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쿠싱 증후군에서 골다공증성 척추 골절의 위험 인자

        이승환,박병문,송경섭,이수건,윤상필,이재철,이범석,양봉석 대한척추외과학회 2017 대한척추외과학회지 Vol.24 No.1

        Study design: Retrospective study. Objectives: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risk factors of osteoporotic vertebral fractures (OVFs) in patients with Cushing syndrome. Summary of Literature review: In most reports, vertebral fractures in Cushing syndrome have been found to be related to osteoporosis. However, few studies have analyzed the clinical risk factors for OVFs. Materials and Methods: Thirty-two patients with Cushing syndrome who visited the orthopaedic department complaining of back pain were included in this study. Standing lateral X-rays were performed to evaluate the presence of vertebral fractures, and bone mineral density (BMD) was measured. Results: Of the 32 patients with Cushing syndrome with back pain, 8 (25%) were diagnosed with OVFs using morphometric criteria. The average weight and body mass index of the vertebral fracture group (VF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values observed in the non-vertebral fracture group (non-VF group) (p=0.004, p=0.018). Lumbar BMD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VF group (p=0.006). A risk factor for OVFs in Cushing syndrome was osteoporosis (odds ratio=18.56, 95% confidence interval=1.72-200.21, p=0.016) regardless of gender, obesity, menopause, or urine free cortisol levels. Conclusions: OVFs in Cushing syndrome have been associated with overweight, and overweight is an indicator of compliance in the treatment of Cushing syndrome. Therefore, weight reduction and the prevention of osteoporosis should be emphasized in patients with Cushing syndrome to prevent OVFs. 쿠싱 증후군에서 골다공증성 척추 골절의 위험 인자이승환 • 박병문 • 송경섭 • 이수건 • 윤상필 • 이재철 • 이범석 • 양봉석광명성애병원 정형외과연구 계획: 후향적 연구목적: 쿠싱 증후군에서 증상이 있는 골다공증성 척추 골절의 유병률을 조사하고, 골다공증성 척추 골절의 위험 인자를 분석하였다. 선행문헌의 요약: 쿠싱 증후군에서 척추 골절은 대부분은 골다공증과 연관이 있었다. 그러나 척추 골절의 다른 위험 인자에 대해 분석한 연구는 거의 없었다. 대상 및 방법: 요통으로 정형외과 외래에 내원한 32명의 쿠싱 증후군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흉요추부 기립위 측면 방사선을 촬영하여 척추 골절을 진단하였고, 척추와 대퇴 경부의 골밀도를 측정하였다. 척추 골절 그룹과 비골절 그룹의 통계학적 차이를 paired t-test를 이용해 비교하였고, 위험인자 분석을 위해 로지스틱 회귀 분석을 사용하였다. 결과: 전체 32명의 환자중 8명(25%)의 환자에서 골다공증성 척추 골절이 확인되었다. 척추 골절군의 평균 체중과 체질량 지수가 비골절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으며(p=0.004, p=0.018), 척추 골절군의 요추부 골밀도가 비골절군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다(p=0.006). 골다공증성 척추 골절의 위험 인자는 골다공증으로 나타났다(odds ratio 18.56, 95%CI 1.72-200.21, p=0.016). 결론: 쿠싱 증후군 환자에서 척추 골절의 발생은 과체중과 관련이 있으며, 과체중은 평소 쿠싱 증후군의 부적절한 치료로 인한 상태를 반영하는 지표라고할수 있다. 그러므로, 적절한 내분비적 치료를 통계 적정 체질량을 유지하고, 골다공증의 약물 치료를 병행하는 것이 쿠싱 증후군의 척추 골절 예방에 중요하다고 하겠다. 색인 단어: 쿠싱 증후군, 척추 골절, 골다공증약칭 제목: 쿠싱 증후군과 척추 골절

      • KCI등재후보

        건강한 한국인 자원자에서 말레인산 이르소글라딘의 약동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이승환,임경수,김정렬,김재우,김보형,조주연,윤서현,신상구,장인진,유경상 대한임상약리학회 2009 Translational and Clinical Pharmacology Vol.17 No.1

        Background : Irsogladin maleate, increasing gastric mucosal blood flow and cAMP in mucosal epithelial cells, is being marketed for the treatment of gastric ulcer and gastritis. The object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pharmacokinetic characteristics and safety profiles of irsogladin maleate in Koreans. Methods : An open-label, dose-escalation, parallel group study was conducted in 28 healthy male Korean volunteers. Irsogladin maleate was administered as a single dose of 4 mg (n=16), 8 mg (n=6) or 16 mg (n=6). Serial blood samples for pharmacokinetic analysis were taken over 504 h. Plasma concentration of irsogladin was measured b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 tandem mass spectrometry (LC-MS/MS). Pharmacokinetic parameters were determined using noncompartmental methods. Laboratory tests, ECGs, vital signs and physical examinations were performed for clinical safety evaluation. Results : Maximum observed irsogladin plasma concentration (Cmax) (mean ± SD) of 4 mg, 8 mg and 16 mg dosage group were 82.9 ± 12.5 μg /L, 161.4 ± 25.9 μg /L and 292.6 ± 51.2 μg /L, respectively. Area under the plasma concentration versus time curve from dosing to the last quantifiable concentration (AUClast) of three dosage groups were 12694.4 ± 2906.2 μg *h/L, 24970.0 ± 5253.8 μg *h/L, 47125.3 ± 8676.7 μg *h/L, respectively. Apparent clearance (0.30 ± 0.07L/h, 0.31 ± 0.10 L/h, 0.31 ± 0.06 L/h, respectively) was unaffected by dosage. The 95% CI of slope of Dose-Cmax and Dose-AUClast linear regression were 15.4 – 19.6 and 2485.2 – 3262.0. All adverse events reported were mild and no clinically significant abnormalities of safety evaluation were observed. Conclusions : The pharmacokinetic characteristics of Irsogladin maleate after single dose administration was explored in healthy Korean volunteers. Irsogladin maleate displayed linear plasma pharmacokinetics over the dose range 4 - 16 mg. Irsogladin maleate was well tolerated after single dose administration in Koreans.

      • KCI등재

        일본의 기업결합심사기준에 관한 고찰- 디지털 플랫폼에 대한 규제를 중심으로 -

        이승환 한국상사판례학회 2022 상사판례연구 Vol.35 No.1

        Non-competitive corporate consolidation in certain markets is the main cause of the monopoly market and is a hindrance to the fair competition. Antitrust Law in each country has Corporate Consolidation regulatory measures to resolve these problems. On the other hand, the development of modern science and technology is creating a new form of business model using electromagnetic equipment such as the Internet. In recent days, non-competitive corporate consolidation is emerging frequently in digital platform market. However, the pre-notification system of guidelines for Corporate Consolidation is not effective for this new type of business model. In response to these problems, laws and regulations are being developed in Europe with the aim of establishing new standards for Corporate Consolidation between digital platform operators. In Japan, the Antitrust Law and Corporate Consolidation Guidelines have been revised to regulate Corporate Consolidation in the digital platform market, which has been occurring frequently in recent years. But it is considered necessary to improve the reporting system considered to the characteristics of digital platforms, various criteria for judging competition limitations, and development of systems for post-management. This paper focuses on these points and focuses on cases in Japan, where laws and regulations and policy management are most similar to ours, and tries to derive suggestions about our legislation from now on. 일정한 시장에서의 경쟁제한적 기업결합은 독과점 시장을 일으키는 주요 원인으로 공정한 경쟁에 의한 시장경제를 저해하는 요소이다. 각국의 경쟁법은 이러한 문제점에 대처하기 위하여 각국의 사정에 맞는 기업결합 규제책을 가지고 있다. 한편 현대의 과학기술의 발달은 인터넷을 비롯한 전자적 장비를 이용한 새로운 형태의 비즈니스 모델을 창출하고 있다. 경쟁제한적 기업결합이 이러한 분야에서도 빈번히 출현하고 있음은 당연한 일이다. 그런데 기존의 경쟁제한적 기업결합을 규제하기 위한 사전신고제도나 심사기준은 이러한 새로운 형태의 시장에 대해서는 유효한 것이 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에 따라 유럽에서는 디지털 플랫폼 사업자간의 기업결합에 대한 새로운 기준의 마련 내지 사후심사의 강화 등을 염두에 둔 법령 내지 제도의 정비를 이루고 있다. 일본의 경우에도 최근 빈번히 발생하고 있는 디지털 플랫폼 시장에 대한 기업결합을 규제하기 위하여 독점금지법과 기업결합 가이드라인 등을 대폭 개정하였다. 이러한 움직임은 우리나라의 경우도 마찬가지인데 디지털 플랫폼의 특성에 맞는 신고제도의 개선, 경쟁제한성에 대한 다양한 판단기준, 사후적 관리 등을 위한 제도 정비가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본 논문은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우리와 가장 법령과 정책운용이 유사한 일본에서의 사례를 중점적으로 살펴보고 이로부터 우리법제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먼저 일본에서의 기업결합에 대한 규제와 개정 심사기준의 주요 내용을 살펴보고(Ⅱ), 최근의 디지털 플랫폼 사업자간의 대표적 사례에 대한 심결례를 고찰한 후(Ⅲ), 이에 대한 검토 및 우리나라 법제에 대한 시사점(Ⅳ)을 살펴보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