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일본 근현대 재가불교운동의 특징과 전망

        이석환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불교문예연구소 2019 불교문예연구 Vol.0 No.13

        본 논문은 일본에서 일어난 근현대 재가불교운동의 특징을 살펴보고 재가 불교 교단이 나아갈 방향을 알아본 논문이다. 특히 한국에서도 교단이 형성 되어 포교활동을 하고 있는 법화천태계열 교단과 진언종 계열 교단의 교단 형성과 발전, 교학과 수행체계의 특징을 알아보고 현대사회에서 재가불교 교단의 발전 가능성에 대하여 고찰해보았다. 일본의 재가불교운동은 일본의 근대화와 더불어 일어났다. 급격한 근대화로 인한 개인의 사회적 소외와 경제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기성종단에서 할 수 없는 일을 재가자가 중심이 되어 교단을 형성하며 재가불교운동이 발생한 것이다. 일본에서 재가불교 교단은 크게 법화천태 계열과 진언계로 나눌 수 있는 데, 법화천태계 교단은 혼몬부츠류슈(本門佛立宗), 코쿠츄카이(國柱會), 레이유카이(靈友會), 리쇼고세카이(立正佼成會), 소카각카이(創價學會)가 대표적이다. 이들은 모두 니치렌슈(日蓮宗) 계열의 재가교단으로서 근대화에 따른 사회문제의 해결을 위해 교육과 경제문제에 관심을 기울였다는 공통점이 있으며, 소카각카이는 현실정치에 직접 참여했다는 특징이 있다. 신뇨엔(眞如 苑)은 진언계 교단으로 봉사와 실천을 바탕으로 사회문제와 환경문제, 문화적인 측면에서 많은 사회활동을 하고 있다. 이와 같은 일본의 근현대 재가불교 교단의 활동을 참고하여 불교사상을 바탕으로 사회문제를 해결하는 종교적 방법론이자 재가자들의 실천수행방법론으로 필자는 인권분야 사회운동에의 참여, 경제공동체 및 환경보호단체의 확충, 사회봉사 및 사회사업의 체계화, 전반적인 문화활동에 대한 투자, 정 치참여에의 독려의 5가지 발전방안을 제시했다. 이러한 방안은 재가자들이기 때문에 할 수 있는 사회문제의 해결방법으로서 미래세대와 현재세대를 연결할 수 있는 고리로 작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불교사상을 바탕으로 사회생활을 영위하는 재가자들의 안녕과 발전을 위해서도 사회운동을 전개하는 재가불자와 교단이 활성화 되어야 한다. This thesis analyzes the characteristic Japanese Lay Buddhist Movement in modern times and propose the direction of Lay Buddhist Religious body. Especially, I will examine the formation, development and the asceticism system of T’ien-t’ai Religious body(天台系敎團) and Shingon Religious body(眞言系敎團) which have been formed in Korea, and show the possibility of development of the Lay Buddhist Religious body In the modern society. The Japanese Buddhist movement took place with the modernization of Japan. In order to solve the social alienation and economic problems caused by the rapid modernization, Lay Buddhist Movement is occurred because Buddhist Order could not suggest any solution. Japanese Lay Buddhist Religious body can be divided by T’ien-t’ai and Shingonsyu(眞言宗). Representative T’ien-t’ai Religious body is Honmonbuturyusyu(本門佛立宗), Kokucyukai(國柱 會), Reiyukai(靈友會), Ritsyoukosekai(立正佼成會), Sokagakkai(創價學 會). They are all based on Nichirennsyu(日蓮宗), and interested in education and economic issues in order to solve the social problems caused by modernization. Especially Sokagakkai is directly participated in real politics. Shinnyoen(眞如苑) is Shingon Religious body, that based on service and practice, and has many social activities in social issues, environmental problems, and cultural aspects. Based on Buddhist thought, referring to the activities of Buddhist denominations in Japan, I have proposed five ways to participate in the social movement in the human rights field, to expand economic and environmental protection groups, to organize social services and social work, to invest in overall cultural activities, and to encourage political participation as religious methodology to solve social problems and a methodology. This is a solution to social problems that can be done because they are Lay Buddhist, and It can serve as a link between future generations and current generations. And based on the Buddhist ideology, Lay Buddhist and Religious body should be revitalized to develop social movements for the well-being and development of the Lay Buddhist living in social life.

      • KCI등재후보

        A Case of Bilateral Tuberculosis Otitis Media Following Nasopharyngeal Tuberculosis

        이석환 대한이비인후과학회 부산,울산,경남 지부회 2023 임상이비인후과 Vol.34 No.3

        Bilateral tuberculous otitis media (TBOM) and nasopharyngeal tuberculosis (NPTB) are rare forms of TB. To date, no case of NPTB leading to bilateral TBOM has been reported. This paper presents the unique case of a 42-year-old female in whom NPTB lesions progressed to bilateral TBOM within a month of practicing inappropriate nasal irrigation. In addition to the history of improper technique, the comparison of imaging findings before and one month after nasal irrigation led to the conclusion that incorrect nasal irrigation significantly contributed to the rapid spread of NPTB to both middle ears. Based on these findings, it is suggested that even before diagnosing NPTB, it is essential to educate patients on the correct nasal irrigation method. In particular, if NPTB is diagnosed, avoiding nasal irrigation may reduce the risk of NPTB spreading to the middle ear.

      • KCI등재
      • KCI등재

        일본에서의 붓다관의 변용變容: 깨달은 자에서 종조宗祖로

        이석환 한국동서철학회 2023 동서철학연구 Vol.- No.109

        붓다의 입멸 이후에 불교가 발전함에 따라 붓다관은 일불론에서 다불론으로 변화하게 된다. 본 논문은 불교가 전승되어 이어지는 동아시아 불교권 가운데 일본에서는 붓다관이 어떻게 변화되었는지에 대하여 알아본 것이다. 특히 일본불교의 특징이 나타나는 나라말에서 카마쿠라시대의 붓다관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일본불교는 종파불교라는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불교의 도입과 발전과정을 통하여 다불론을 받아들였다. 이는 대승불교를 받아들인 동아시아불교의 특징으로서 붓다관이 다불론으로 확립된 이후의 특징이다. 이를 통하여 일본에서는 각 종파의 종조에게로 붓다관이 확장되어 발전하게 된다. 이는 호넨의 정토종과 신란의 정토진종의 교학에서도 잘 나타나 있는 것으로서 일본불교의 붓다관을 보여주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일본불교에서 붓다관의 변용을 살펴보았지만, 전체적인 변화과정을 알아보지 못하고 일본불교의 종파불교적 특징이 나타나기 시작하는 나라말기에서 카마쿠라시대의 일부 시대로 한정지어 고찰한 한계가 있다. 그리고 선종과 법 After the death of the Buddha, Buddhism was developed and the concept of the Buddha through changed from the theory of One Buddha to the theory of Many Buddhas. This paper investigates how the Concept of the Buddha through in Japan. In particular, I considered the concept of the Buddha through from the end of Nara period to the Kamakura period, where the characteristics of Japanese Buddhism can be seen. Japanese Buddhism has the characteristic of sectarian Buddhism, and through the process of introduction and development of Buddhism, it is facing the theory of Many Buddhas. This is a characteristic of East Asian Buddhism that accept Mahayana Buddhism and a characteristic after the concept of the Buddha thought was established by the theory of many Buddhas. Therefore, in Japan, the concept of the Buddha thought was propagated and developed by the founders of each sects. This is often seen in the teachings of Pureland sect of Honen and JodoShin sect of Sinran. And the concept of the Buddha thought of Japanese Buddhism. In this paper, I have examined the Change in Apperance of the Concept of the Buddha thought of Japanese Buddhism, but there is no overall process of change, and there is a limit to limited period. And the Concept of the Buddha thought of Zen sect and Hokke sects was also excluded. This part remains for further research.

      • KCI등재
      • KCI등재

        성과평가제도의 수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

        이석환,조주연 서울행정학회 2010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Vol.20 No.4

        This study explores receptiveness to performance appraisal system based on BSC among public employees at the local level governments. With the focus of two dimensions (appraisal system factors and internal motivation factors), this study examines what should be done to increase the level of receptiveness and to successfully implant the system in an organization. Dividing public employees into two levels(managerial level and lower level), this study suggests managerial implications based on finding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