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와 소셜 네트워크 게임(SNG) 사용자들 사이의 양방향 상호작용

        기대,박창훈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9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9 No.12

        Social network games are a form of online game that maximizes social activities such as user engagement and relationships based on social network platforms such as Facebook and KakaoTalk.Traditional social network games, however, encourage gamers to promote the game by sending a one-way message to friends connected to the social network. One-way interactions, such as public relations delivery, can provide a negative experience in promoting online connections and relationships. This paper proposes a direct and indirect two-way interaction method between game users and social network users to improve user participation and relationships in social network games. To implement this method, we developed a Tetris game with synchronous and asynchronous interaction with Facebook users. In addition,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 of the proposed interaction method on the intimacy and binding between SNS and SNG users. As a result, the proposed interaction was found to be at least 30% more effective in intimacy and relationships than the traditional interaction. Based on these results, we expect that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increasing intimacy and homogeneity among social network game users. 소셜 네트워크 게임은 페이스북, 카카오톡 등의 소셜 네트워크 플렛폼을 기반으로 사용자 참여와 관계 맺기와 같은 사회적 활동을 극대화한 온라인 게임의 한 형태이다. 그러나 기존의 소셜 네트워크 게임은 게임 홍보를 위하여 게임 사용자가 소셜 네트워크에 연결된 친구들에게 일방적인 메시지를 전달하도록 유도한다. 홍보 전달 같은 단방향 상호작용은 온라인 인맥과 유대관계 증진에 오히려 부정적인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논문은 소셜 네트워크 게임의 사용자 참여와 관계 맺기를 증진하기 위하여 게임 사용자와 소셜 네트워크 사용자 사이에 직간접적인 양방향 상호작용 방법을 제안한다. 이 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페이스북 사용자와 동기 및 비동기 상호작용이 가능한 테트리스 게임을 개발하였다. 그리고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제안하는 상호작용 방법이 SNS 사용자와 SNG 사용자 사이의 친밀감과 유대관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제안한 상호작용은 기존 상호작용보다 최대 30% 이상 친밀감과 유대관계 증진에 효과가 있다는 결과가 나왔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우리는 본 연구가 소셜 네트워크 게임 사용자들에게 친밀감과 동질성을 증대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이성계 관련 활자본 역사전기류의 양상과 특징

        기대(Lee Gi-dae) 우리문학회 2014 우리文學硏究 Vol.0 No.43

        일제강점기에는 이성계 관련 활자본 역사전기류로 3종류가 출판되었다. 출판된 작품은 〈태조대왕실기〉(회동서관), 〈조선태조대왕전〉(덕흥서림), 〈조선태조실기〉(대동성문사)이다. 조선시대에는 이성계와 관련하여 그의 생애를 전체적으로 다루기보다는 단편적 서술을 통한 일화 중심으로 기록하거나 편년사의 체재에 포함시켜 다루어 왔다. 따라서 활자본 역사전기류의 출판을 통해 이성계의 생애를 전체적으로 조감할 수 있게 되었고 이를 통해 개국 군주로서의 영웅성에 대한 이야기들이 보다 쉽게 확산되었다고 할 수 있다. 그렇다고 이들 작품이 모두 같은 내용으로 되어 있는 것은 아니다. 〈태조대왕실기〉에서는 하늘에서 정해진 이성계의 운명을 부각시키면서 초월적 존재에 의한 중화적 질서로의 재편을 기대하고 있다. 〈조선태조대왕전>에서는 역사적 사실을 토대로 영토문제를 제기하면서 조선시대에 대한 민족적 자부심을 부각시키고 있다. 〈조선태조실기〉는 기존의 문헌 기록을 수록하고 재편하는 과정을 통해, 잊혀져가는 조선 왕실의 정통성에 대한 교육적 효과를 높이려 하였다. Three printed books were published about the historical biography of Lee Sung-gye during Japanese occupation: “Joseon Taejodaehangjeon” published by Deokheungseorim, Taejodaewangsilgi by Hoidongseogwan, and Joseon Taejosilgi by Daedongseongmunsa. No works dealt with Lee Sung-gye’s life during the Joseon dynasty, and the publication of these books of historical biography consequently made it easier for people in general to understand Lee Sung-gye’s life and heroic qualities as a monarch who founded this dynasty. Specifically, the books on the historical biography of Lee Sung-gye served to heighten contemporary people’s national pride during Japanese occupation, and there was a yearning for a new heroic figure in the books as well. The books are not the same in terms of content. In the book “Taejodaewangjeon,” Lee Sung-gye’s destiny as a king was highlighted in a hope for the establishment of new order by a transcendental person. In another book “Taejodaewangsilgi,” historical facts were described to heighten national pride in the Joseon era. In the third book “Joseon Taejosilgi,” existing records of literature were reorganized to boost the effect of education on the history of the Joseon era.

      • 초등 사회과 3학년 지역화 교수·학습자료개발 연구

        기대,손정선,김언식,김용조,이광성,김경운 光州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02 初等敎育硏究 Vol.17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in developing locally-oriented teaching-learning materials to motivate students to effectively take part in activities using map and in improving the field work of social studies to plan a map learning and to give them the ability of practice. It represents the right order involved in teaching the activities using map after doing preceding learning : classroom, playground, and the environs of the school including to some learning methods such as a puzzle map, a correlative of learning. Field trip study planning and lesson-plan are designed in case of Sewage disposal plant, Duknam filtration plant, Bonchon industrial complex relating to field trip study. There are some effects expected which follow through this study. First, teachers are able to draw learner's interest in finding learning sources directly through the community where they live. Second, learners have active participation in class, motivation, drawing their interests through map learning by doing preceding study of learner-centered. Third, teachers can make use of it as useful tools to get high achievement goal with self-direct learning.

      • KCI등재

        단종대왕실기의 서술 태도와 시대적 의미 연구

        기대 온지학회 2024 온지논총 Vol.- No.80

        일제강점기에 박문서관에서 간행한 단종대왕실기(端宗大王實記) 는 단종의 생애를 실기 형식으로 서술한 구활자본 작품이다. 전체 82쪽으로 되어 있는 분량을 통해 단종의 비극적 생애와 죽음 이후 전개된 역사적 상황을 관련 기록과 민간에서 전해지는 다양한 설화적 기억들을 통해 제시하고 있다. 단종대왕실기 의 서술자는 단종의 폐위와 죽음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고 하늘을 원망하면서 작품을 시작한다. 단종이 왕위에서 폐위되고 결국 목이 졸려 죽게 된 상황을 사실 그대로 받아들이지 못하여, 다른 방식으로 접근하고자 하는 것이다. 그리고 역사적으로 달라진 평가와 후대에 전개된 각각의 인물들에 대한 후과와 보상의 과정을 일일이 제시하여, 하늘의 응답이 역사적으로 전개되고 있었음을 밝힌다. 작품이 읽히던 일제강점기를 고려한다면, 작품의 저작 의도는 하늘이 보여준 역사적 전개의 과정과 관련되어 있다. 단종의 생애를 후대에 다시 평가하고 단종을 끝까지 따랐던 인물들의 후손에게 나타난 길흉의 역전 과정은 시대적 의미를 갖기에 충분하다. 일제강점기도 단종의 시대와 같이 하늘이 돕지 않는 것처럼 보이지만, 단종을 통해 보여주었던 하늘의 응답을 다시 기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작품에서의 단종에 대한 인식은 일제강점기의 문헌과 잡지 등에 실린 기록 등을 통해서도 찾아볼 수 있다. 이를 통해 단종의 비극적 생애가 지닌 의미를 역사적 관점에서 바라보고 그의 생애에 대한 하늘의 응답을 확인하는 단종대왕실기 의 서술에 당시의 독자들이 공감하였다고 판단한다. Danjongdaewang-silgi(端宗大王實記) is a classic novel published by Park Mun-seo-gwan in Japanese colonial era. The novel depicts King Danjong's life in a historical documentary format. King Danjong stepped down shortly after he ascended the throne. He was exiled and eventually strangled to death. As the tragic situation of King Danjong unfolded, people could not understand it. Therefore, people resented the sky and expected him to correct his tragedy. Sky's answer could first be confirmed through the direction of the public's heart. Sky's intention was revealed through the people's sympathy for Danjong. After that, the process of reversing the fate of the characters in history unfolded. Through this, heaven's intention was clearly confirmed and right and wrong could be distinguished in the flow of history. Haneul's intention in the book Danjongdaewang-silgi(端宗大王實記) is still valid during the dismal times of Japanese colonial rule. Although we are living through difficult times, we expect them to change over time. What matters is how to overcome these times. The answer can be found through the process of remembering and remembering those who followed King Danjo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