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DAP 신념에 근거한 유아과학 교수·학습모형의 현장적용 효과

        이정화,이미은 미래유아교육학회 2003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10 No.4

        DAP(Developmentally Appropriate Practice)는 유아교육실제의 질을 진단ㆍ평가하는 타당한 기준으로 인정받고 있을 뿐 아니라 유아교육과정의 설계나 프로그램 개발에 고려해야 할 준거로 널리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DAP 신법에 근거하여 만들어진 절차화된 유아과학 교수ㆍ학습모형(이정화, 2002)을 유아교육 현장에 적용하여 그 효과를 검증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자들은 두 가지 교수학습방법(DAP 신념에 근거한 유아과학 수업모형과 전통적 수업모형)을 적용한 과학활동 프로그램을 구성, 처치한 후 유아들의 과학적 호기심 및 과학적 과정 기능의 향상 정도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DAP 신념에 근거한 절차화된 유아과학 교수ㆍ학습모형에 의한 과학활동 프로그램에 참여한 유아들이 전통적 교수법에 의한 과학활동 프로그램에 참여한 유아들보다 유의하게 높은 향상을 보였음이 확인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 developmently appropriate model of teaching science(DAP model) which is developed by Lee Jeong-Hwa(2002) on children’s curiosity and scientific process skills. Two research questions were made from the review of the literature, as follows ; 1.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science curiosity between children in an experimental and a control group? 2.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science process skills between children in an experimental and a control group? To answer the questions, forty five-year-old children attending a preschool in Busan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y were randomly assigned to either an experimental or a control group.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 took part in eight 40~45 minute sessions of science program based on the DAP model; whereas, their counterparts in the same sessions of a traditional science program. After the sessions of each program, all children were tested on the science processing skill test and the science curiosity test. The children who took the DAP model received higher achievement than their counterparts on curiosity and scientific process skills. From the results, the researchers suggest to apply the DAP model of teaching science for young children in the education field.

      • KCI등재

        유아 미술교육 프로그램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이정화,강하경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11

        목적 본 연구는 메타분석을 사용하여 유아 미술능력 발달을 위한 효율적인 미술교육 프로그램 진행과정을 유아교육 현장에 제시하고, 미술교육에 대한 종합적인 시사점과 방향성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하여 분석대상 논문은 2000년부터 2021년 3월까지 국내에서 발표된 유아 미술교육과 관련된 학술지 69편, 학위논문168편이었다. 자료의 분석은 CMA(Comprehensive Meta Analysis, V3)를 활용하였다. 총 237편의 논문으로부터 250개의표본수준 효과크기와 364개의 변수수준 효과크기가 추출되었다. 효과크기의 분석모형은 무선모형을 선택하였으며, 분석의 수준은표본수준과 변수수준에서 분석하였다. 결과 전체 평균효과크기는 1.207로 큰 효과크기를 나타냈다. 유아 미술교육 프로그램의 결과변인별 평균효과크기는 결과변인 전체 평균효과크기와 통합변인에 따른 결과변인의 평균효과크기로 살펴보았다. 결과변인의 전체 평균효과크기는 미술태도가 가장 높은 평균효과크기를 보였고, 표현능력이 가장 낮았다. 통합변인에 따른 결과변인의 평균효과크기는 미술영역의 경우 미술태도가 가장 높았고, 미적반응이 가장 낮았다. 타 영역 통합은 미적반응이 가장 높고, 활동과정이 가장 낮았다. 조절변수별의 평균효과크기는논문특성, 연구대상 지역, 유아 기관, 유치원 유형별, 연구대상 특성, 처치변인, 내용변인, 결과변인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논문특성에서 출판년도는 유의하였으나 출간유형은 유의하지 않았다. 연구대상 지역과 유아기관은 유의하지 않았고, 유치원 유형은 유의하였다. 연령과 연령구성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처치횟수와 회당시간은 유의하였고, 처치기간은 유의하지 않았다. 내용변인의활동내용과 통합변인은 유의하지 않았고, 통합영역은 유의하였다. 결론 본 연구는 유아 미술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미술 관련 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고 미술교육에 대한 종합적인 시사점을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A Cognitive Semantic Analysis of the Motion Verb Milta in Korean: A Case Study of Polysemy

        이정화 한국언어학회 2003 언어 Vol.28 No.2

        This paper examines the semantics of the force-dynamic motion verb milta 'push' in Korean within the framework of Cognitive Grammar. This verb is polysemous with a wide range of multiple senses. I argue that the individual senses of milta are not arbitrary, separate uses, but are related to one another in terms of family resemblance relationships, establishing a complex semantic category. I first examine in the physical domain the prototypical event Prototype milta and its semantic structure with regard to cognitive-functional attributes (i.e., trajector, landmark, energy transfer, relative strength, path, and irretrievability). By means of the trajector's exertion of physical force upon the landmark, the event Prototype milta results in the landmark's irretrievable movement along a spatial path away from the source of force. This paper also shows that semantic extensions of Prototype milta are motivated in a coherent way. The extended senses of milta in physical and abstract domains are thus characterized with reference to Prototype milta via the different but related conceptualizations of the cognitive-functional attributes. (Korea Digital University)

      • KCI등재

        A Cognitive Account of the Korean Spatial Particles -ey and -eyse

        이정화 담화·인지언어학회 2004 담화와 인지 Vol.11 No.1

        The purpose of the paper is to provide an empirical cognitive account of the two Korean particles, -ey and -eyse. In favor of the cognitive approach, this paper has reached a few conclusions. First, the difference between -ey and -eyse can be explained with the principle of relative prominence. The partcles also differ in the subsuming notions of proximity and contact. Second, this paper shows that the speakers' choice of the particles is not arbitrary, but is determined by the interaction of multiple semantic factors. The Korean speakers make a clear conceptual distinction between -ey and -eyse. The interaction of verb types and the particle choice might be interpreted as characteristics of a verb-framed language. Finally, the judgment test reveals that the spatial distribution of -ey and -eyse is not a matter of dichotomy, but is on the continuum.

      • KCI등재

        許蘭雪軒 詩의 意識 性向과 美的 特質 硏究

        이정화 한국사상문화학회 2013 韓國思想과 文化 Vol.70 No.-

        This paper is an attempt to illustrate the consciousness inclination and the aesthetic peculiarity on the poetry of Heo Nan Seol Heon. She was a great gentleman, and lived a life as a poet. Her father and brother were all the famous family of man. Thus, from an early age when a book that I have read and write could learn. Sorrow for the dead child, she showed in the poetry. In addition, the lives of the poor and suffering people who showed in the poetry. Her poetry is the poet's mind right to live in it. In particular, she is living with the rich rather than to maintain the peace of mind was better. Her work reveals the bitterness of bondage and pain. Heo Nan Seol Heon was an unhappy marriage, but lived her life seriously. She could not live a long time, but lived in a deep and meaningful. She finished with a beautiful life, her work has lasting value. She could be a Poetess with high dignity. She was an unhappy life, work out conflicts. As well as her work in other people's misfortunes were expressed. As well as the poor unfortunate people, she wrote works for the people. 허난설헌은 조선조의 제반(諸般) 여류시인들과 달리, 시절을 염려하고 풍속을 근심하는 열사(烈士)의 기풍을 지녔던 인물이었다. 대문장가(大文章家)인 창강은 난설헌의 작품이야말로 아무나 발휘할 수 없는 ‘웅장하고 드높은’ 격조를 지녔음을 인정하였다. 난설헌의 시에서 발견할 수 있는 수심(愁心)의 모티브는 한(恨)이나 울분을 시화하기 위한 장치인데, 그의 시는 한(恨)을 토로하는 것에서 시상을 종결짓는 다른 여류시인들의 작품과는 다르다. 난설헌은 스스로 한이나 울분을 조절할 수 있었으니, 이러한 마음가짐을 ‘자존(自尊)’의 미감(美感)으로 표출하고 있다. 난설헌은 대학자(大學者)의 집안에서 성장하면서 늘 자신을 수양하는 마음이 어떤 것인지를 일찍이 보고 배웠으리라 여겨진다. 유년기(幼年期)를 보내면서 그의 심신(心身)은 가학(家學)을 통해 참 선비의 기품을 온축(蘊蓄)할 수 있었다. 예로부터 선비들에게 ‘난초의 향기’란 것은 자신의 수양을 위해 공부하는 군자의 순수한 학문자세, 즉 ‘위기지학(爲己之學)’을 상징하는 것이었다. 이와 관련하여 볼 때, 「감우(感遇)」 시의 ‘맑은 향기(淸香)’를 통해 시련 속에서도 참 선비의 마음을 잃지 않았던 그의 진정성을 확인할 수 있다. 궁극적으로 난초의 맑은 향기는 그의 자존(自尊)을 시적으로 형상화한 것임을 알 수 있다. 해를 거듭해 딸과 아들을 사별하게 된 난설헌의 고통이야말로 어머니가 느끼는 상실감의 극대화 내지 포화상태인 것이다. 이러한 불행을 겪음으로써 난설헌은 불쌍한 사람들에게 더욱더 연민을 느낌으로써 자모(慈母)의 마음으로 그들을 감싸는 박애(博愛)의 미를 시화하게 된다. 「야야곡(夜夜曲)」 시는 평민 부녀자의 고단한 삶을 형상화하였다. 불행한 삶을 겪은 난설헌은 불행한 사람의 슬픔을 시화하게 된다. 「貧女吟」 시에서는 가난한 여인의 뼈아픈 현실을 형상화한 것이 특징적이다. 난설헌은 자신이 겪고 있는 삶의 고뇌가 매우 컸기 때문에 이 시를 통해 가난한 여인의 고뇌를 시화함으로써 자신의 불행한 삶 또한 이처럼 가난한 여인의 그것과 다를 바 없음을 보이고 있다. 역으로, 이 시는 가난한 사람에 대한 박애(博愛)의 미를 시화한 것이기도 하다. 혼인한 이후로 순탄치 않은 삶 속에서 정신적으로나마 자유자재(自由自在)한 낙원을 꿈꾸었던 난설헌은 신선이 살고 있는 봉래산(蓬萊山)에서 마음껏 기상을 펼치는 시를 지음으로써 불행한 일상을 초월하려 했다. 「몽유광상산시(夢遊廣桑山詩)」에서는 화무십일홍(花無十日紅)의 이치를 일깨움으로써 유한한 현실 세계에서 영원한 아름다움이란 없음을 보여주었다. 또한 이 시는 영원불멸의 공간인 선계에서 피안을 누리는 것을 꿈꾸면서 현실의 속박과 고통을 초월하려는 마음을 표출한 작품이라 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