 1 h, 24 h, 48 h, and 72 h after ocular treatment, having the A.O.I. (acute ocular irritation) value of 37.3. Therefore, these result indicated that the combination of etofenprox and spinosad might be irritant formulation on eye and skin.

      • 정확한 완충기체효과가 적용된 질량분석원리에 대한 다중입자 분석 전산시늉

        이유용,이원욱,오차환,김필수,송석호 한양대학교 자연과학연구소 2001 自然科學論文集 Vol.20 No.-

        질량분석기로 사용되는 폴 트랩 내에서 보다 실제적인 이온운동을 예측해내기 위하여 약 2천 개의 다중입자의 궤적에 대한 계산을 실시하였다. 보다 정확한 질량 분석스펙트럼을 얻기 위하여 충돌확률에 대한 보다 정확하고 실질적인 함수 값을 도입하였다. 계산된 전산시늉의 결과들로부터 특히 작은 질량의 영역에 대한 분석을 할 경우 본 논문에서 제시된 바와 같이 매우 정확한 충돌확률이 고려되어야 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To predict the practical characteristics of ion motion in the paul trap as a mass spectrometer, the ion trajectories of the multi-particle(over than 2000 particles) were calculated. In order to expect more practical mass spectrum, the exact expressions for the collision probability was adopted. From the simulation result, we found that the exact collision probability has to be considered to analyze the materials existed in the low mass region.

      • 한국산 자리공 자리공 열매의 적색소를 이용한 식용색소 : Ⅱ. 활성 사포닌을 제거한 색소의 안정성과 가공적성 Ⅱ. Color Stability and Characteristics as Food Colorant of Saponin-Free Pokeberry Pigments

        박용석,서지연,황혜정,박기환,윤광로 中央大學校 食糧資源硏究所 2003 食糧資源硏究所 論文集 Vol.15 No.1

        우리나라산 자리공 열매의 색소 함량은 산지에 따라 건물 g당 48.56에서 62.16mg으로 천연색소 자원으로 높은 편이였으며 산지간의 격차가 크지 않아 자원성이 좋은 편이었ㄷ. 자리공 열매의 적색소를 absolute ethanol 침전법으로 분획하는 과정에서 활성 사포닌이 95% 이상 제거되며 이 색고 침전물을 silica gel column이나 Sephadex G-25 column으로 정제함으로서 색소의 순도를 높일 수 있었다. Absolute ethanol 처리와 column 정제법을 응용하여 활성 사포닌을 제거 한 실험용 자리공 열매색소 분획 모두 색소 안정성이나 가공적성에서 뚜렷한 차리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absolute ethanol만 처리한 색소제품이나 이를 column chromatography로 정제한 색소분획 모두 고순도의 천연색소 첨가물로의 응용 가능성은 분명하였다. 이들 활성 사포닌을 제거한 자리공 열매색소의 색소안정성과 가공적성은 다음과 같이 요약 할 수 있다. 즉, pH 안정범위는 4.8-6.0이었으며, 열에 대한 안정성을 조사한 결과는 4℃에서 45일 저장했을 때는 70%의 색소 잔존율을 나타낼 정도로 안정한 편이었지만 25℃에서는 10일째에서 70% 잔존율을, 50℃이상의 온도에서는 수 시간 정도에서 50%이하의 색소 잔존율을 보여 전반적으로 열 안정성은 불량한 편이었다. 한편 이들의 존재 하에서는 급격한 변색이 진행되었다. 자리공열매 색소에 대하여 ascorbic acid나 palmityl ascorbate의 첨가는 색소 잔존율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chlorogenic acid, resocinol 그리고 catechin의 첨가도 마찬가지였다. 포도당, 과당, 맥아당, 설탕, 펙틴, 셀루로스 그리고 cyclodextrin 등의 탄수화물도 전혀 영양을 미치지 않았다. 1000ppm 이내의 EDTA나 citric acid, malic acid 또는 oxalic acid 등의 산도 미치지 않았다. 금속이온으로서, Ca^(2+)과 Al^(3+)의 첨가는 색소의 잔존율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Cu^(2+)나 Fe^(2+)의 첨가는 심한 변색을 초래하였다. 자리공 열매즙의 무수 알코올 처리물(적색 색소 침전물)은 soft gel, firm gel 또는 캔디 등의 고형 식품에 잘 어울리고, 음료에서는 변색이 빠르게 진행되며, 특히 요구르트의 경우가 가장 민감하였다. 결론적으로 보면, 우리나라산 자리공 열매에서 활성 사포닌을 제거하고 확보한 색소제품은 사탕무의 betanin과 거의 같은 색소안정성과 가공적성을 보여 줌으로서 사탕무색소 첨가제인 beet red를 대신할 수 있으며 색소의 함량이나 순도라는 관점에서는 훨씬 우수할 것으로 사료된다. To evaluate the basic data on the color stabilities of saponin-free pokeberry pigment products, % remain of pigment were calculated from absorbances of solutions stored at various conditions. The pigment products were estimated to be very stable at pH 4.8-6.0. Thermostability of pH 5.0 solution of pigment products could be kept stable below 4℃. Addition of Cu2+ or/and Fe2+ decreased the % remain of pigment, whereas most food components had no offset the stability of pokeberry pigment. The color changes of some model foods having pokeberry pigment were checked by Hunter color differerence meter for 45 days. In solid foods like gels and candy the changes of color difference were very slower than that of model beverages. Application of pokeberry pigment to soft drink and yogurt were found to be effective at the refrigerated condition.

      • UV/TiO_(2) 수처리 공정에서의 살균에 관한 연구

        이규환,이상진,이용재,이동석 강원대학교 산업기술연구소 2007 産業技術硏究 Vol.27 No.A

        This study investigated disinfection effect by general water purifier and water purifier with UV light disinfect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 (ⅰ) The general bacteria existed plentifully in a storage tank before treatment (ⅱ) Water treated in water purifier did not meet the water treatment regulation standard since the presence of bacteria, whereas with UV light application the regulation standard is totally satisfied. (ⅲ) Photocatalytic disinfection process with UV light in the presence of TiO_(2) more effectively killed general bacteria than UV light on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