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이주자 공간의 지도화와 공간분포의 특성 : 국적과 체류유형을 중심으로

        이용균,이현욱 한국지도학회 2012 한국지도학회지 Vol.12 No.2

        인터넷과 교통의 발달, 글로벌 금융과 문화의 확산은 전 세계적으로 이주의 증가를 가져왔고, 우리나라에서는 산업구조의 변화, 사회적 가치의 변화, 교육의 글로벌화를 경험하면서 외국인 이주자의 유입이 급격히 증가하였다. 최근 이주 연구는 이주자의 사회적 관계에 대한 공간스케일에 주목하는데, 이주자는 국경을 초월한 사회적 관계를 유지함과 동시에, 정착지의 사회문화에 착근되면서 로컬을 변화시키는 주체로서 주목받고 있다. 본 연구는 전국 시군구 및 서울시 동별 스케일에서 이주자 공간의 특성을 국적과 체류형태별로 구분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이 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이주자는 국적과 체류유형별로 거주 공간의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특정 장소를 점유하면서 사회적 자본을 발달시키고 이주자 공간을 만들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아시아 이주자가 다수를 차지하는 단순직 노동이주자는 주요 공장지대 주변에 집중적으로 거주하고 있으며, 미국, 영국, 프랑스, 독일 및 호주와 같은 유럽계 이주자들은 용산구 일대에 집중적으로 거주하는 특성을 보인다. 교육이주자는 기존 자국민의 이주자가 집중된 지역에 거주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이 다수인 결혼이주자는 대부분 도시에 거주하고 있는데, 결혼이주자들이 가장 많이 거주하는 곳은 한국계중국인이 밀집된 곳이거나 수도권 내 주요 공장지대이다. 본 연구는 이주자의 공간은 국적에 따라 차이가 나타날 뿐만 아니라 체류유형에 의해서도 차이가 나타남을 보여준다. 따라서 이주자를 민족이나 국가 단위로 동질화하여 설명하는 것은 문제가 있음을 보여준다. The development of internet and transportation, and the expansion of global finance and culture have increased migrants in the world. In case of Korea, the changes of industrial structure, the changes of social values and the globalization of education have brought a sharp increase of foreign migrants. Recent migration study tends to giving attention on the spatial scale by migrant's social relations. Migrants are not only trying to maintain the transnational social relations, but also embedding into the local's socio-cultural environment, deriving local changes. This research attempted to reveal the characteristics of migrant space with diverse of scale levels through categories of states and visa-type in the city-gun-gu scale in national level and dong scale in Seoul. This research clearly shows the fact that migrant's residential spaces are different by nationality and migration status. Migrants tend to utilize a certain kind of social capital, making the new space of migrant. Routine labor migrants, mainly from asian countries, are concentrated on the manufacturing areas, while professional labor migrants from European countries such as U.S.A., U.K. France, Germany, and Australia are inclined to settle in the Yongsan area. Also There are several distinctive spatial distribution related to migration status (visa-type). Educational migrants tend to find their residential place nearby their ethnical anchorage. Marriage migrants who are dominated by female are highly concentrated into the city areas which are nearby the place of Korean-chinese's residential areas and the manufacturing areas. This research clearly shows that the space of migrants is different by nationality and migration status. Thus, the homogenisation of migrants by ethnic or state tend to raise a problem in migration studies.

      • KCI등재후보
      • 각국의 u-Health 현황과 국내 도입과제

        이용균 한국병원경영연구원 2011 KIHM ISSUE PAPER Vol.- No.7

        ○ 의료기관을 기반으로 하는 u-Health 서비스의 개념은 유비쿼터스 IT 기술을 활용하여 예방, 진단, 치료 및 사후 관리 등의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으로 개념정의를 할 수 있음. ○ 그 동안 국내 u-Health 시장의 환경은 고령화 인구의 증가, 일반인들의 건강과 미용에 대한 관심 증대, 웰빙(well-being) 라이프스타일의 확산을 통한 행복 추구 등으로 다양한 시장가능성을 가지고 있다고 평가되고 있음. ○ 기술적 측면에서 u-Health 서비스 분야는 국내의 선진화된 IT 기술을 토대로 발전할 가능성이 매우 큰 분야로서 IT와 BT가 결합된 인체장착형(wearable)의 초소형 바이오 정보 단말 기술, bio-PDA, lab-on-a-chip 휴대형 진단기 등 신 개념의 정보기기 구현에 직접적으로 응용 가능한 분야로 기대되고 있음. ○ 하지만 국내의 경우, 아직 u-Health 부문에 대한 제도적인 정비의 미비, 의료기관과 환자(B2C) 제도적 불허 등으로 인한 수익모델의 부재 등으로 국내에서 u-Health 사업화는 제도적인 진입장벽과 현실적인 한계에 직면하여 어려움을 겪고 있음. ○ 국내 u-Health 산업과 관련된 외부요소와 내부요소에 대한 장단점을 SWOT분석기법을 이용하여 살펴보면 기회 요소로서는 우수한 통신망, 빠른 IT수용문화, 의료 및 IT기술융합 부문 등으로 나타남. 하지만, 약점 및 위협 요소로 국내 시장의 영세성, 의료기관 대 환자(B2C) 서비스규제 등이 국내 u-Health 산업의 내부적인 약점과 위협요소로 분석되고 있음. ○ 따라서 의료기관과 관련업체들이 성공적인 도입모형과 활성화 요인을 찾아내어 다양한 형태의 u-Health 서비스 모형을 포괄할 수 있도록 건강관리서비스의 제도화, B2C 제도적 허용 등 u-Health 활성화 정책적 대안모색이 요망된다고 하겠음.

      • KCI등재

        이주자의 장소 점유와 주변화 담론 연구 : 서울 자양동 중국음식문화거리를 사례로

        이용균 한국경제지리학회 2013 한국경제지리학회지 Vol.16 No.2

        글로벌화와 초국가주의 시대에 가장 관심을 끄는 것은 이주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서울 자양동 중국음식문화거리 내 한국인 상가를 대상으로 한국계중국인의 장소 형성에 대한 지배집단의 주변화 담론을 살펴보았다. 중국음식문화거리는 일부 한국계중국인들이 가리봉-대림 일대와의 차별화를 추구하는 과정에서 형성되었고, 한국계중국인의 새로운 민족경제에 기반한 공동체 공간으로 발전하게 되었다. 원주민 상인들은 한국계중국인이 한국으로 유입되는 자체에 대해서는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있지만, 자양동 일대로 집중되는 것에는 강한 불만을 나타내었다. 한국계중국인의 장소 점유가 확대되면서 주류사회는 한국계중국인을 지역사회의 안정을 해치는 불안요인으로 인식하고, 도덕적으로 미성숙한 타자로 위치시키며, 무분별한 집중으로 인하여 지역개발의 가능성을 없애는 존재로 주변화 시킨다. 이러한 한국계중국인의 주변화는 진정한 로컬의 변화에 대한 이해를 어렵게 하는데, 중국음식문화거리의 조성에 따라 주변 환경의 개선과 이미지 제고가 있었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주류사회의 이주자 주변화는 고정관념과 편견에 따른 결과이며 향후 이주자의 장소 점유와 로컬의 변화에 대한 보다 상세한 연구가 추진되어야 함을 제안한다. One of the most interesting points in the era of globalization and transnationalism is the movement of people, namely migration. This research aims to explain the discourse of marginalization on Korean-Chinese by Korean merchants as the migrants expand their shops in the Chinese Food Culture Street. The Chinese Food Culture Street has been formed by Korean-Chinese restaurants and shops for the process of differentiation from the Garibong-Daelim area. Korean merchants in the street are not opposed to the influx of Korean-Chinese into Korea, however they do not want to the influx of them into the Jayang area. As the influx of Korean-Chinese into this street has increased, so the Korean merchants in the street have marginalized them as dangerous clement for local security, as immoral being cling to their business, and as the main reason for the regional underdevelopment. However, this marginalization of Korean-Chinese makes difficult to understand the real change of local area, because there has been some positive effects by the influx of them such as the improvement of surrounding environment and the elevation of local imagination. This research clearly suggest that the marginalization of migrants by major society us from the fixed idea and prejudice, and this research suggest the need to further study on the occupation and change of local by migra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