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슬관절 박리성 골연골염에 대한 자가 골연골 이식술

        한성호,양보규,이승림,정선욱,서지현,Hahn Sung-Ho,Yang Bo-Kyu,Yi Seung-Rim,Chun Shun-Wook,Seo Ji-Hyun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 2003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Vol.2 No.2

        목적: 슬관절에 발생한 박리성 골연골염을 자가 골연골 이식술을 이용하여 치료한 후 치료 결과를 평가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0년 5월부터 2000년 5월까지 본원에서 자가 골연골 이식술을 사용하여 치료한 박리성 골연골염 환자 15명 19예 중 1 년 이상 추시가 가능하였던 13명 17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 연령은 23.4세 (20세$\~$32세)로, 전 예가 남자였으며, 평균 추시 기간은 24.2개월(12개월$\~$110개월)이었다 치료는 관절경적 방법 또는 관절 절개술을 이용하여 골연골 자가 이식 기구(OATS, Arthrex, USA)를 이용하였다 결과: 외상의 과거력이 전 예에서 존재하였으며, 명확한 주 외상력이 7예, 반복적인 경미한외상력이 10예였다. 병변의 위치는 대퇴 내과 11예 중, 확장된 전형적 위치가 9예, 하중앙부가 2예였으며, 대퇴 외과 6예는 모두 하중앙부에 위치하였다. 자기 공명 영상 분류상 II 등급은 1예, III 등급이 11예, IV등급이 5예였으며, 관절경적 분류상 III 등급이 12예, IV등급이 5예였다. 병변의 크기는 평균 3.19$cm^{2}$(1$cm^{2}$ $\~$ 8$cm^{2}$)이었다. 임상적으로 Aichroth의 기준에 의한 판정 결과는 우수 3예(18$\%$), 양호 11예 (65$\%$), 보통 2예 (12), 불량 1예 (5$\%$)로 83$\%$에서 양호 이상의 결과를 얻었다. 추시 자기 공명 영상 촬영 또는 관절경 검사상 이식된 관절면이 일치하고 만족할만한 연골 두께를 유지하며, 이식편의 침 강이나 이완 소견이 없음을 확인하였다. 결론: 자가 골연골 이식술의 치료 결과는 슬관절의 박리성 골연골염 중 병변의 크기가 크고($\geq$1$cm^{2}$),체중 부하 부위를 침범하는 병변, 및 불안정성 병변 (자기 공명 영상 또는 관절경 단계 $\geq$3)에 대하여 자가골연골 이식술의 치료를 고려해 볼 수 있음을 제시한다 그러나 자가 골연골 이식술의 임상적 인 유효성을 판정하기 위해서는 보다 장기적인 추시 관찰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operative results of osteochondritis dissecans treated with autogenous osteochondral grafts. Materials and Methods: From May 1990 to May 2000, this study included 13 patients, 17 cases treated with autogenous osteochondral grafts. The mean age of patients at operation was 23.4 years (range,20 to 32 years), all cases were men, and the mean follow-up was for 24.2 months (range, 12 to 110 months). Treatment was done by open or arthroscopic method using with Osteochondral Autograft Transfer System (OATS, Arthrex, USA). Results: Trauma history existed in all cases, and major trauma history in 7 cases, and minor repetitive in 10 cases. The involved sites of lesion were medial femoral condyle in 11 cases, in which extended classic site was 9 cases, inferocentral site was 2 cases, and lateral femoral condyle in 6 cases, in which all cases were inferocentral site.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staging was stage II in 1 case, stage III in 11 cases, stage IV in 5 cases, and arthroscopic staging was stage III in 12 cases, stage IV in 5 cases. The mean lesion size was 3.19$cm^2$ (range, 1 to 8$cm^2$). Clinical results evaluated with grading system by Aichroth, were excellent in 3 cases (18$\%$), good in 11 cases (65$\%$), moderate in 2 cases (12V), poor in 1 case (5$\%$), which revealed satisfactory results in 83$\%$. Congruent articular surface, satisfactory articular thickness, and no loosening or subsidence was evidenced by follow-up MRI or arthroscopic finding. Conclusion: Autogenous osteochondral grafts can be an alternative treatment in lesions larger than 1$cm^2$ in size, unstable lesion, and involvement of weight-bearing articular surface. Long term follow-up will be needed for the final efficacy of autogenous osteochondral graf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