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MRV 관점에서 UN-REDD 등록 가능성 분석: 개성시의 사례를 중심으로

        엄단비 ( Dan Bi Um ),엄정섭 ( Jung Sup Um ) 한국환경법학회 2011 環境法 硏究 Vol.33 No.3

        한국기업들이 REDD (Reduced Emissions from Deforestation and forest Degradation) 프로젝트에 적절한 대상지를 물색하고 있다. 북한의 개성시는 이미 개성공단이 설립되어 남한 기업의 투자시스템이 구축되어 있기 때문에 REDD 프로젝트 대상지로서 현실적인 대안이 될 수 있다. 삼림전용 축소를 통한 온실가스 흡수량의 검증 및 인증(MRV: Measurement, Reporting, Verification)이 REDD 등록과정에서 핵심요건으로 부각되고 있다. 온실가스 감축에 대한 MRV가 잘못되었을 경우, 입증수단과 방법을 사전에 점검하여 리스크와 불확실성을 최소화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개성시의 REDD 잠재력을 파악하고, MRV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입증책임에 관련된 법적 쟁점들을 사전에 점검하고 MRV 관점에서 개성시의 UN-REDD 등록가능성을 분석하는 데 있다. 인공위성 영상은 개성시의 산림현황 (산림면적, 산림의 황폐화 추세)을 가시적인 기록으로 제시하였는 데, 개성시의 산림은 심하게 황폐화되어 있고 산림파괴가 관찰되고 있지만 여전히 REDD 등록대상이 될 수 있을 정도의 산림이 현존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된다. 위성영상이 국제사법재판소, UN, UN-REDD 등에서 증거자료로 인정되기 때문에 REDD 등록과정에서 법적으로 구속력을 가진 증빙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개성시를 UN-REDD에 등록하는 과정에서 위성영상이 MRV에 필요한 핵심자료를 제공하기 때문에 MRV 자체로는 큰 위험을 가지고 있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개성시를 REDD를 등록하는 과정에서, REDD에 직접·간접적으로 참여하는 당사자들에게 요구되는 입증책임에 대해 ``예측가능성``과 ``집행가능성``에 대한 근거자료를 제공한 점에서 가장 큰 의의가 있다고 할 것이다. Korea-based enterprises are currently exploring REDD (Reduced Emissions from Deforestation and forest Degradation) project in a number of territories across the world. Gaeseong city could be model project site of REDD since South Korean company`s investment system in Gaeseong Industrial Complex is already established in spite of current deadlock of South-North relationship. Therefore, it could be considerable or realistic approach to expand the investment system of current Gaeseong Industrial Complex to entire Gaeseog city toward REDD as a point of reform and open-door in North Korea. Monitoring systems that allow for credible measurement, reporting and verification (MRV) of REDD+ activities are among the most critical elements for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any REDD+ mechanism. However, North Korea hesitates to disclose their information, and therefore it would not be easy to get a variety of data required for investors in their MRV verification at this moment. Accordingly, this study is intended to explore potential of Gaeseong city in terms of MRV in UN-REDD registration. The permanent record of standard satellite remote sensing system demonstrated its capability of presenting area-wide visual evidences of forest condition in Gaeseong city (such as the identification of forested area, degradation trends for forest space). The forests in Gaeseong city are severely degraded, deforestation is occurred, nevertheless, portion of forested area is still high, where REDD investment potential is relatively high. Satellite data could be accepted as legally binding proof when it comes to REDD enforcement since several cases exist where remote sensing has been used as legal evidence in ICJ and UN resolution. It doesn`t seem difficult to register Gaeseong city to UN-REDD in terms of MRV. It is because remote sensing can provide the fundamental data for the REDD such as estimations of state and trends, including historical trends, of land use / land cover and carbon density in the landscape. Therefore, current South Korean company`s investment to REDD in Gaeseong is not too risky in terms of MRV due to the probative value of satellite data.

      • KCI등재

        MRV Information Linking for Carbon Labeling in Northeast Asia: Potentials and Constraints

        엄단비(Dan-Bi Um),엄정섭(Jung-Sup Um) 전남대학교 법학연구소 2015 법학논총 Vol.35 No.3

        탄소성적표지는 제품과 서비스의 전 과정인 원료채취에서부터 소재생산, 부품생산, 제품생산, 수송 및 유통, 제품사용, 제품의 폐기 단계에 이르기까지의 전 과정 동안에 발생하는 온실가스 발생량을 전 과정평가(LCA: Life-Cycle Assessment)를 통해 정량화하여 제품에 표시하는 것을 말한다. 현재로서는 제품의 탄소 발자국 산정에 대한 방식을 포함하여 국제적으로 일원화되고 통일된 탄소성적표지 관련 표준이 존재하지 않는 실정에서 동북아 국가의 탄소성적표지제도 시행 현황을 살펴보면, 배출계수, 인증 지침, 제도 운영체계 등 MRV (measuring, reporting and verification)의 전 과정에서 국가 간 통일성이 결여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소비자가 제품을 선택, 구매하는 과정에서 제품의 친환경성에 대한 부정확한 정보로 인한 시장의 왜곡을 개선하고자 동북아 국가간 탄소성적표지의 MRV 정보에 대해 표준화된 연계시스템의 가능성과 한계를 평가하고자 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에 대한 대안을 제시하기 위해 직접측정에 의존하는 방법 (IPCC Tier 2-3)과 연료사용을 토대로 간접적으로 추정하는 방식 (Tier 1)에 의거하여 각국에서 탄소성적표지에서 이산화탄소의 배출량을 산정과정을 조사하여 MRV 정보를 연계하는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비정부차원에서는 FPIC (Free Prior Informed Consent)의 개념을 도입하여 탄소성적표지의 MRV 정보 연계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하지만 정부의 규율을 받지 않는 비정부차원의 탄소성적 표준은 투명성이 부족하고 소비자에게 혼란을 주며 무역제한적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많다는 점을 고려하여, 중장기적으로 비정부차원에서 MRV 정보 연계가 활성화될 경우 정부차원에서 PIC (Prior Informed Consent) 개념을 도입하여 탄소성적표지에 대한 규제 필요성을 제안하고 있다. 본 연구가 전통적인 탄소성적표지의 MRV 정보공개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계기가 되어 향후 동북아 국가전체차원의 탄소성적표지의 MRV 정보공개 표준을 마련하기 위한 후속연구에서 중요한 참고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is research is aimed at exploring potential and constraint for linking scheme on the MRV information of the three nations as a stepping stone to enhance active and eco-friendly trade among the NEA countries. This research explores issues fixing mid-to long-term schedules prior to linking to help stabilize expectations and place subsequent negotiations over information disclosure adjustments on a transparent basis. The linking scheme on the MRV information focuses on the complicated barriers and impacts within and for the three countries by presenting survey form to implement life-cycle carbon analysis (LCCA), required in MRV (example) in accordance with IPCC tier stages. The research brings together a carbon labeling information sharing system followed by utilizing the concept FPIC (Free Prior Informed Consent) which will allow the non-governmental agencies of the NEA to have the freedom to enter into identical carbon labeling agreements with their partner agency after looking over the received information. When this procedure is activated, PIC (Prior Informed consent) can be considered for governmental agencies to enter into binding agreements to linking carbon labeling in order to stabilize and promote the system. While not complete as a finished methodology, we see the possibility for the basic approach to be adopted in emission reporting for the carbon labeling in the coming years since this research presented MRV information linking scheme from available survey techniques and data in accordance with IPCC tier stage. The research output can be used as a valuable reference to initiate a NEA-wide carbon labeling strategy since instrumental framework for legal action could be provided based on trilateral comparison for carbon labeling. By gathering information and applying the FPIC system the research establishes a more credible linking signal to improve the dynamic efficiency of applying PIC mechanis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