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아용 분말죽 제품의 고객요구품질과 내부관리요소 규명을 위한 QFD Model과 Kano-QFD Model 비교

        조해림(Haelim Cho),장혜자(Hyeja Cha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21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50 No.6

        우리나라의 출산율은 계속 하락하고 있으나, 젊은 부모의 라이프스타일 변화에 따라 이유식이나 유아용 간편 편의식 시장은 크게 성장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용 분말죽 제품의 잠재 고객인 단체급식 시장의 메뉴작성자를 대상으로 유아용 분말죽 제품의 주요 품질특성의 우선적 개선품질과 이에 대한 관리활동의 우선순위를 QFD(Quality Function Deployment) 모델과 Kano-QFD 모델을 적용하여 평가하였다. 또한 유아용 분말죽 제품의 품질 속성을 Kano 모델로 분류하여 제시하였다. 유아용 분말죽 제품에 관한 고객요구품질 속성을 Kano 범주로 분류한 결과, 매력적 품질은 단백질 풍부, 철분 함유, 칼슘 함유, DHA 함유, 휴대 편리성, 건강식 이미지, 유아 친화적 이미지이고, 일원적 품질은 제품이 맛있음, 미생물 기준규격 적합, 영양적으로 우수, 알레르기 식품 표시, 물에 잘 풀려야 함이며, 당연적 품질은 재료 본연 맛 느낌, 식품 구성성분 표시, 무관심 품질은 산패취 없음, 첨가물 무첨가로 나타났다. 고객이 요구하는 제품의 품질 속성에 대한 조정된 중요도는 QFD 모델에서 산패취 없음, 알레르기 식품 표시, 제품이 맛있음으로 위생, 제품의 구성성분 표시, 미생물 기준규격 적합 순으로 나타났다. Kano-QFD 모델에서는 칼슘 함유, 단백질 풍부, DHA함유, 철분 함유 등 영양적 특성의 순으로 나타났다. 고객요구품질을 충족하기 위한 제품개발자의 기술적 관리활동 우선순위는 QFD 모델의 경우 주재료의 함량, 원재료의 신선도(품질) 유지, 주식재료를 포장지에 그림으로 넣기, 녹색(환경)으로 표현하기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Kano-QFD 모델에서는 주재료의 함량, 주식재료를 포장지에 그림으로 넣기, 단백질을 함유한 천연 식재료 첨가, 칼슘을 함유한 천연식재료 첨가 순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 Kano-QFD 모델은 고객 만족과 불만족에 영향을 주는 품질특성을 분류하고 만족을 유발하는 품질 속성에 더 높은 가중치를 부여함으로써, QFD 모델보다 소비자의 요구도를 더 정확하게 반영하고 고객 만족을 극대화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Despite the decline in Korea’s fertility rate, the baby foods market has expanded rapidly. This study compared the Quality Function Deployment (QFD) model and the Kano-QFD model in identifying the quality requirements of baby food consumers and the management activities for product developers to achieve consumer-driven qualities. Data were collected from 48 potential consumers for the product taste and consumer survey and five food product developers for managerial requirements. From the Kano categories on the quality attributes, the attractive quality included richness in protein, iron, calcium, and DHA and portability. In contrast, the one-dimensional quality included the attributes of deliciousness, meeting microbial standard specifications, nutritionally superiority, allergy notation, and high dissolvableness in water. In the relative importance for customer requirements, the QFD model was in the order of no rancid flavor, allergy notation, and deliciousness, whereas the Kano-QFD model was in the order of richness in calcium, protein, and DHA. Regarding the priorities of technical management activities of product developers to meet customer requirements, the QFD model was in the following order: the content of the main ingredients, freshness maintenance of raw materials, and main ingredients pictures on the package. In contrast, the Kano-QFD model was in the order of the content of the main ingredient, pictures of the main ingredients on the package, and the addition of natural ingredients containing protein. In conclusion, this research confirmed that the Kano-QFD model is better than the QFD model, highlighting the need for more focus on the quality attribute weighting based on customer satisfaction.

      • 딥러닝을 이용한 임의 관측지에서의 조위 예측

        김해림(Haelim Kim),전용호(Yongho Jeon),박재형(Jaehyung Park),윤한삼(Hansam Yoon) 한국해양환경·에너지학회 2021 한국해양환경·에너지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1 No.5

        본 연구에서는 임의의 관측지에서의 조위를 예측하기 위하여 인근 조위 관측소의 조위 관측자료를 입력으로 하는 딥러닝 모델을 제시한다. 시계열 데이터 예측에 뛰어나다고 알려져 있는 순환신경망(RNN, Recurrent Neural Network) 모델을 사용하였으며, 모델의 훈련 및 검증을 위하여 울산 조위관측소와 부산 조위관측소의 조위 데이터를 이용하였다. 조위 예측의 정확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평균 제곱급 오차(RMSE, Root Mean Square Error) 및 상관계수(CC, Correlation Coefficient)를 계산한 결과, 각각 5cm, 0.95로 높은 정확도가 나타났다. 또한 예측된 데이터를 조화 분해하여 실제 조위 데이터의 결과와 비교하였을 때 4대 분조 모두에서 진폭 정확도 95% 이상, 위상차 4° 이하가 나타났다. In this research, tidal level of an arbitrary station is predicted by using a deep learning model. RNN (Recurrent Neural Network) model is used and tidal level data of Ulsan tide station and Busan tide station is used for model training and validation. To evaluate the model performance, accuracy of the developed model is discussed in terms of root mean square error (RMSE) and correlation coefficient (CC) of the predicted tidal level.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model had a high accuracy. Also, harmonic analysis is conducted to compare similarities with observed data. As a result, accuracy of the amplitude was more than 95% and the phase difference was less than 4° in all four largeness tide value.

      • Multi-task 수행을 위한 압축 심층신경망 기반 VCM

        이해림(Haelim Lee),이주영(Jooyoung Lee),조승현(Seunghyun Cho)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2021 한국방송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021 No.6

        최근 기계 임무수행에 사용되는 데이터양이 증가함에 따라 기계를 위한 효율적인 영상 압축방식의 필요성이 높아졌다. 기존의 비디오 코덱은 HVS (Human Visual System) 특성을 고려한 기술이기 때문에 부호화 과정에서 기계 임무수행에 필요하지 않은 정보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없다. 반면 심층신경망 기반 압축네트워크의 경우, 원본 영상으로부터 기계 임무수행에 필수적인 데이터만을 추출하여 부호화 하도록 학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압축 심층신경망과 기계 임무수행 네트워크로 구성되는 VCM (Video Coding for Machine) 프레임워크를 제안하고 학습에 의한 압축효율 향상을 검증한다. 이를 위해 압축 심층신경망을 객체탐지 임무수행 네트워크와 함께 학습시킨 결과, VVC (Versatile Video Coding) 대비 평균 61.16%의 BD-rate 감소가 확인되었다. 뿐만 아니라, 학습된 압축 심층신경망은 객체분할 임무수행에서도 VVC 대비 평균 58.43%의 BD-rate 감소를 보여 다중 기계 임무의 효율적 수행이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Neural Network 기반 VCM의 성능평가

        박성욱(Seonguk Park),이해림(Haelim Lee),이주영(Jooyoung Lee),정세윤(Se-Yoon Jeong),조승현(Seunghyun Cho)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2020 한국방송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020 No.11

        최근 스마트시티, 자율 주행 자동차 등 기계에 의해 소비되는 영상 데이터의 양이 증가함에 따라 기계의 임무 수행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압축기술이 필요하게 되었다. 그런데, 전통적 방식의 영상 코덱은 사람의 인지 화질 특성을 고려해 개발된 기술이기 때문에 기계의 임무 수행에 필수적인 정보 외에도 불필요한 정보가 존재한다. 따라서 사람이 아닌 기계의 임무 수행에 대해 효율적으로 영상을 압축하기 위한 비디오 코덱 기술이 필요하다. 이와 관련하여, 최근 MPEG에서 Video Coding for Machines 라는 영상 압축기술에 대한 표준화가 논의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계를 위한 영상 압축기술의 연구배경과 연구를 통해 전통적인 영상 압축 코덱 방식과 neural network 기반 압축 코덱 방식에 대해 각각의 방식이 머신비전 임무를 수행한 정확도를 기준으로 영상 압축성능을 비교해 효율적인 압축 코덱 방식에 대해 분석한다.

      • SCIESCOPUSKCI등재

        Anti-migration and anti-invasion effects of LY-290181 on breast cancer cell lines through the inhibition of Twist1

        ( Jiyoung Park ),( Sewoong Lee ),( Haelim Yoon ),( Eunjeong Kang ),( Sayeon Cho ) 생화학분자생물학회 2023 BMB Reports Vol.56 No.7

        Breast cancer has become the most common cancer among women worldwide. Among breast cancers, metastatic breast cancer is associated with the highest mortality rate. Twist1, one of the epithelial-mesenchymal transition-regulating transcription factors, is known to promote the intravasation of breast cancer cells into metastatic sites. Therefore, targeting Twist1 to develop anti-cancer drugs might be a valuable strategy. In this study, LY-290181 dose-dependently inhibited migration, invasion, and multicellular tumor spheroid invasion in breast cancer cell lines. These anti-cancer effects of LY-290181 were mediated through the down-regulation of Twist1 protein levels. LY-290181 inhibited extracellular signal-regulated kinase and c-Jun N-terminal kinase signaling pathways. Therefore, our findings suggest that LY-290181 may serve as a basis for future research and development of an anti-cancer agent targeting metastatic cancers. [BMB Reports 2023; 56(7): 410-415]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