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프로골프선수들의 운동 스트레스와 인지된 경기력간의 관계 : 부모의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이정화,윤상택,백혜경 한국골프학회 2018 골프연구 Vol.12 No.4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thletic stress and perceived performance of professional golfers and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s of parental social support. [Methods] KLPGA, KPGA 1.2.3 We selected 180 golfers who participated in the tour program for golfers and collected data by questionnair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SPSS 18.0 and SPSS PROCESS Macro program, using frequenc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Pearson's ratiometric correlation analysis, and Hayes (2013) SPSS PROCESS Macro. [Results] Exercise stress of professional golfers had a negative effect on perceived performance. And psychological, environmental, future, family, and sexual problems of athletic stress were regulated by the perceived performance of the children according to the degree of parental social support. [Conclusion] We found that increasing the positive social support of parents helps the professional golfers to reduce the stress and improve the perceived performance. [목적] 본 연구에서는 프로골프선수들의 운동 스트레스와 인지된 경기력간의 관계를 규명하고 운동 스트레스와인지된 경기력간의 관계에서 부모의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방법] KLPGA, KPGA 1.2.3부투어프로선수를 대상으로 유목적 표집방법을 통해 180명을 선정하였으며 설문지를 통한 자기평가 기입법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과 SPSS PROCESS Macro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 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Pearson's 적률상관분석, 신뢰도분석, 조절효과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프로골프선수들의 운동 스트레스의하위요인 중 경제적 문제를 제외한 심리적 문제, 환경문제, 장래문제, 가정문제, 성적문제와 인지된 경기력간의관계에서 부모의 사회적 지지는 유의한 조절효과를 보였다. [결론] 부모의 긍정적인 사회적 지지를 높이는 것이프로골프선수들의 스트레스 감소와 더불어 인지된 경기력 향상에 도움을 준다는 정보를 얻었다.
이정화 慶北大學校 退溪硏究所 2004 退溪學과 韓國文化 Vol.- No.34
누정시는 景物詩 가운데서도 핵심을 이루는 부분이다. 퇴계학맥을 창도한 퇴계의 경우, 實景을 묘사하는 敍景은 하지 않고, 대상의 내재적 의미를 확인하거나 드러낸 시편이 많다. 퇴계의 嫡傳인 학본의 누정시에서 寫景의 비중이 크지 않은 것은 그가 바로 스승 퇴계와 같은 도학적 시인임을 입증하는 것이 되며, 이것이 학본의 누정시와 퇴계의 그것에서 보여지는 공통된 특징이라 하겠다. 특히, 학봉은 스승 퇴계가 시를 남겼던 누정에 올랐을 때의 감회를 읊은 次韻詩를 제작하였다. 또한, 학봉의 누정시에서는 公人意識과 치열한 현실인식을 바탕으로 하여, 亂世를 잘 극복해보려는 지식인의 鬪志를 담아내기도 하는 등 독자적인 시세계를 구축하고 있다. 그의 公平無私한 삶의 片鱗은 宦路에서 제작된 누정시에서 찾아지는데, 「矗石樓一絶」을 제작하는 순간에 公人意識이 가장 절정에 이르렀음을 알 수 있다. 42세 때에 함경도 巡撫御史로 있으며 제작한 「登惠山鎭掛弓亭」, 「鎭戎樓」에서, 학봉의 정신은 지난날 이 지역에서 호령하였던 尹瓘, 金宗瑞 장군의 기개를 닮고 있다. 시 속에 투영된 그의 義血은 愛民意識과 관련된 것이다. 왜나하면, 그가 수자리하는 병사들의 지친 모습을 놓치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定平府次軒韻」에서는 국가를 위해 한 목숨을 기꺼이 바친다는 一念이 邊方의 오랑캐를 향한 殺伐한 기상으로 표출되고 있다. 이로써 보면, 학봉은 퇴계의 누정시에서 확인된 도학적 서정시의 경계를 창조적으로 계승하였다고 하겠다. 그의 시에는 스승을 닮으려는 溫柔敦厚한 資稟과 칼을 찬 선비의 굳센 기상이 공존하고 있다는 점에서 이러한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Hak-bong poetry considering a scholar-official poet of 16C in Joseon. Generally he was a accomplished scholar as study of human nature(性理學). This paper is an attempt to illustrate the poetic spirit of Hak-bong. To achieve this purpose, this paper starts from the view of life. We can find the fact that his personality is based on the practical knowledge of Toegye. The arbor poetry of Toegye reveals a remark full of meaning. having no concern with poetical title. Hak-bong were inclined to approach him from the Cha Woon of Toegye poetry. The arbor poetry of Hak-bong embody the truth of life and exhibit the sympathy of the poor His poetry expresses his poetical words suggest that he reveals the recognition of reality.
이정화,Lee, Jeong-Hwa 한국한의학연구원 2004 한국한의학연구원논문집 Vol.10 No.1
As entering the information age of the 21st century, Korea is actively processing many digitalizing businesses related to information source of the Korean academic science at the government level based on the Korean advanced digital technologies, which makes them more evolved through the internet networks in Korea. The definition of 'Newly found ideographs(新出漢字)' are made by researching and extracting from the old Chinese documents through the digitalizing process and they are not registered yet among the block of Unicode & extended Chinese characters those are existent international standard. Presently Korea is in the middle of brisk developing computerized old documents in the huge scale. Meanwhile, the international standard of Chinese characters in mostly Asian countries where using them is processing and developing by IRG. Therefore, Korean processing works is very important which are included extracting precisely 'Newly found ideographs' founded from building its database, organizing as an international standard code, submitting the International organization and finally registering as the best standard code.
La La Land(2016)의 해석을 통해 보는 감정 노동으로부터의 해방과 심리 치유
이정화 한국현대영미드라마학회 2017 현대영미드라마 Vol.30 No.3
This paper examines the two characteristics of La La Land (2016) as a musical film: the liberation from the managed heart and psychological healing. To shed light on the two points, this research will specifically analyze a lot of musical text and the meaning in La La Land. First of all, this study will define the meaning of ‘La La Land,’ whose term has the double meaning: California(particularly the Hollywood district of Los Angeles) or utopia in one’s mind. Secondly, the form of La La Land that takes similar forms to American musical film and the effects of it are to be intensively illuminated. La La Land not only uses a lot of musical texts but also chooses the retro style of the 1950s, which arouses a lot of nostalgia among the world viewers. Many playful and catchy soundtracks and dances in the film also permeate to the love story surrounding Los Angeles and the characters seeking for their own La La Land. In La La Land, characters enjoy every moment through mutual chanting. These musical languages naturally make the characters move forward to their future dreams and discover challenges out of their managed heart. Mixed with musical and a fairy-tale love story genres, viewers also become the dancers in La La Land by experiencing the pleasure of their own bodies and finally become liberal subjects by experiencing psychological healing like the dancers in La La Land.
이정화 한국무용학회 2010 한국무용학회지 Vol.10 No.2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를 가장 쉽고 재미있게 접근할 수 있도록 춤(움직임)을 통한 한글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외국인 학교(영어권) 및 다문화 가족 초등학생이며, 자료수집은 ‘한글춤’ 및 ‘이숙재아트춤체’ 관련 공연 DVD, 사진, 이미지 파일, 브로슈어 등과 교육프로그램 개발 선행연구 및 문헌자료를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교육프로그램 개발과정을 다음과 같다. 첫째, 수업내용은 ‘이숙재 아트춤체’를 활용한 자모(자음, 모음)를 신체로 표현하고, ‘한글춤’ 작품을 모티브로 한 Story Telling 기법 및 음악을 활용하여 12차시 학습지도안을 구성하였다. 둘째, 교수-학습 전략은 신체를 통해 자음, 모음뿐 만아니라 단어를 표현하기 위해서 그룹간의 상호적인 협동학습과 학생들의 자발적인 참여동기를 촉진시킬 수 있는 ARCS동기모형을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연구하였다. 셋째, 교육 프로그램의 구체적인 교육목표를 인지, 사회, 정서, 신체적 영역으로 설정하였다. 네 번째, 평가는 교사의 관찰에 의한 실기 수행 학업성취도 및 학생동료평가와 교사가 함께 평가하는 자모지식 한글능력 평가도구를 활용하여 체크리스트, 서열척도 유형으로 구성하였다.
오컬트 디스토피아에서 만나는 유토피아: The Mummy(미이라)와 <파묘>를 중심으로
이정화 신영어영문학회 2024 신영어영문학 Vol.89 No.-
The reality in occult cinema is no longer just the reality in the movie, but also a realm of the predictable dystopian world that human beings will face. This paper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occult cinema in the films of The Mummy (2017) and Exhuma(2024). The feelings of anger that the protagonists express towards the world in the two movies are motivated by a strong desire for a new utopia that they want to tell the world about. The boundary between 'real' and 'fake' coexists with the subject and the abject, and as the realm of the ‘Chora’ leads to chaos and fear. However, the space and realm around it takes on the character of the potential that Gilles Deleuze claims. Since the process of reproducing horror feelings and resolving them are ultimately up to humans, the object of the occult genre remains the process of finding the essence of human beings and its ontological meaning, and the dystopia in the occult genre is reinterpreted to mean the desire of human beings to find utop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