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HBsAg 음성 및 양성 간질환에서 C형 간염바이러스 항체 양성율

        황이숙 ( Hwang I Sug ),김영관 ( Kim Yeong Gwan ),김효종 ( Kim Hyo Jong ),김병호 ( Kim Byeong Ho ),장영운 ( Jang Yeong Un ),이정일 ( Lee Jeong Il ),장린 ( Jang Lin ) 대한내과학회 1992 대한내과학회지 Vol.42 No.3

        연구배경 : 최근 유전공학적인 진단방법의 발전으로 과거 그 감염원이 확인되지 않았던 비A, 비B형 간염바이러스의 colne과 genome이 확인되었다. Recombinant viral antigen (C100-3)을 이용한 혈중 C형 간염바이러스에 대한 항체검사로 C형간염바이러스는 수혈수 간염 및 산발성 비A, 비B형 간염의 중요한 원인으로 알려져 있으며, 원발성 간암이나 다른 간질환과의 연관성도 보고 되고 있다. 방법 : HBsAg이 음성인 만성 간질환환자에서 anti-HCV양성율을 알아보고, HBsAg이 양성인 만성간질환에서 C형간염바이러스의 동반감염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C형 간염바이러스항체검사(antiHCV)를 Abbott사의 효소면역측정법으로 검사하였다. 결과 : 1) HBsAg이 음성인 환자 3명중 알콜성간질환환자는 10명이었으며 이중 1명(10%)에서 anti-HCV양성이었고, 만성 비A, 비B형 간질환환자는 27명중 11명 (40.7%)에서 양성으로 검출되었다. 2) 117명의 HBsAg양성인 무증상보균자 및 만성간질환환자중 5명 (4.3%)에서 anti-HCV 양성으로 검출되었고, 이중 무증상보균자는 40명중 1명에서 양성으로 2.5%, 만성활동성간염환자에서는 검출된 환자는 없었으며, 간경변증환자에서는 23명중 1명에서 양성으로 4.3%, 원발성간암환자에서는 33명중 11명에서 양성으로 9%의 양성율을 보였다. 그러나 병의 진행과 anti-HCV 양성율과는 의미있는 상관관계를 찾을 수 없었다. 결론 : 이상의 결과로 우리나라에서도 C형 간염바이러스는 비A, 비B형 간질환을 유발하는 주요원인으로 생각되었으며, 아울러 C형간염바이러스의 동반감염이 HBsAg 양성 만성간질환의 진행에 영향을 주지는 않을 것으로 생각되었으나, 추가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Background : A recombinant immunoscreening approach was used to clone and identify the genome of the previously uncharacterized non-A, non-B (NANB) virus. A recombinant viral antigen (C100-3) was used to develop a capture assay for circulating antibody. Data obtained using this assay indicate that this agent, termed hepatitis C virus (HCV) is known to be associated with the development of hepatocellular carcinoma and possibly, other liver diseases. Methods : To evaluate the prevalence of anti-HCV in patient with HBsAg negative and HBsAg positive chronic liver diseases, we tested 189 serum samples using the Abbott enzyme immunoassay method. Besides, we analysed the role of HCV superinfection in the progression of HBsAg positive chronic liver diseases. Results : 1) In 37 patients with HBsAg neative chronic liver diseases, anti-HCV was detected in 1 of 10 alcoholic liver diseases (10%), 11 of 27 chronic NANB liver diseases (40.7%). 2) In 117 patients with HBsAg positive asymptomatic carriers and chronic liver diseases, only 5 cases (4.3%) were positive for anti-HCV. That is, anti-HCV was detected in 1 of 40 asymptomatic carriers (2.5%), none of 21 chronic active hepatitis, 1 of 23 liver cirrhosis (4.3%) and 3 of 33 hepatocellular carcinoma (9.0%). But the prevalence rate of anti-HCV was not significatly different between each chronic liver diseases. Conclusions: HCV may also be one of the most important causative agents of chronic NANB liver diseases in Korea. But the rate of the simultaneous infection of HCV in patients with HBsAg positive chronic liver disease may be very low in Korea and HCV superinfection may not be able to modify the natural course of HBsAg positive chronic liver diseas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