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중추신경계 생식세포종양 : 13예의 임상 병리학적 분석 Clinicopathological analysis of 13 cases

        최기영,공경엽,이정교,황충진,유은실,이인철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1992 울산의대학술지 Vol.1 No.1

        To elucidate the clinicopat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intracranial germ cell tumors, retrospectively examined were 13 cases that were histologically confirmed in Asan Medical Center between January 1990 and August 1992. Germ cell tumors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consisted of 10 cases of germinomas, one cases of endodermal sinus tumor, one embryonal carcinoma, and one mixed germ cell tumor(immature teratoma + choriocarcinoma + embryonal carcinoma). All the germinomas presented during the first three decades of life, and they were most common in the second decade with median age of 12 and were equally divided between the sexes. Germinomas were located almost exclusively in midline structures, particularly suprasellar area and/or pineal region. Occasionally, germinomas occured away from the midline in such sites as the thalamus or basal ganglia. in the suprasellar location the triad of diabetes insipidus, visual defect and hypopituitarism was typically produced. Cytological examinations of CSF or intraoperative aspiration were much useful in the diagnosis of germinomas. Histological features of the germ cell tumors were generally agreed with serum or CSF levels of tumor markers such as HCG, AFP and CEA. However, two of ten germinomas disclosed discrepency between them. Therefore, stressed was the importance of collective consideration for both tissue diagnosis and tumor marker studies. Most germ cell tumors responded to radiation therapy with or without adjuvant chemotherapy following initial surgical biopsy, at least for the short-term follow-up periods.

      • 위의 이형성증, 선종, 선암종에서의 Oncogene과 Suppressor gene의 발현에 관한 연구

        유은실,정재걸,이인철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1995 울산의대학술지 Vol.4 No.1

        Immunohistochemical stainings were done to analyse the distribution of p53 and Rb proteins with various gastric epithelial lesions:normal, intestinal metaplasia, low grade and high grade gastric dysplasia, and gastric carcinoma. Normal and intestinal metaplastic epithelium revealed weak positivity for both p53 and Rb proteins. Low grade gastric dysplasia was also diffusely and mildly positive for two proteins. In contrast, in the area of high grade dysplasia, dysplastic cells were strongly positive in nuclei as well as in cytoplasm. Intranulclear strong immunostaining was persistant in gastric carcinomas regardless of histologic differences. It can be assumed that either p53 or Rb proteins may be involved in a spectrum of gastric epithelial changes directly or indirectly. Immunostaining for muted p53 proteins may be used to determine the degree of gastric dysplasia in association with light microscopic features.

      • KCI등재후보

        中國統一的多民族國家의 歷史認識과 그에 대한 對應論理

        이인철 동북아역사재단 2009 東北亞歷史論叢 Vol.- No.26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insists that she is a unitary multiethnic state created jointly by the people of all its ethnic groups. There are 56 ethnic groups identified and confirmed by the Central Government in China. As the majority of the population belongs to the Han ethnic group, China’s other 55 ethnic groups are customarily referred to as the national minorities. According to the national census conducted in 2000, of the country’s total population 91.59 percent belong to the Han ethnic group, and 8.41 percent belong to minority ethnic groups. The national minorities, though small in numbers, are scattered over vast areas. There are two types of theory about the formation of unitary multi-ethnic state. The one insists that China has been a unitary multi-ethnic state since ancient times. They think that the nationalities which live in the present territory of China and the ones which once lived in the domains and have now disappeared are the components of Chinese nationality. Their histories are the components of historical territory of China. But this theory confuse the China on the history and the category of Chinese history. The other theory insists that China has gradually formated a unitary multi-ethnic state. A lot of national minorities who make up the present China existed originally as a foreign ethic and a foreign state. According to this theory, China on the history means Han ethic’s state. This description is not appropriate to the present China, because the present China must describe 56 ethnic groups’history as Chinese history. The common feature of these two theories is to insist that the first category of historical description is“ territory.”But a history is human activities done in past and their records. Therefore the principal of history should be human beings. In the case of Chinese history, the first standard should be China which is a country as political and social organization. A history founded on a national historical discourse whose primary standard is the state as an organization comprising human beings rather than territory, is human-centered history. This paper believes that human-centered history should become the corresponding logic of Chinese territory-centered history. “중화인민공화국은 전국의 각 민족․인민이 공동으로 세운 통일적다민족국가이다.” 이는 중국헌법 서문에 나오는 말이다. 오늘의 중국이 한족과 55개 민족으로 이루어져 있고, 그것이 하나의 통일국가를 이루고 있으니 이 말은 오늘의 중국 현실을 표현한 말에 불과하다. 따라서 중국학계에서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 학자는 없다. 다만, 통일적다민족국가의 형성문제에 있어서는 자고이래설과 점진형성설로 나누어진다. 자고이래설은 지금의 중국영토를 기준으로 해서 그 안에 현재 살고 있는 민족 뿐 아니라 살다가 사라진 민족이 자고이래로 통일적 다민족국가를 이루고 있었다는 주장이다. 그러나 이 논리는 현재의 입장에서 중국사를 서술하고자 할 때 상정하는 중국사의 범주와 역사상의 중국을 혼동하고 있다. 중국사의 범주를 상정할 때에는 56개 민족이 과거에 세운 국가의 역사가 모두 중국사에 포함되겠지만, 그들 국가가 하나의 ‘중국’이라는 역사상의 국가를 이루고 있었던 것은 아니었기 때문이다. 현재의 중국 영토상에는 과거에 수많은 국가들이 독립국가로서 존재했는데 그 국가들을 현재의 중국 관념을 투영하여 그들 전체를 하나의 ‘중국’으로, 개별 독립 국가를 정권으로, 이들 국가 간의 전쟁을 중국 내부의 전쟁, 즉 內戰으로 설명함은 실사구시의 입장을 벗어난 역사인식이다. 또, 이는 현재의 중국강역과 역사상 중국의 강역을 동일시함으로서 중국의 역사발전과정을 도외시하는 역사인식이다. 점진형성설은 통일적 다민족국가로서 오늘의 중국은 점진적인 발전 형성과정을 거쳐서 이룩된 것으로, 지금의 중국을 구성하고 있는 많은 소수민족은 본래 외족, 외국으로 존재했었다는 주장이다. 이 설에서 말하는 ‘역사상의 중국’은 ‘중원을 차지한 국가’, ‘한족의 국가’를 의미하고, 그것이 주변의 소수민족을 흡수 내지 통합하는 과정으로 통일적다민족국가의 형성발전과정을 설명한다. 이렇게 되면 현재 중국을 구성하고 있는 변강지역의 많은 소수민족들은 본래 중국인이 아니고 외국인이었던 것으로 서술된다. 이러한 서술은 역사상 ‘당시’의 상황에서는 적합하지만 56개 민족이 하나의 국가를 이루고 있는 현재의 중국이 그들의 역사를 모두 중국사로 서술해야 하는 오늘의 시점에서는 적절하지 못하다. 중화민국 이전에는 ‘중국’이라는 국가 혹은 국명이 존재하지도 않았고, 시기에 따라서 역사상의 ‘중국’이 갖는 의미도 다른 상황에서 역사상의 ‘중국’이라는 용어를 가지고 중국사를 서술함은 역사인식에 혼동을 가중시킬 뿐이다. 따라서 현재의 시점에서 중국사를 서술 혹은 설명함에 있어서는 중화인민공화국의 약칭으로 ‘중국’을 사용하고, 역사상의 ‘중국’은 역사상의 정식 국명이 아니므로 당시의 실제 국가이름 즉, 漢․魏․晉․唐․宋․遼․金․元․明․淸 등의 국명을 사용함으로서 중국사의 범위를 설정할 때 사용하는 ‘중국’의 개념과 역사상의 ‘중국’을 혼동함에서 오는 모순을 피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자고이래설과 점진형성설이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는 특징은 ‘중국의 역사는 중화인민공화국 境內의 각 민족이 공동으로 창조한 역사’라 하여 중국사 서술의 1차적 범주를 강역으로, 2차적 범주를 민족으로 설정하고 있다는 점이다. 그러나 ‘역사’는 인간이 과거에 행한 행위 혹은 그에 관한 기록을 뜻하므로, 역...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