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R-22 대체용 혼합냉매의 열역학적 성능에 대한 실험연구

        황의필,김창년,박영무,Hwang, E.P.,Kim, C.N.,Park, Y.M. 대한설비공학회 1997 설비공학 논문집 Vol.9 No.1

        R-410a and R-407c witch have the best potential among the substances being considered as R-22 alternatives were tested as "drop in" refrigerants against a set R-22 baseline tests for comparison. The performance evaluations were carried out in a psychrometric calorimeter test facility using the residential split-type air conditioner under the ARI rating conditions. Other than the use of different lubricant and a hand-operated expansion valve, one of the commercial systems was selected for the experiment. Performance characteristics were measured; compressor power, capacity, VCR, mass flow rate and COP. The tests showed that R-407c can be directly applied to the existing refrigeration system because of its similar vapor pressure and other thermopysical properties with those of R-22. However, it required change to the volume flow rate of compressor in order to achieve the similar performance with R-22 because of its relatively small VCR and capacity. Meanwhile, R-410a has too high a vapor pressure to be applied to the existing system and this feature results in relatively low COP of the system compared to that of R-22. But this could be improved by changing compressor design considering R-410a's relatively high VCR and capacity compared to those of R-22.

      • KCI등재후보

        칼 구스타프 융의 작품에 드러난 영혼의 흔적

        황의필(Hwang, Eui-Pil) 인천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6 인문학연구 Vol.26 No.-

        This paper deals with the problem of traces of psychoanalysis and the use of the term ‘soul’ in Carl Gustav Jung"s work. The research direction here is to assess the conditions of the human spirit or soul inherent in art. All research methods and the focus is to analyze the appearance of the "soul" in Carl Jung"s work. In addition, this research hopes to find an area that contains the soul of the spirit in any form. Accordingly, the spirit world was considered to be a devised concept and causes a problem when classifying the existence of a human ‘soul’. The results revealed how the human mind is left to symbolize how a soul. Chapter 1, deals with the discovery of the human soul, focuses on Carl Jung"s work in the spirit world and how this impacts and causes problems for the human ‘soul’. In effect, the soul has three functions; first, it captures a sense of emptiness from the unknown. Second, in the presence of the outside sight, we can understand the soul. Third, the identity of the opposite reason, perception, awareness or if we do or do not accept the presence of God(神). Fourth, the pursuit of infinity away from the logic of differentiation. As a result, concurrency reveals the reciprocity of an inherent soul. Chapter 2, Life and death in the world of concurrency dealt with life and death and its meaning for the soul. The balance between life and death can be understood in the following way. First, it is inherent in everything good "Yin and Yang (兩儀)". Life and death reveal the implicit concurrency balance as relativization. The intention of this balance is the result of man"s inherent loneliness. namely, life and death, the nature of men and women may feel the circulation principle of harmony with concurrency. Chapter 3, suggests that a soul contains traces of dreams as a secret dream stealthily hidden in a place only for humans. The phenomenon of a dream reveals acts to us as a symbol to read the human mind. In other words, dreams are going to switch consciousness which is transferred to the unconscious and it is to be discovered that the unconscious produces a mutation of consciousness. After all, the unconscious is said to take on the role of surrogate dream, to erase the traces of humans as reiteration.

      • KCI등재

        무신도(巫神圖)에 나타난 일원론(一元論)의 일화(一畵)과 일체법(一切法) 연구(硏究)

        황의필 ( Eui Pil Hwang ) 한국동양예술학회 2012 동양예술 Vol.19 No.-

        본 논문에서는 巫神圖에 드러난 一元의 구조를 무신에서 찾고 있다. 아울러 무신도에 나타난 일원의 개념을 一畵과 一切法의 입장에서 추적하고 있다. 이에 一元論에 나타나는 일원의 구조가 일획과 일체법의 개념에 주어진다는 점을 밝히고 있다. 그 결과 무신도에는 일원의 구조로서 무신 사상이 부여되면서 상생의 이치를 이끌어 내고 있다. 이에 본 논고에서는 무신도에 드러난 일획과 일체법의 의미를 일원론의 구조로서 접목하고 있다. 여기에는 무속의 근간으로서 시간과 공간이 不二의 관계를 드러내고 있다. 즉, 두 다른 현상이서로 교환 작용을 불러일으키면서 순간의 반복 현상으로 순환의 원리를 이루어내는 논리이다. 이를테면 巫神과 一의 논리에 입각해서 일원론을 다루고 있다. 그런 즉, 여기에서는 일원의 세계가 無法과 有法으로서 일획을 추구한다는 점을 찾아내고 있다. 말하자면 一의 개념이 연좌 관계로서 상호 교환을 이루는 내용이다. 이어서 일체법에서는 無窮의 현상을 다루고 있다. 이로써 만물이 무위와 유위로서 공존의 융섭을 추구하고 있음을 분석하고 있다. 결국 무신도에 드러난 일원론은 일원이라는 구조를 상생의 일체로서 이끌어 내고 있는 셈이다. In this paper, Paintings of Shaman Gods exposed to the monistic the structure of the Shaman Gods are looking at. Accordingly, Paintings of Shaman Gods appeared in the nothing the concept of one-stroke and sabba-dhamma is from the standpoint of tracking. In addition, the monism that appear in the monistic the structure of the nothing and one-stroke(一畵) Given that the concept of states. As a result, the coexistence of Mutual Vivification of the Shaman Gods idea that form the structure of states. Accordingly, Paintings of Shaman Gods nothing on the concept of aligning the monistic the relationship between said. Chapter 1, Paintings of Shaman Gods the nothing and Gods meaning of the monistic structure and were combined. These include human and divine relationships in harmony with each other. Chapter 2 the theory of painting logic of to the monistic dealt with. Accordingly, one-stroke and sabba-dhamma was used as a research tool. This nothingness and somethingness as a monistic the world one-stroke said that you are seeking. Eventually, Paintings of Shaman Gods shown in the monistic consists of one structure was a win-win.

      • KCI등재

        일반논문 : 체상(體相, svabhava-Laksana)으로서의 현료문(顯了門)과 은밀문(隱密門)

        황의필 ( Eui Pil Hwang ) 대구가톨릭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1 인문과학연구 Vol.0 No.16

        The present paper is dawned with svabhava-laksana(體相) and the Paintings of Shaman Gods relationships should have been boiled. The present paper hereupon explains the relationship of the svabhava-laksana and the Paintings of Shaman Gods from the ``Treatise about two klesa``(二障義). Correlation Chengtu treats together. Encyclopaedia Britannica of circle Wonhyo budhahood is immanent. This does the duty which understands Paintings of Shaman Gods. Consequently Encyclopaedia Britannica becomes the character of Paintings of Shaman Gods. Wonhyo says svabhava-laksana early from ``Treatise about two klesa``. The svabhava-laksana is used the reveal section(顯了門) and secret section(隱密門) with. The Paintings of Shaman Gods shows a harmony finally. Namely They are the budhahood and the shamanist custom interactions. So the Paintings of Shaman Gods symbolizes a cosmology. With svabhavalaksana will be able to harmonize because of the reason. Will be able to.

      • KCI등재후보

        상여 꼭두의 예술성과 ‘치단(治斷)’의 계위(階位) 분석

        황의필(Hwang, Eui-Pil) 숭실대학교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2015 한국문학과 예술 Vol.15 No.-

        본 논고는 치단(治斷)의 계위(階位)에서 이장(二障)의 차별(差別)을 예술철학의 관점으로 풀어내려는 연구이다. 이에 원효(元曉)의 『이장의(二障義)』, 『금강삼매경론(金剛三昧經論)』, 『대승기신론소 · 별기(大乘起信論 疏· 別記)』를 바탕으로 치단의 구조를 분석하고 있다. 그 일환으로 본문 2장의 범부(凡夫)의 치단에서는 무상(无常)으로의 상(常)을 생멸(生滅)에 입각하여 접근하고 있다. 3장의 이승의 치단에서는 도(道)를 인집과 법집으로 파악하고 있다. 4장의 보살(菩薩)의 치단에서는 끊음의 이치를 파악하고 있다. 치단의 계위는 상여 꼭두의 예술성에서 확인이 가능하다. 이를테면 본 논고에서 다룬 <극락조를 탄 남자>, <극락조를 탄 동자>, <광대>, <꽃을 든 여자아이>, <꽃을 든 남자>, <봉황과 작은 새>, <봉황과 꽃>, <소나무 모습을 한 봉황>에서 치단의 의미가 드러났음을 확인하고 있다. 이로써 치단의 계위는 이장(二障)으로서 일원(一元)을 추구하고 있다는 점이 파악 가능하다. 동시에 한국예술의 정신문화가 어떠한 유형과 흐름으로서 융섭을 이루는지 상여 꼭두를 통해 명확히 찾을 수 있게 된다. 이른바 차별(差別)의 정신세계를 드러내고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연구 목적은 상여 꼭두에 담긴 치단을 계위로 탐색함으로써, 이장의 구조를 예술철학으로 이끌어내려는데 있다. 연구 방법 및 절차는 치단의 계위를 설정한 후, 이장의 핵심인 범부, 이승, 보살의 틀을 시각 자료와 서로 연계하고 있다. 이에 상여 꼭두를 분석 대상으로 설정하여 ‘치단’의 사상이나 정신성, 그리고 현상구조에 따른 접목 재료로 동원한다. In this paper the Theory of enlightenment says research from the perspective of the philosophy of art. Accordingly Wonhyo"s "Treatise about two klesa"(二障義), "A Treatise on the Sutra of Diamond Samadhi"(金剛三昧經論), "Mahayana sutra"(大乘起信論) based on analysis of the structure of the Theory of enlightenment. As part of that, In Chapter 2 b?la-p?thag-jana(凡夫) of Theory of enlightenment based approach utp?da-bha?ga(生滅) nitya(常) to anicca(无常). In Chapter 3 Sariputra(二乘) Theory of enlightenment Dao atma-graha(人執) and dharma-graha(法執) are identified. In chapter 4 of the Bodhisattva(菩薩) Theory of enlightenment grasp the sense of the breaking. These soon Theory of enlightenment can be identified in the visual arts. For example, the Joseon Dynasty "Man Riding Two Birds of Paradise", "Child Riding Bird of Paradise", "Phoenix with Little Bird", "Phoenix Entongled with Flowers", "Phoenix Entangled with Pine Tree", "Musician Playing Drum"(廣大), "Girl Holding Peony", "Man Holding Flowers" was a Theory of enlightenment of means. The end of the bodhisattva chidan causes avidy? in the mind of the specter of kle?a(defilement). The earnest desire of the people(human) trying to escape from this desire or hope to find soon. As a result, the hierarchy of Theory of enlightenment were able to identify Treatise about two klesa as monistic that you want to pursue. At the same time understand that reveal the spirit of the world discrimination.

      • KCI등재후보

        한국 현대미술과 분석심리학으로서의 동시성

        황의필(Hwang, Eui-Pil) 인천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7 인문학연구 Vol.27 No.-

        이 논문은 분석심리학과 한국 현대미술의 연계를 바탕으로 동시성의 문제를 파악하고 있다. 연구 방식은 본 논제와 직접 관련한 작품과 칼 구스타프 융 Carl Gustav Jung(1875-1961)의 분석심리학 논법을 적용하고 있다. 아울러 영혼과 정신에 따른 동시성의 구조를 작품해명의 중심으로 삼는다. 이 연구의 논점은 한국 현대 작가의 정신세계를 읽어내는데 있다. 그 일환으로 Ⅱ장에서는 분석심리학의 동시성 구조를 미술 작품에서 해명하고 있다. 여기에는 예견과 우연의 일치로서 시 · 공의 동시성을 강조하고 있다. 이에 따라 Ⅲ장과 Ⅳ장은 분석심리학로서의 동시성과 관련한 한국 현대미술의 표본 작품을 분석하고 있다. Ⅲ장에서는 시간성과 공간성의 동시작용으로 정신 체험, 영혼, 예견, 쾌락, 원형을 결부한다. 이에 천경자는 정신 체험에 따른 동시 작용으로 인간과 자연을 받아들인다. 윤형근은 시간의 점철을 단색화로 표현하는데, 이른바 시간성을 환원의 섭리로 이끈다. 이우환은 신체로서의 양의성이 매개항의 동시성이라는 상호관계성을 밝힌다. Ⅳ장에서는 필획의 운행으로서 동시 작용이 예견, 무의식, 마음, 기, 상징성을 결부한다. 이에 권영우는 필획의 세계를 상호 작용으로 이끌어낸다. 이응노는 말과 글의 교합과 무의식의 상징화를 나타낸다. 서세옥은 언어와 형상의 상호 관계를 동시성에 따른 융화의 필치로 드러낸다. This paper has identified the problem of synchronicity being based on analytical psychology and Korean contemporary art. The research method makes use of Carl Gustav Jung"s analytical psychology. In addition, this paper seeks to better define a perceived ‘synchronicity structure’ of the soul and spirit that the work contains at its core. The point of this study is to illuminate us to the thoughts of Korean contemporary artists. The simultaneous structure of analytical psychology is explained in works of art. It was only through chance and prediction that artists were able to emphasize the synchronicity of time and space. Therefore, we shall analyze the concurrence of analytical psychology and the sample works of Korean contemporary art. Continuously, mental experiences and simultaneous actions in time along with spatiality, soul, predictable, as well as pleasure have been associated with an archetype. Chun, Kyung-Ja accepts human nature and the simultaneous action of the spiritual experience. Yun, Hyong-keun represents the principle of the monochromatic actor in time. In other words, the time to understand the providence of reduction. Lee, U-Fan is quite ambivalent as the corpus says that it is the synchronicity of mediation which results in the work being profound. Next, there is an association with strokes simultaneously acting as a predictable, unconsciousness, heart, chi and through symbolism. Accordingly, Kwon, Young-woo shall create a world of interaction between strokes of brilliance. Lee, Ung-no represents the action, and the unconscious symbolism of language and articles. Suh, Se-ok illustrates the interrelationship of language and form in harmony which strokes accordingly to harmonize the concurrency.

      • KCI등재후보

        성정(性情)과 인식의 섭리에 교응한 동양미술

        황의필(Hwang, Eui-Pil) 숙명여자대학교 숙명인문학연구소 2021 횡단인문학 Vol.8 No.1

        조선 성리학에 스며든 ‘성정(性情)’은 인간 감정을 대변하는 심리 요소이다. 인간 감정은 성정과 인식 섭리의 교응을 밝히는 밑거름이다. 이러한 성정으로서의 인식은 조선 사회뿐만이 아니라 오늘날에도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심리 개념이다. 이 논문에서는 조선 성리학에 담긴 성정이 인식 문제와 교응하는 인간 감정을 다룬다. 아울러 용수와 노장사상과도 접목한다. 이에 성정과 인식 관계에 따른 근본을 미술품의화맥과 연결 짓는 연구이다. 말하자면 성정에서 정의 발에는 기가 따르고 기의 감(感)에는 이가 타는 논리이다. 즉 이와 기는 겸비하므로 성과 정이 포함되는 ‘겸리기통성정(兼 理氣統性情)’의 마음이 스민다. 이른바 마음은 성과 정을 통회하는 근거이다. 곧 적연부동(寂然不動) 하면 성으로써 심체를 이룬다. 그런 까닭에 감이수통(感而遂通) 하면 정으로 말미암아 심의 용(用)을 남긴다. 결국 성정과 인식 문제는 인간 감정을 대변하는 마음의 작용에 따른다. 곧 성정의 마음에는 기발과 미발이 통회 작용으로써 심체와 심용의 관계를 이룬다. The ‘Natual Emotion’(性情) permeated by the Neo-Confucianism of Chosun period is a psychological element that represents human emotions. Human emotions are the basis for the interaction between ‘Natural Emotion’ and the ‘Uncertainty’. This ‘Understanding’ as ‘Natural Emotion’ is not only a Korean society but also a psychological concept that has a profound impact on today. In this paper, Natural Emotion in the Neo-Confucianism of Joseon period deals with human emotions in interaction with the problem of Understanding. Therefore, it is a study that connects the root of ‘Nature’ and the cognitive relationship with the flow of art works. In other words, the rise of Sentiments in Nature follows the ‘Atmosheric Force of Nature’(氣). Therefore, the logic of the ‘Atmospheric Force of Nature’ reflective respance is the ‘Theory of the Basic Principles’(理). The that ‘Which Includes Both Principle and Material Force and Combines and Governs the Nature and the Feelings’(兼理氣統性情) of the the mind and the spirit of the spirit and the spirit of nature. The so-called ‘Mind’ is the basis for continuing ‘Nature’ and ‘Emotion’. Soon, ‘Contemplative Motionless’(寂然不動) becomes nature the ‘Substance of Heart- Mind’(心體) and becomes the ‘Substance of Heart-Mind’. For this reason, ‘Enlightenment through Insulation’(感而遂通) becomes ‘Emotion’ and remains ‘Influence of Suchness’(心用). The problem of ‘Natural Emotion’ and awareness is based on the psychology that represents human emotions. Soon, in the mind of Natural Emotion, ‘Already Expressed One’s Feels’ and ‘Un-Awakened Mind’ form the relationship between ‘Influence of Suchness’.

      • KCI등재

        선화(禪畵)의 심체(心體)와 화(和)

        황의필(Hwang, Eui-Pil) 인천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8 인문학연구 Vol.29 No.-

        이 연구는 선(禪)에 나타난 심체(心體)와 ‘화(和)’의 논리를 분석함으로써 선화(禪畵)의 근원을 도모하려는데 있다. 이에 따라 심체 작용의 구조가 ‘화’의 섭리를 어떻게 담아내는지 예술 철학 입장에서 밝힌다. 그 일환으로 연구 방법에서는 선종(禪宗) 사상과 더불어 대승불교(大乘佛敎)의 문헌을 바탕으로 무심(無心)의 섭리에 초점을 맞춘다. 그런 연후에 마음(心)의 작용이 선정(禪定)의 불이(不二)로서 선화에 스며든 ‘화’의 궁극을 밝혀낸다. 선종이 바탕인 선화는 마음의 작용으로서 선정을 추구한다. 이에따라 선화에 담긴 심체(心體) 구조가 ‘화’의 논리로 전개되는 양상을 살핀다. 그 일환으로 심체 작용에서는 선정에 따른 마음의 작용이 드러난다. 이를테면 색(色)에서 멀어짐으로써 ‘심진여(心眞如)’이자 ‘심해탈(心解脫)’을 추구하는 ‘무일물(無一物)’이 흐른다. 곧 무심이 따르는 무생(無生)과 무위(無爲)의 허(虛)를 강조한다. 이에 융섭으로서 ‘화’는 정혜(定慧)의 섭리를 따른다. 곧 ‘외선내정(外禪內定)’으로서의 체용(體用)을 담는다. 말하자면 반야삼매(般若三昧)이자 자재해탈(自在解脫)조차 넘어서는 초연(超然)함을 요구한다. 곧 원융(圓融)으로서 속(俗)과 진(眞)의 상호성이다. 이로써 선화는 돈오견성(頓悟見性)으로서 청정심(淸淨心)이 근본인 무소득(無所得)을 받아들인다. 결국 무진(無盡)으로서의 우주만물이 융화로 이루어질때, 심체로서 ‘화’의 섭리를 화평하게 이룰 수 있다. This study seeks to establish the origin of Dhyana-style painting by analyzing the logic of the heart-mind and harmony of Dhyana-style. Thus, from the standpoint of art philosophy, the structure of heart-minded actions reveals how to capture the providence of harmony. As part of this research method, we focus on the providence of No-Mind based on literature of Zen Buddhism and Mahna Buddhism. After that, actions of the mind are considered the non-duality of Dhyana-style (jhāna), the harmonization of the Dhya painting. Dhyana-style painting on which Zen Buddhism is based pursues Dhyana-style as an action of the mind. Thus, we have examined the structure of the heart-mind in Dhyana-style painting, which has developed into the logic of harmony. Related to this, through actions of the mind according to the Dhyana-style, jhāna is revealed in actions of the heart-mind. Moving away from the color rūpa, there flows a nothingness of the mind-world of such freedom of the mind. It emphasizes the Emptiness of Anutpattika and Non-Doing then followed by the state of No-Mind. At a point of convergence, harmony follows the providence of Jung Hye Concentration and Wisdom. In other words, it contains the complete Body of Things and its Practical Operation as Outward doing is Sun, inward becoming is JUNG. In other words, it requires the aloofness beyond Samadhi (serenity) as ascribed to through Prajna (transcendent wisdom) and unrestricted deliverance. It is the reciprocity of the Ultimate Truth and Conventional Truth as through a Perfect Interfusion. As a result, Dhyana-style painting is the Sudden Enlightenment and True Nature, and a state of having a Pure-Heart is possible. In the end, when all creation is limitless and everything is made of harmonization, it can come to be known as a heart-mind harmony and peace can be achieved.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