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A Comparative Analysis of Objective Statements in Syllabi for English Teacher Education in Finland and South Korea

        이진경(Lee, Jinkyong),Hilden, Raili 한국비교교육학회 2021 比較敎育硏究 Vol.31 No.2

        [연구목적] 이 연구는 한국과 핀란드의 영어교사 교육과정을 비교하였다. 연구의 목적은 두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두 나라의 교사교육에서 추구하는 전문적 교사 역량은 무엇인가 하는 것과 둘째, 그러한 역량이 교육과정에 어떻게 반영되어 있는가를 살펴보았다. [연구방법] 연구 자료는 두 연구자가 소속된 대학의 교육과정의 교수요목을 분석한 것이다. 특히 지식, 기술, 그리고 품성으로 구성된 교사역량 체계를 기반으로 강좌의 목표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연구 결과, 한국의 교사교육 강좌에서는 기술영역보다는 지식 영역이 더 강조된 반면, 핀란드의 경우에는 기술영역이 강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각 대학의 교육 프로그램이 실제성에 두는 비중이 다른 데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핀란드의 영어교사 교육은 다양한 실습 과목에 기술 영역을 통합한 반면, 한국의 영어교사 교육은 실습이 다소 제한적이었다. 교사로서의 가치와 품성 영역은 기본적인 교사의 역량임에도 불구하고 두 나라의 교사교육 과정에서 중요성이 드러나지 않았다. [결론] 교사역량을 구성하는 큰 범주인 지식, 기술, 그리고 품성 영역 간의 균형뿐만 아니라 영역 내부의 요소 간에도 균형이 필요하다. 특히 일반 교육학 지식 중심의 강의 목표설정에서 벗어나 세부적인 교과교육학 지식과의 균형있는 관점이 필요해 보인다. 또한 정보통신 기술의 적극적인 통합과 같은 미래지향적인 관점의 도입이 필요하다. Purpose: This paper compared the curricula of English teacher education programs in Finland and Korea.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wo folds: to explore what the professional teacher competencies of both countries pursue and how they are reflected in course syllabi. Methods: Data are collected by analyzing course syllabi presented on web pages of each university where the researchers are teaching. Specifically, the study analyses course objective statements using the teacher competence framework, which consists of knowledge, skills, and dispositions. Results: The results show that the knowledge domain is more emphasized in Korean English teacher education courses, while skills prevail in the Finnish program. The different value each teacher education curriculum places on the teaching practicum might produce the result. The Finnish English teacher program integrates skill domains into extensive practice courses, while the practice is more modest in the Korean program. The domain of values and dispositions seems to have less importance in both countries curricula, although dispositions are fundamental in teacher competencies. Conclusion: Both countries’ teacher education needs to achieve a balance between knowledge, skills, and disposition, which are large categories of teacher competence, as well as among elements within each domain. In particular, it seems necessary to deviate from the GPK-centered goal setting and have a balanced perspective with PCK. Also, it is required to introduce a future-oriented perspective such as active integration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