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부산지역 무균성 뇌막염 원인 바이러스의 분리 및 동정 : 1998년을 중심으로

        김영희,정영기,김기순,지영미,윤재득,김병준,구평태,민상기,정구영,김만수,조경순 동의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2000 基礎科學硏究論文集 Vol.10 No.1

        The incidence of aseptic meningitis infection is ensuing and threatening the health of children. Enteroviruses are the major agents of aseptic meningitis and identification of virus has been a clue to diagnosis and epidemiology. The outbreak of aseptic meningitis occurred in Pusan, 1998. Patients were concentrated from April through November. Children were more susceptible than adults. Among 306 cases of specimens from stool, throat swab tested, only 7.2% were positive on virus isolation, 12 cases from stool and 10 from throat, respectively. All isolated 7 serotypes of viruses represented cytopathic effect on cultured cells. Three types of echovirus 6, 25, 30 and coxsackievirus B2, B3, B4, B6 were identified by neutralizing anti body test. Isolated coxsackievirus and echovirus were observed by an electron microscope with negative staining.

      • KCI등재

        장기입원 만성정신질환자의 실태에 관한 조사

        김영미,조병만,장기용,정영인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99 신경정신의학 Vol.38 No.4

        연구목적 : 부산지역내 정신보건시설에 1년 이상 장기입원하고 있는 만성정신질환자의 실태를 조사하여,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장기입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가운데 직접적인 의료적 요인보다는 주로 간접적인 의료외적인 요인을 알아보고, 이를 바탕으로 향후 만성정신질환자의 효율적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방 법 연구대상은 1998년 7월1일 현재 부산지역 정신보건시설에서 1년 이상 장기입원중인 3,477명의 만성 정신질환자들이었다. 조사대상기관으로는 10개의 정신병원, 8개의 정신질환자 요양시설이었다. 조사방법은 저자들이 사전에 작성한 자료조사표의 양식을 부산광역시 보건과의 협조를 받아 이들 정신병원과 정신질환자 요양시설에 보내 작성하게 한 다음, 부산광역시의 행정계통을 통해 회수하였다. 자료조사표에는 성별, 연령, 진단명, 정신보건시설의 종류(정신병원, 정신질환자 요양시설), 정신보건법에서 규정한 입원형태(동의입원, 시?? 도지사에 의한 입원, 자의입원). 결혼상태, 교육수준, 요양급여형태, 연고자 유무, 면회횟수 등의 10개의 독립변수가 포함되었다. 자료분석은 입원기간에 따른 대상환자의 분포가 정규분포를 나타내지 않아 독립변수항목들과 입원기간간 의 관련성을 검증하는데는 비모수 방법인 Spear-man 상관계수, Mann-Whitney 검증, Kruskal-Wallis 검증을 사용하였다. 결 과 1) 본 연구의 대상인 1년이상 장기입원중인 환자는 전체입원환자의 70.7%에 해당하였으며 이들 대상 환자의 입원기간의 중앙값은 5.5년이었다. 2) 정신보건시설별 전체환자에 대한 대상환자의 비율은 정신병원과 정신질환자 요양시설이 각각 46.3%, 95.1%로서 정신질환자 요양시설이 정신병원에 비해 장기입원환자의 비율이 높았다. 3) 본 연구에서 설정한 10개 항목의 독립변수 모두에서 입원기간의 유의한 차이를 보여, 이들 변수 모두가 장기입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 론 : 만성정신질환자들의 장기입원에는 상당수의 의료외적인 간접적 요인들도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는 국내 정신의료서비스의 후진성을 보여주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Objectives : In an attempt to identify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the factors influencing long-term hospitalization of chronically mentally-ill patients, a survey on the chronically mentally-ill patients who had been staying longer than 1 year in mental health facilities was conducted. Methods : Checklist including some demographic data that were regarded as independent variables was applied to 3,477 subjects through administration system of Pusan Metropolitan City. Statistical analyse were done using distribution-free, non-parametric tests. Results : 1) Subjects who had been staying longer than 1 year were 70.7% of the total inpatients of mental health facilities, and median duration of their hospitalization was 5.5 years. 2) In mental hospitals and asylums, the ratio of chronically mentally-ill subjects to the total inpatients in each facilitiy was 46.3% and 95.1%, respectively. 3) All of the 10 independent variables had an influence on the hospitalization duration. Conclusions :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many indirect, extramedical factors had an influence the long-term hospitalization of chronically mentally-ill patients, and it is likely to reflect the underdevelopment of mental health services in Korea.

      • KCI등재

        정신분열병과 N-Methyl-D-Aspartate 수용체 유전자와 연관된 VNTR 표지자인 D9S158 다형성의 연합

        김종원,채영규,정은기,김길숙,박강규,이영호,최인근,양병환,한진희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98 신경정신의학 Vol.37 No.5

        정신분열병과 NMDA 수용체와 연관된 D9S158 유전적 표지자와의 연관성을 알아보기 위해 75명의 정신분열병 환자군과 87명의 정상대조군을 대상으로 중합효소연쇄반응을 이용하여 연합연구를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D9S158 유전좌위에는 모두 8개의 대립유전자가 있었고, 각 대립유전자는 cytosine-adenine염기가 반복되는 217염기쌍에서 233염기쌍의 형태였다. 먼저 정신분열병 환자와 정상대조군의 대립유전자의 빈도를 비교해 본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5). 환자군을 좀 더 동질적으로 만들기 위해 정신분열병의 가족력 유무, 음성 및 양성증상, 연성신경학적 징후, DSM-IV 임상아형에 따라 환자군을 나누어 대립유전자의 빈도를 비교해 본 결과, 특정 임상양상과 관련이 있는 대립유전자를 발견하지 못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D9S158 유전좌위와 정신분열병의 연관성을 입증하지 못하였으나 NMDA 수용체 유전자주위의 다른 표지자나 좀 더 유전적으로 동질한 환자군을 대상으로 한 추후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An association study with Korean schizophrenic patients(N=75) and normal controls(N=87) was performed to find the relationship between D9S158 polymorphism and schizophrenia using polymerase chain reaction. Eight different alleles of a dinucleotide polymorphism on D9S158 locus were observed in both group. When we compared the frequencies of alleles between schizophrenics and normal control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To increase homogeneity of schizophrenic group, we divided schizophrenic group by clinical phenotypes such as family history, negative and positive symptoms(PANSS), soft neurologic signs(NES-K) and DSM-IV diagnostic subtypes. Then we compared the frequencies of alleles among subgroups of clinical phenotypes, an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subgroups(p〉.05). Although our findings fail to provide an evidence of association between schizophrenia and D9S158 locus, further investigation of other loci that are linked to NMDA receptor gene may be needed in genetically homogeneous subgroups of schizophrenia.

      • KCI등재후보

        수업개선지원 기능에 비추어 본 초등교육 담당 장학사의 직무수행 분석

        김영란,허병기 韓國敎員大學校 敎育硏究院 2007 敎員敎育 Vol.23 No.2

        이 연구는 장학의 본질적 기능을 수업개선지원이라 전제하고,수업개선지원 기능과 관련하여 장학사의 직무내용과 직무수행 방식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장학사의 직무내용과 직무수행 방식이 수업개선지원 기능에 어느 정도 부합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직무내용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장학사의 직무내용은 장학영역,인사영역,담당학교영역으로 구성되었다. 장학사의 직무 내용이 이처럼 수업개선에 초점이 맞춰지지 않고 학교의 전반적 교육활동과 관련된 것이어서 교사의 수업을 적극적으로 조력하는 데 어려움이 많았다. 장학사의 직무수행 방식은 수업참관과 협의 방식,수업자문과 정보제공 방식으로 나누어 알아보았다. 그 결과 교사와 장학사 간에 수업에 대한 사전 협의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으며,수업 내용에 대한 자문과 정보제공 활동 등이 제대로 활용되고 있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장학사의 직무수행 방식이 교사의 수업을 전문적으로 조력하지 못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The aim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lementary education supervisors' official duties and their job performance styles. The study was carried out with the assumption that the fundamental function of supervision is to support the improvement of instruction. It analyzed supervisors' official duties and their job performance styles, focusing on their function of supporting the improvement of instruction.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supervisors' jobs were generally related to the whole range of instructional supervision, implementation of curriculum, teacher personnel administration, student guidance, and other details of schooling. Among supervisors' 'purely' supervision-related duties are instructional supervision, consultation for teachers, and providing information about instruction. Second, there were difficulties in carrying out the duties of supporting the improvement of instruction by observing classroom teaching, giving advice on instruction to teachers, and providing teaching-related information for teachers. Third, affirmative responses and negative ones coexisted in supervisors' and teachers' evaluative opinions on the effect of the supervision performed by supervisors. Some teachers were seeing the supervision as helpful to their teaching improvement, while others viewing it as useless.

      • SCOPUSKCI등재

        Ether 및 Halothane마취시 정맥혈에서의 Lactate, Pyruvate 및 Excess lactate치의 변화에 대한 연구

        김익수,최세진,백문기,황병두 대한마취과학회 1977 Korean Journal of Anesthesiology Vol.10 No.3

        Venous blood lactate, pyruvate and excess lactate have been measured by the enzymatic method and calculated in 24 patients over a period of 2 hours during operation under general anesthesia. When the anesthetic was diethyl, ether, lactate and dyruvate levels showed a gradual increase significantly from 30 minutes and 60 minutes after induction of anesthesia respectively. Excess lactate appeared 30 minuts after induction of anesthesia, being increased slightly thereafter. When halothane was used, lactate level rose significantly in 120 minutes but no significant change in pyruvate and excess lactate was observed. In comparison to the results obtained in arterial blood during ether anesthesia by others, the levels of lactate and pyruvate found in this study were higher than those observed in arterial blood, whereas there was no considerable difference in change with duration of anesthesia and excess lactate. From the above results we suggested that venous blood lactate, pyruvate and excess lactate were essentially the same as those of arterial blood for evaluating tissue hypoxia during general anesthesia.

      • KCI등재
      • Wilson θ 법에 의한 橋梁의 動的應答 解析

        김기대,홍병희,박성규 大邱大學校 科學技術硏究所 2000 科學技術硏究 Vol.7 No.1

        This study presents the use of transfer matrix method to determine the natural frequencies of bridges, and the application of Wilson B method to the analysis of dynamic response of the bridges caused by moving loads. To check the reliability of the theory introduced and the computer program developed, the dynamic responses of single-span and multi-span bridges subjected to moving vehicle loads with constant velocity were studied. The results obtained were compared with the field test results of existing information. It was found that good agreement was achieved, and the conclusions obtained from the observations of analysis inform that can use as rational approach to the dynamic analysis for these problems.

      • The graph numbers under graph operations

        김병기 청주대학교 학술연구소 2014 淸大學術論集 Vol.22 No.-

        For a connected graph G, there are graph numbers such as the geodetic number, the hull number, and the convexity number. A subset is called a geodetic set if and is called a hull set if . The geodetic number is the minimum cardinality of its geodetic sets and the hull number is the minimum cardinality of its hull sets. In this paper we investigate the geodetic number and the hull number under graph operations such as the join and the composition of two connected graphs.

      • 직렬 리액터를 이용한 계통연계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

        金大均,鄭春炳,全基英,李丞煥,吳鳳煥,李勳九,金容珠,韓慶熙 명지대학교 산업기술연구소 2005 産業技術硏究所論文集 Vol.24 No.-

        Since the residential load is an AC load and the output of solar cell is a DC power, the photovoltaic system needs the DC/AC converter to utilize solar cell. In case of driving to interact with utility line, in order to operate at unity power factor, converter must provide the sinusoidal wave current and voltage with same phase of utility line. Since output of solar cell is greatly fluctuated by insolation, it is necessary that the operation of solar cell output in the range of the vicinity of maximum power point. In this paper, DC/AC converter is three phase PWM converter with smoothing reactor. And then, feedforward control used to obtain a superior characteristic for current control and digital PLL circuit used to detect the phase of utility line.

      • 정신분열병 환자의 가족력 유무와 연성 신경학적 특성

        김은남,장기용,강병조 대한생물치료정신의학회 1995 생물치료정신의학 Vol.1 No.2

        본 연구는 정신분열병 환자들의 연성 신경학적 증상을 알아보고 또한 가족력 유무에 따른 연성 신경학적 증상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1995년 7월부터 동년 10월까지 국립부곡정신병원에 입원치료중이며 DSM-IV 진단 기준에 의해 정신분열병으로 진단된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이중 병록지와 환자 가족의 정보를 근거로 하여 1차 인척 중에서 정신분열병의 기왕력이 있는 환자들을 가족력이 있는 환자군으로 분류하였다. Buchanan과 Heinrich의 신경학적 평가척도의 한국어판을 이용하여 가족력이있는 정신분열병 환자군20명, 가족력이 없는 정신분열병 환자군 20명 그리고 정상대조군 20명 사이의 연성 신경학적 이상소견을 비교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연성 신경학적 평가척도의 총점은 정신분열병 환자군은 23.93±6.66, 정상대조군은 3.55±2.46으로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P<0.0001). 정신분열병 환자군은 감각통합 영역, 운동조정 영역, 복합활동순서화 영역, 그리고 기타 영역에서 정상대조군 보다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다(P<0.0001) 2) 연성 신경학적 이상 소견은 정신분열병 환자의 가족력의 유무와 유의한 상관관계는 없었다. 가족력이 있는 환자들이 신경학적 평가척도의 모든 영역에서 가족력이 없는 환자들보다 평균 점수가 높게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정상대조군보다 정신분열병 환자군에서 연성 신경학적 이상소견이 많이 나타났다. 이는 생물학적 표지로서의 연성 신경학적 증상의 중요성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가족력 유무에 따른 연성 신경학적 이상 소견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므로 이 생물학적 표지가 trait marker인지 state marker인지는 좀더 연구를 해 보아야 할 것 같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assess neurologic soft sign(NSS) in schizophrenics and to know the relationship between NSS and family history of schizophrenia. All Patients were hospitalized in Bugok National hospital during the period from July, 1995 to October, 1995 and diagnosed as schizophrenia based on DSM-IV criteria. Schizophrenics were classified as familial schizophrenics if at least one first-degree relative had a clear history of schizophrenia, based on review of any medical records and reports of family informants. The authors evaluated NSS using the structured tool for measuring neurological abnormalities, Neurological Evaluation Scale-Korean Version(NSE-K). A comparison of NSS score was made among three groups subjects consisting of 20 familial schizophrenics, 20 non-familial schizophrenics and 20 normal control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 schizophrenics were significantly more impaired than normal controls on total scores of sensory integration, motor coordination, sequencing of complex motor acts and other areas(P<0.0001). 2) NSS scores were not correlated with family history of schizophrenia. Mean item scores of familial schizophrenics were higher than non-familial schizophrenics but there were statistically no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abnormal NSS may be one of possible biological markers of schizophrenics. But there were statistically no differences in NSS scores between familial schizophrenics and non-familial schizophrenics. therefore, A further study is needed to investigate whether NSS is a trait marker of schizophrenic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