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망중립성의 의미와 인터넷 접속서비스 제공자의 트래픽 관리범위에 관한 소고

        지혜 梨花女子大學校 法學硏究所 2015 法學論集 Vol.20 No.2

        단대단 원칙에 따라 구축된 인터넷 망과 통신프로토콜은 모든 이용자들이 차별 없이 정보에 자유롭게 접근하고 의사를 표현할 수 있는 현재의 인터넷 문화를 형성하는데 기여해 왔다. 인터넷 공간은 정치, 경제, 산업, 문화 등 현대인의 모든 활동에서 기반이 되는 공적 자원으로서, 이용자가 콘텐츠, 기기, 서비스에 상관없이 동등하게 트래픽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망중립성 원칙은 인터넷 망의 공공성을 담보하는 기능을 수행해 왔다. 그러나 트래픽의 폭증에 따른 인터넷 망의 혼잡이 가중되고 망에 위해를 끼치는 행위들이 늘어남에 따라 인터넷 망을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이용할 방안이 필요하게 되었고, 그 일환으로서 일정한 기준에 따라 인터넷 접속제공자에게 트래픽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이 망중립성 정책의 일부로 포함되었다. 우리나라도 방송통신위원회와 미래창조과학부가 2011년과 2013년에 각각 트래픽 관리에 관한 지침을 발표한 바 있다. 그러나 구체적인 법규를 통해 실효성 있는 망중립성 정책을 펴고 있는 미국이나 유럽에 비해 상대적으로 우리나라의 망중립성 정책은 추상적인 제도에 지나지 않는다는 비판이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인터넷 접속제공자가 트래픽을 차단 또는 제한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것은 망중립성의 이념과 배치되거나 이용자의 권리를 침해하는 등의 부작용을 야기할 수 있다. 또한 이를 인터넷 접속제공자가 망을 관리할 권한이 확대된 것으로 본다면, 그에 상응하여 인터넷상 발생하는 문제에 대한 인터넷 접속제공자의 책임범위 등에 영향을 받을 소지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문제에 관련된 논의는 충분치 않아 보인다. 이 글은 이러한 배경에 문제의식을 가지고 미국 및 유럽연합의 망중립성 정책 동향을 소개한 후 우리나라의 트래픽 관리기준이 가질 수 있는 문제점을 지적하고 대응방안에 대해 논하고자 한다. Open architecture of internet network and communication protocols based on end-to end principle have been made the internet culture that everyone can freely access to information and express their opinion without any discrimination of internet traffic. Internet network is considered as public resources for people's political, economic, and cultural activities. Network neutrality principle has been supported by lots of people to protect the public nature of internet network, and now it became one of the most important internet policies in many countries. As internet traffic increased dramatically, however, internet network became more and more congested, and there is a need to find the way to manage and use the internet network effectively. Therefore, the way that allowing internet access service provider to manage traffic under certain standards was adopted into the network neutrality policy, and Korean government also announced the guidelines about managing internet traffic. In that net neutrality policy in Korea has been criticized that it was not supported by concrete and direct statutes, allowing internet access service provider to manage traffic could be against the ideology of net neutrality policy. And it is also worried about side effects such as infringement of user's right or expansion of responsibility of internet access service provider. But it doesn't seem that there are enough discussions about those issues. In this respect, this article introduces current net neutrality policy of U.S. and E.U., and points out the problems on the guidelines of traffic management in Korea. It also suggests some countermeasures considering spirit of net neutrality principle.

      • KCI등재후보

        우리나라 중학생의 학교수업적응 영향요인 분석 연구

        지혜 ( Ji Hye Yu ),이한샘 ( Han Saem Lee ) 충남대학교 교육연구소 2014 교육연구논총 Vol.35 No.1

        본 연구는 중학생의 학교수업적응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분석하여 학교수업참여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구조방정식모형을 통해 학교수업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변인, 또래변인, 부모변인 간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연구의 최종 모형검증 결과, 개인변인인 자존감과 자아탄력성은 직접적으로 학교수업적응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또래변인인 또래애착은 학교수업적응에 직접 및 간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또래애착은 자존감을 매개로, 혹은 자존감과 자아탄력성을 순차적으로 매개로 학교수업적응에 영향을 미쳤다. 마지막으로 부모변인은 부모의 과잉간섭이 자존감을 매개로 혹은 자존감, 자아탄력성을 순차적으로 매개하여 학교수업적응에 영향을 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중학생의 학교수업적응에는 개인, 부모, 또래 변인이 중요한 영향요인임을 규명했으며, 중학생들의 학교수업적응을 위해서 부모와 교사의 적절한 관심과 지원이 필요하다는 이론적 근거를 얻을 수 있다.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structure among Self-Esteem, Ego-Resilience, Parental Intrusiveness, Peer Attachment and school class adjustment in middle school student. So, we analyzed structure among school class adjustment, individual factor, parenting attitude and peer relationship by AMOS program and SPSS. In result, We found that self-esteem and ego-resilience effect on school class adjustment in middle school student directly. And Peer Attachment has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n school class adjustment. Additionally, Parental Intrusiveness mediated Self-esteem, Ego-Resilience to school class adjustment. So, This study suggests that individual factor, parenting attitude and peer relationship are important to middle school class adjustment.

      • KCI등재

        쓰보이 사카에(壺井栄) 작품에 나타난 ‘도한’의 내재된 의미 — 『아침(朝)』과 『벼랑을 치는 파도(岸うつ波)』를 중심으로 —

        지혜 한국일본사상사학회 2022 일본사상 Vol.- No.43

        쓰보이 사카에는 1930년대 후반 작품활동을 시작해서 패전 이후까지 향토애, 모성 등의 키워드로 다수의 작품을 집필한 일본의 대표적 여성작가이다. 본 연구는 쓰보이의 텍스트에 나타난 일제 말기 일본에서 조선으로 건너가는 ‘도한’의 행위에 주목하여 이와 관련된 사회적 의미와 작품에 내재된 의미에 대해서 고찰하고자 하였다. 쓰보이는 1940년 조선을 처음으로 방문한 이후 1940년 작품 『아침』과 1953년 『벼랑을 치는 파도』에 조선을 작품 소재로 사용하였다. 흥미로운 것은 두 작품 모두 ‘도한’이라는 동일한 소재를 사용하면서도 이후에 전개되는 양상은 정반대의 상황으로 이어진다. 또한 각각의 텍스트에 등장하는 두 남편의 경우 모두 일찌감치 ‘도한’을 결정함으로써 당시 식민지 조선으로의 이주를 둘러싼 일본 사회의 보편적인 상황을 드러내고 있다. 본 고에서는 13년의 시차를 두고 발표된 두 작품에 ‘도한’이라는 동일한 소재가 등장하면서 그 결말이 반대 상황으로 펼쳐지는 전개에 주목하여 당시 일본에서의 ‘도한’의 사회적 의미와 함께 텍스트 속 인물들의 행보를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서 두 작품에서 각각의 조선행이 지니는 의미를 살펴보고 쓰보이 사카에의 작품 세계와 어떻게 연계되는지 고찰하였다.

      • KCI등재

        공간 과제 수행 시 20대와 40대의 두정엽과 전두엽에서의 활성화 차이

        지혜,홍용표,이행운,이수열,정순철,You, Ji-Hye,Hong, Yong-Pyo,Lee, Hang-Woon,Lee, Soo-Yeol,Chung, Soon-Cheol 대한의용생체공학회 2006 의공학회지 Vol.27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differences between 20s and 40s in visuospatial performance and brain activation areas using 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fMRI). Eight male college students in their twenties ($21.5{\pm}2.3$ years old) and six male adults in their forties ($45.7{\pm}2.6$ years old) who were graduated from college participated in the study. A visuospatial task was presented while brain images were acquired by a 3T fMRI system. Compared to the 20s the 40s showed lower visuospatial performance. There were more activations observed at the parietal and superior frontal areas at 20s compared to 40s. There were more activations observed at the middle frontal and occipital areas at 40s compared to 20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lowering of visuospatial performance with aging was correlated to the decrease of activation area at the parietal lobe and the change of activation area at the frontal lobe.

      • KCI등재

        일개 의과대학생의 완벽주의 유형에 따른 학업소진과 성취목표지향성의 차이

        지혜 ( Ji Hye Yu ),채수진 ( Su Jin Chae ) 한국보건정보통계학회 2016 보건정보통계학회지 Vol.41 No.1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clusters of perfectionism with cluster analysis and to investigate differences of academic burnout and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mong clusters of medical students.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a total of 221 students comprising 55 premedical course students, 166 medical course students. Data were collected from August 28 to September 9, 2015 by self-administered survey questionnaire. All scales used in this study as followed: Multidimensional Perfectionism Scale (HFMPS), Maslach Burnout Inventory-Student Survey (MBI-SS), 2×2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scale. The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cluster analysis and MANOVA using SPSS version 22.0. Results: Four groups were identified: non-perfectionism, socially-prescribed perfectionism, other-oriented perfectionism, typical perfectionism. The group of socially-prescribed perfectionism is higher than the group of non-perfectionism and typical perfectionism in academic burnout. Also, the group of typical perfectionism which are high in self-oriented perfectionism showed high mastery-approach goal and performance-approach goal. The group of socially-prescribed perfectionism showed high scores in mastery-avoidance goal and performance-avoidance goal. Conclusions: This study found that the group of having high self-oriented perfectionism showed high mastery-approach goal and performance-approach goal orientation whereas socially-prescribed perfectionism showed high mastery-avoidance goal and performance-avoidance goal orientation. This suggests the importance of educational intervention for students to set their own personal standards and strive for achievement in the way of what they want not of what others would probably want them.

      • KCI등재

        유아사 가쓰에(湯浅克衛) 문학에 나타난 재조일본인의 경계와 소통 - 「관광조선」 수록 작품을 중심으로-

        지혜 한국일본어문학회 2020 日本語文學 Vol.86 No.-

        This paper was intended to look at the changing individual perceptions in the times of the colonial period. I wanted to consider the literary works of Tourism Chosun, which had not been fully researched due to the extreme dominance of the Japanese national policy until now. Among them, I noted the works of Japanese writer Yuasa Kasue in an era when the lines of Huang Guk Shinhua and Naeseon Ilche were blatantly revealed. Yuasa is a writer who has a negative assessment that he cooperated in the war, along with the Japanese writer's assessment that he is a lamp of conscience. In this paper, we looked at the works of 『Tourism Chosun』, which were published before and after the Pacific War, which broke out between the two extremes As for the hometown, the privileged Gyeongseong of the Japanese people is not recognized in connection with Chosun. In the three stories about Gyeongseong women and beautiful Gyeongseong, the slogan "One-sided extension of the Japanese colonial rule" covers the individual's alertness by turning into a violent desire based on discrimination against the Chosun language. Extreme elements appear in the evaluation of Yuasa. It can be said that it was made through the choice of taking the path of riding on the nation's war ideology rather than acknowledging his contradictions and trying to truly communicate on the boundaries of the diaspora amid the extreme trend of the Japanese colonial era. This paper can examine the various eyes of individuals existing in the era of extremes by examining the inner boundaries of the author, not ethical evaluation. 본 논문은 전시체제 식민지의 흐름 속에서 개인의 인식이 변화하는 모습을 고찰하고자 지금까지 일제의 국책에 극도로 편승되어 연구가 충분히 이루어지지 못했던 『관광조선』의 문학 작품에 주목하였다. 그 가운데 황국신민화와 내선일체의 노선이 노골적으로 드러나고 총력전이 펼쳐지는 시대에 조선에 발 딛고 살아가는 재조일본인 작가 유아사 가쓰에의 작품을 대상으로 하여 제국주의의 거대 담론 속에서 개인의 주체 확립의 가능성과 한계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유아사는 일본인 작가의 양심의 등불이라는 평가와 함께 전쟁에 협력했다는 부정적 평가가 공존하는 작가이다. 본고에서는 양 극단의 틈새 사이에 나타나는 심리과정을 살펴보고자 전쟁이 발발하기 전후 시점에 『관광조선』에 게재된 작품군을 살펴보았다. 『고향에 대해서』에서는 식민2세의 디아스포라적인 불안정함과 애매함을 ‘고향’의 해석을 통해서 분석하였으며 『경성 여자에 관한 3가지 이야기』와 『아름다운 경성도』에서는 조선과의 소통을 추구하지만 조선어에 대한 차별이 전제된 폭력적인 욕망으로 변질되어 일제의 일방적인 내선일체라는 슬로건이 개인의 경계성을 덮어버리는 모습을 고찰하였다. 유아사의 평가 속에는 이항대립적인 요소가 등장한다. 이는 일제의 총력전이 펼쳐지는 극변하는 시대 흐름 속에서 디아스포라로서의 경계 위에서 자신의 모순을 인정하고 진정한 소통을 시도하기보다 국가의 전쟁 이데올로기에 편승하는 길로 나아가는 선택을 통해서 이루어졌다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은 윤리적인 평가가 아닌 작가의 내면 속 경계를 면밀히 살핌으로써 극단의 시대에 존재한 개인의 모순과 시선의 변화를 검토하고자 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