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직장인의 스트레스 수준, 스트레스 취약성이 심박변이도에 미치는 영향

        이종국,서희영,전선영,박선규,방주현,황용범,임경빈 한국정신신체의학회 2022 정신신체의학 Vol.30 No.1

        Objectives: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 of office workers' stress level and stress vulnerability on heart rate variability (HRV), confirm the significance of objective stress indicators obtained through subjective stress and heart rate variability devices, and examine their effectiveness as an integrated stress measurement tool in community mental health projects. Methods:From June to July in 2020, 929 workers participated in the stress management and mental health promotion project carried out by K hospital, and their recorded database was used for study analysis with their agreements.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find out the effects of general stress level, and stress vulnerability on heart rate variability. Results:All general characteristics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SDNN (ln), RMSSD (ln), LF (ln), and HF (ln), but work experience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RMSSD (ln). Stress level and stress vulnerability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heart rate variability, but stress perception, a sub-factor of stress level,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RMSSD (ln) (β=0.118, p=0.023). Conclusions:In this study, stress perception, a sub-factor of stress level, was found to be a factor affecting RMSSD (ln). This indicates an association with the activity of parasympathetic nerves in stressful situations, and more follow-up studies are needed to use it as a direct indicator of chronic stress and integrated stress in the community mental health field. 연구목적이 연구는 직장인의 스트레스 수준과 스트레스 취약성이 심박변이도(Heart rate Variability, HRV)에 미치는영향을 파악하여 주관적인 스트레스와 심박변이도 기기를 통해 얻어진 객관적 스트레스 지표의 유의성을 확인하고 지역사회 정신건강사업에서 통합적 스트레스 측정도구로서의 효과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방 법2020년 6월부터 동년 7월까지 K병원에서 수행한 직장인의 스트레스 관리 및 정신건강증진 사업에 참여하고연구에 동의한 대상자 929명의 기록 데이터베이스를 분석하였다. 일반적 특성과 스트레스 수준 및 스트레스 취약성이 심박변이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중선형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 과일반적 특성 모두 SDNN (ln), RMSSD (ln), LF (ln), HF (ln)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주는 요소로 나타났지만근무경력은 RMSSD (ln)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스트레스 수준 및 스트레스 취약성은 심박변이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지만 스트레스 수준의 하위 요인인 스트레스 지각이 RMSSD (ln) 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β=0.118, p=0.023). 결 론본 연구에서 스트레스 수준의 하위요인인 스트레스 지각이 RMSSD (ln)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는 스트레스 상황에서 나타나는 부교감신경의 활성과의 관련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지역사회 정신건강현장에서 만성 스트레스 및 통합적 스트레스의 직접적인 지표로 평가하기에는 더 많은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