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컬러에지의 벡터적 결합을 이용한 e-카탈로그 영상 검색

        황의선,박상근,전준철,Hwang, Yei-Seon,Park, Sang-Gun,Chun, Jun-Chul 한국정보처리학회 2002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Vol.9 No.5

        영상의 에지정보를 이용한 내용기반 영상 검색 방법은 현재 MPEG-7(Moving Picture Experts Group) 에서 제안된 에지 서술자(edge descriptor)가 대표적인 방법이며, 이때 사용된 에지의 정보는 영상의 명암도에 따른 에지히스토그램을 이용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새로운 컬러 에지 추출 방법을 제시하고, 제안된 방법에 의해 컬러 에지히스토그램을 특징 값으로 하는 내용기반 영상검색 방법을 제시하였다. 아울러 제안된 방법에 기반하여 인터넷 쇼핑몰에서 사용되는 e-카탈로그 상품 영상 검색에 적용하였다. 성능평가를 위하여 기존 MPEG-7에서 제시된 에지히스토그램에 의한 영상검색 방법과 비교하여 보았으며 실험결과 제안된 방법이 검색에 있어서 우수함을 입증할 수 있었다. 컬러에지의 추출은 컬러 영상의 R,G,B 채널의 각 성분의 벡터적 결합방법과 에지 맵의 벡터 노름(norm) 특성화를 통하여 이루어진다. 결과적으로 내용기반 영상 검색은 생성된 최종 에지모델이 갖는 에지의 방향성을 이용한 컬러 에지히스토그램을 통하여 수행된다. The edge descriptor proposed by MPEG-7 standard is a representative approach for the contents-based image retrieval using the edge information. In the edge descriptor, the edge information is the edge histogram derived from a gray-level value image. This paper proposes a new method which extracts color edge information from color images and a new approach for the contents-based image retrieval based on the color edge histogram. The poposed method and technique are applied to image retrieval of the e-catalogue. For the evaluation, the results of image retrieval using the proposed approach are compared with those of image retrieval using the edge descriptor by MPEG-7 and the statistics shows the efficiency of the proposed method. The proposed color edge model is made by combining the R,G,B channel components vectorially and by characterizing the vector norm of the edge map. The color edge histogram using the direction of the color edge model is subsequently used for the contents-based image retrieval.

      • A Feasibility Study on Concentrating Salt Waste by Ion-exchange Membrane Process

        황의선,최재환 한국화학공학회 2007 화학공학의이론과응용 Vol.10 No.1

        In order to use the ammonium sulfate in RO retentate as a fertilizer, a feasibility of electrodialysis(ED) process was studied. Electrodialysis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using pilot-scale ED unit (TS-2- 10, Tokuyama Soda Co.) at various concentration of ammonium sulfate (15-35%) and current densities (40-100 mA/cm2). It was observed that the current efficiency decreased slightly from 97.2 to 94.1% with the increasing ammonium sulfate concentration of the concentrate compartment. But the average current efficiency was above 95%, which indicates ED process is feasible to concentrate ammonium sulfate over 35%. It was found that the current efficiency was not changed with the current densities tested in this study. Furthermore, water transport index decreased with theincreasing current densities, which lead to increase the maximum concentrate concentration. It was possible to concentrate ammonium sulfate up to 42.6% at the current density of 100 mA/cm2. The electric power consumption increased linearly from 0.22 to 0.47 kwh/kg with the increasing current densities in the rage of 40-100 mA/cm2.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can suggest that ED process can be employed successfully in concentrating RO retentate.

      • 염기성 용액에서 바이폴라막의 전기화학적 특성변화

        황의선,최재환 한국화학공학회 2007 화학공학의이론과응용 Vol.10 No.2

        바이폴라막을 이용한 전기투석 공정은 염으로부터 산과 염기의 제조, 유기산의 분리 및 정제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면서 최근 활발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 바이폴라막을 이용한 공정이 실제로 적용되기 위해서는 염기용액에서의 화학적 안정성이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상업용 바이폴라막(Neosepta BP-1, Tokuyama Co.)을 여러 온도 조건(20, 30, 40, 50℃)에서 고농도의 NaOH 용액(2.5, 5.0 M)에 담가둔 후 막의 화학적 안정성 변화를 연구하였다. 염기 처리된 바이폴라막을 FTIR분석, 물 분해 효율, 전류-전압 곡선 등을 측정함으로써 염기성 용액에서 막의 화학적 구조 변화와 그에 따른 전기화학적 특성변화를 연구하였다. FTIR 측정결과 5.0 M의 NaOH 용액에서는 온도가 40℃ 이상에서 바이폴라막 음이온교환층의 4급 암모늄 작용기가 Hoffman 반응에 의해 분해되기 시작했으며, 2.5 M의 NaOH 용액에서는 50℃ 이상에서 화학적 구조변화가 나타났다. 또한 염기 처리된 막에 대한 물 분해 효율 측정 결과 화학적 구조변화가 일어난 막에서 효율이 감소하였는데 이러한 원인은 이온교환작용기의 분해로 음이온교환층에서의 Donnan 배제가 감소했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된다. 전류-전압 곡선 측정에서도 화학적 구조변화가 일어난 막에서 전기저항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어 FTIR 및 물분해 효율 결과와 비슷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바이폴라막 전기투석 공정을 이용하여 고농도의 산과 염기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염기에 안정성을 갖는 음이온교환층 제조기술이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

        계통연계형 태양광 인버터의 새로운 최대 전력점 추종과 태양전지의 전류리플 감소에 관한 연구

        황의선,강문성,양오,Hwang, Uiseon,Kang, Moonsung,Yang, Oh 한국정보통신학회 2013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17 No.5

        태양광 인버터는 항상 태양전지 어레이의 최대 전력을 추종하며 동작해야 한다. 또한 태양광 인버터는 폭넓은 태양전지의 최대 전력점 전압과 관계없이 최대 전력점을 추종해야 한다. 태양전지의 전류리플이 발생한다면 최대 전력점 추종 기능이 저하되고 일사량 변동이나 최대 전력점 변동 시 정상적으로 추종하기 어려워진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고효율의 새로운 최대 전력점 추종 알고리즘과 태양전지의 전류리플 감소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4KW급 계통연계형 태양광 인버터에 적용하여 실험한 결과 최대 전력점 추종 효율이 99.97%, 인버터 출력 효율은 97.5%, 인버터 전류의 고조파 총 왜곡률은 1.05%로 우수한 성능을 보였다. 또한 0.5초 동안 일사량을 100% -> 10%, 10% -> 100%로 급격히 변동하였을 때에도 안정된 최대 전력점 추종이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Photovoltaic inverters should always track the maximum power of solar cell arrays in operation. Also, they should be irrespective of the maximum power point voltage of a wide range of solar cells in tracking the maximum power point. If the current ripple of solar cells occurs, the function of maximum power point tracking drops, and normal tracking is difficult when solar radiation or the maximum power point changes. To solve this problem, this paper proposed a new maximum power point tracking algorithm with high efficiency and an algorithm to reduce the current ripple of solar cells. According to the results from the test on 4KW grid-connected PV inverter, the efficiency of maximum power point tracking and inverter output and the total harmonic distortion of inverter output current showed 99.97%, 97.5% and 1.05% respectively. So, the inverter showed excellent performance, and made possible stable maximum power point tracking operation when the solar radiation rapidly changed from 100% to 10% and from 10% to 100% for 0.5 seconds.

      • 소아 Facial bone 30 CT 검사에서 기존의 spiral mode와 wide coverage volume axial mode의 비교

        황의선(Eui sun Hwang),윤수정(Soo jung Yoon),박순규(Soon kyoo Park),임재식(Jea sik Lim) 대한CT영상기술학회 2016 대한CT영상기술학회지 Vol.18 No.2

        목적 : 소아 사두증 환자의 facial bone 30 CT 검사에 있어서 넓은 detector를 이용한 wide coverage volume axial mode의 검사 방법을 기존의 spiral mode 검사 방법과 비교하여 그 유용성을 평가 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본원에 내원 하여 사두증의 진단을 받기 위해 하게 되는 소아 facial bone 30 CT검사에서 기존의 검사 방법인 spiral mode와 새로운 기법인 wide coverage를 이용한 volume axial mode의 비교를 위해 CT 장비는 기존의 소아 facial bone 30 CT검사를 주로 하는 definition flash(Siemens) 장비와 volume axial mode가 되는 revolution CT(GE) 장비를 사용하였다. 기존의 소아 facial bone 30 검사 시 사용하는 mA와 kvp는 그대로 유지 하면서 소아 facial 팬텀을 이용하여 각 mode의 scan time, CTDIVOL, DLP를 각 장비에서 제공하는 값을 통해 비교하고 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VRT image를 비교 평가하였다. 또한 bone image quality, brain image quality 평가를 위해 SD값과 CT#, bone profile을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화질 평가를 위해서는 ACR 팬텀을 이용하여 linearity, uniformity, low and high contrast resolution을 측정하여 각 mode에서의 화질을 비교하여 volume axial mode의 유용성을 평가하였다. 결과 : 소아 사두증 환자의 평균 scan range인 16cm을 검사할 경우 기존의 spiral mode는 5.8sec가 소요되었다. Volume axial mode의 경우 0.28sec로 기존의 검사 방법에 비해 scan time이 95.2% 감소하였다 CTDIVOL은 2.6% 감소하였다. DLP는 기존의 검사 방법에 비해 15% 감소하였다. VRT image는 기존의 image와 차이가 없었으며, bone과 brain image으| 평가에서도 차이가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ACR 팬텀을 이용한 화질 평가에서는 high contrast resolution항목에서 volume axial mode에서 높게 평가 되었으며 나머지 linearity, uniformity, low contrast resolution에서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측정되었다. 결론 : volume axial mode을 사용할 경우 기존의 검사 방법인 spiral mode와 비교하여 image quality의 저하 없이 적은 선량과 빠른 scan time으로 검사가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0.28sec라는 빠른 검사 시간은 움직임이 있는 소아의 검사에 있어서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것으로 사료된다. 특히 sedation이 불가능한 소아 환자의 경우 wide coverage를 이용한 vol axial mode는 sedation 없이 검사를 가능하게 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검사 방법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 To compare wide coverage volume axial mode test methods utilizing wide detector in the pediatric plagiocephaly patient s facial bone 3D CT scan with the existing spiral mode test methods and to evaluate its usefulness Materials and Methods : In order to compare the existing spiral mode test methods with the new technique of volume axial mode test methods utilizing wide coverage in the pediatric plagiocephaly patient s facial bone 3D CT scan in this clinic, definition flash (Siemens) equipment which was mainly used for existing pediatric facial bone 3D CT scan, and revolution CT (GE) equipment which can utilize volume axial mode were used in the study. Using pediatric facial Phantom, scan time, CTDIVOL and DLP were compared by the value provided by each equipment, and VRT image was compared ande valuated by a 3D program. In addition, to evaluate image quality of bone and brain, SD values, CT#, and bone profile were measured and analyzed. In order to evaluate the image quality, linearity, uniformity, low and high contrast resolution were measured by using ACR phantom and the image quality in each mode were compared to evaluated the usefulness of volume axial mode. Result : When examining the average scan range of 16cm of pediatric plagiocephaly patients, the conventional spiral mode took 5.8sec. In case of Volume axial mode the scan time was 0.28sec which was 95.2% shorter than the conventional inspection method. CTDIVOL was decreased by 2.6%. DLP was decreased by 15%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test method. VRT image showed no difference with the existing image, and it was analyzed that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assessment of bone and brain image. In the quality analysis using the ACR phantom, volume axial mode showed high performance in high contrast resolution, but no differences were found in linearity, uniformity, and low contrast resolution. Conclusion : It was proved that when utilizing volume axial mode, the test can be performed with lower dose and shorter scan time without the degradation of image quality compared to the existing methods of spiral mode. The shorter scan time of 0.28sec is thought to be very useful in the examination of the children constantly moving. In particular, in case of the children who sedation cannot be applied, volume axial mode utilizing wide coverage is considered to be a very useful test method to enable the test without sed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