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리더-구성원 간 공유 리더십이 팀 몰입 및 팀 만족에 미치는 영향: 행위자-상대자 상호의존 모형(APIM)의 적용

        이윤수,정희원,조대연 한국기업교육학회 2016 기업교육과인재연구 Vol.18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shared leadership on team commitment and satisfaction in the leader-member relationship using Actor-Partner Interdependence Model (APIM). This study collected data from 624 employees in a company, including 51 leaders and 591 memb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leaders’ shared leadership positively influences their team commitment and satisfaction, and members’ shared leadership also positively influence their team commitment and satisfaction. This indicates that actor effects of leaders and members are significant. On the other hand, the effects of leaders’ shared leadership on members’ team commitment and satisfaction were not significant, but the effects of members’ shared leadership on leaders’ team commitment and satisfaction were positively significant. This indicates that partner effects are partially significant.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suggests practical implications for settlement of shared leadership in the leader-member relationship, and also provides academic and methodological implications associated with shared leadership research. 본 연구는 공유 리더십(Shared leadership)이 팀 몰입과 팀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리더와 구성원 간 행위자-상대자 상호의존 모형(Actor-Partner Interdependence Model: APIM)을 중심으로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A사 51개 팀, 642명(팀장 51명, 팀원 591명)을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행위자-상대자 상호의존 모형 분석 결과, 리더의 공유 리더십은 리더의 팀 몰입과 팀 만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구성원의 공유 리더십도 구성원의 팀 몰입과 팀 만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어, 행위자 효과가 모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리더의 공유 리더십은 구성원의 팀 몰입과 팀 만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고, 구성원의 공유 리더십은 리더의 팀 몰입과 팀 만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어, 상대자 효과는 부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리더-구성원 간 상호 영향 관계에 있어서 공유 리더십의 정착을 위한 실천적 시사점과 공유 리더십 연구와 관련한 학문적․방법론적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 KCI등재

        군 생활 적응 유연성을 위한 가상현실(VR) 콘텐츠 활용 방안

        이윤수 한국군사회복지학회 2020 한국군사회복지학 Vol.13 No.1

        장병들의 군 내 문화와 환경은 나날이 개선되고 있다. 하지만 경쟁 위주의 학습과 개인 위주의 자유로움속에서 살아온 청년들의 군 조직 시스템 속에서의 적응은 쉽지 않다. 지금까지 군 내 여러 문제와 사고를방지하기 위해 많은 연구와 정책 방안이 있었지만 지휘관의 마인드와 동료와 부대 시스템, 교육, 상담, 집단 프로그램의 단발성과 낙인화 등의 문제로 부적응 장병에 대한 문제는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는 집단 부적응 장병과 분노와 불안, 위축 등 심리적 장애를 가지는 장병들을 위한 실질적 적용을 모색하면서 시작되었다. 현재 생활 속에 급속히 보편화되고 있는 가상현실(VR)은 콘텐츠와 활용 방법에 따라 인간의 사회에서의 적응을 도와주는 안전한 디지털치료제로 평가받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군 생활 부적응 장병에 대한 정책과 서비스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이를 보완할 수 있는 가상현실(VR)은 콘텐츠 활용방안을 제시하였다. 코로나 19와 신냉전시대로 전환이 우려되는 국제 정세의 급속한 변화로 비대면과 사이버상의 근로 시장에서의 활동이 본격화되고 있다. 현시점에서 급속한 과학의 발전과 변화하는 사회에 맞춰장병들의 효율적인 적응 유연성을 위한 인력 관리 정책과 다양한 군사회복지실천에 활용되길 바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ation of Virtual Reality Content element for adjustment resilience military life of military personnel the social support of military personnel showed a positive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ilitary personnel stress and military life adjustment, but the adjustment effect did not appear.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influence of military personnel stress, resilience and adaptation of military life were analyzed and practical suggestions were made to help miitary personnel adapt to military life. This thesis shows that Viral Reality technique which make a person be able to look, feel, hear and inter action in the computer generated situation can over come some of the difficulties inherent in the traditional treatment of phobias. Virtual Reality program like current imaginal and in vivo modalities, can generate stimuli that could be utilized in education, game, sports, provide stimuli for patients who have difficulty in imaging scenes and are too phobic to experience real situations. we developed Virtual Reality System and some virtual environment for treat in g phobia such as agoraphobia, acrophobia and social phobia. And we also examined the efficiency of Virtual Reality Therapy by military life and military social work.

      • 4차 산업혁명의 과학기술을 적용하는 사회복지실천에서의 윤리와 가치

        이윤수 한국사회복지학회 2018 한국사회복지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Vol.2018 No.4

        현재 가장 큰 이슈가 되고 있는 4차산업혁명이 휴먼서비스 분야에 급속히 진출하고 있다. 4차산업혁명이란 인공지능, 로봇기술, 생명과학 등이 주도하는 차세대산업혁명으로 육체노동뿐 아니라 정신노동도 대체될 수 있다는 점이 기존 산업혁명과 큰 차이점을 보인다. 본 연구는 ‘4차산업혁명은 사회복지실천의 윤리와 가치에 어떤 영향을 줄 것이며, 그에 대한 대비는 어떻게 해야 하는가?’ 라는 의문으로 시작되었다. 선행연구와 문헌고찰, 집단초점면접법을 활용하여 급속히 변화하는 사회 흐름 속에서 현재 가장 많은 이슈가 되고 있는 4차산업혁명의 기술과 기계의 휴먼서비스 분야 진출에 따른 윤리와 가치에 대한 담론의 기초를 제공한 데 의의를 둔다. 연구 결과를 통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4차 혁명의 기술과 기계가 사회복지 현장에 활용 될 때 맞춤형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분류하는데 사회복지사와 관련 학회의 공동 작업을 제안한다. 둘째, 기술과 기계가 사회복지사를 대체 할 수 없는 부분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져 앞으로 사회복지 교육 과정에 윤리와 가치 변화에 대한 논의와 함께 사회복지사의 역할과 전문 기술, 감정과 소통에 대한 노력이 반영되어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