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지역대학의 지역내총생산 유발효과 분석: 지역산업연관표를 이용한 상지대학교 사례 연구

        황신준 ( Shin-joon Hwang ) 한국질서경제학회 2015 질서경제저널 Vol.18 No.1

        본 논문은 지역에 소재한 대학의 지역경제 파급효과를 총산출, GRDP, 고용 등을 중심으로 추정 분석하였다. 국내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승수효과 분석은 1부문 모형이거나 부분균형 접근으로 현실적합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다부문 일반균형 접근인 지역산업연관분석을 추정 모형으로 사용하였다. 한국은행이 2009년 조사한 2005년 지역산업연관표를 이용하여 원주 소재 상지대학교가 강원지역에 미치는 경제파급 효과를 추정하였다. 연간 소비 1,037억 원, 투자 65억 원 도합 1,102억 원의 최종수요를 통해 연간 지역내 총산출 1,341억 원, GRDP 812억 원, 고용유발 2,188명이 유발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이 유발효과를 최종수요 항목별로 다시 추정해 보면 각 유발효과는 상당히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강원도의 경우, 수출에 의한 유발효과는 타 지역에 비해 불리하지 않지만, 국내소비나 투자의 유발효과는 타 지역으로 크게 유출당하는 취약한 구조라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원주 소재 대학의 ‘입지’를 수도권으로 변경시키는 경우의 효과도 추정해 보았는데 국민경제 전체적으로는 그 변화가 미미하였지만, 강원도 지역경제에 미치는 위축 효과는 대단히 크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현재 추진되고 있는 대학구조 조정 정책에서 대학별 ‘입지’ 요소, 특히 지방대학의 입지를 중요한 요소로 다루어야 한다는 시사를 주는 것이기도 하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stimate the impact of a local university on its regional economy. Using the Regional IO Tables of the BOK, it predicts the derivation effect on GRDP, gross output and employment in Kangwon Province, caused by the consumption and investment of Sangji University which is located in Wonju City, Kangwon Province, Korea. In most cases in Korea, the papers that analyse the economic effect of local universities on their surrounding regions have adopted the one-sector model of keynesian muliplier. This model tends to overestimate the effect in this case, for a small size of economic activity of certain subjects in the restricted region could not correspond to the chain effect of aggregate variables of a national economy as a whole. Therefore this paper will use IO model to avoid such a risk. Of course, IO model has other theoretical problem, i. e. there is no guarantee for long-term stable production relations between sectors. Nevertheless, the IO model can offer at least a short term tool to estimate the effects of small units in the certain specific sectors and regions. According to the prediction, there will be an annual gross output increase of 134 bn KRW, a GRDP increase of 81 bn KRW and employment of 2,188 people derived from the consumption and investment of the University. This prediction assumes that the different categories of final demand (consumption, investment, export etc.) have an equal impact on GRDP, gross output and employment. But this can not correspond to the real relations. Therefore, this paper calculates another prediction, using derivation coefficients which consider differences of influence intensity of consumption, investment and export. These other results show that the real effect of the consumption and investment of the university would be decreased, because the domestic consumption and investment in Kangwon Province, export being excluded, can not be covered to the high level within its region itself. A larger portion of the final demand must be supplied by other regions. This means the structural weakness of the Kangwon Province. This paper also estimates negative effects of the location transfer of a local university to the metropolitan region of the capital city by assuming that Sangji University would be located in Kyung-gi Province. The results show that the overall effects are minimal at the national level, while Kangwon Province would lose a great amount of GRDP, gross output and employment. The estimated effects in this paper must be revised and its conclusions be improved, when the BOK publishes the new regional IO Tables in 2016. Till then, this paper could be regarded as a preliminary attempt and starting point to analyse the economic impact of all the local universities in Korea on its spatial balance.

      • 고실업 극복을 위한 경제질서 개혁 비교분석: 영국/네덜란드와 독일/프랑스 유형을 중심으로

        황신준 ( Shin-joon Hwang ),옥우석 ( Woo-seok Ok ),허찬영 ( Chan-young Huh ) 한국질서경제학회 2006 질서경제저널 Vol.9 No.1

        본 논문의 목적은 1970년대 이후 지속되고 있는 저성장, 고실업의 서유럽 국가들의 경제질서의 구조적 취약점, 시스템의 문제가 무엇인지를 분석하고, 경제시스템 개혁을 시도하여 성공한 영국과 네덜란드, 또한 개혁성과가 미미한 독일과 프랑스의 두 유형을 비교 분석하여 그 성공과 실패의 요인을 분석하려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 확인한 것은 서유럽 경제질서의 핵심 문제가 노동시장의 시장조절 기능 마비, 지속가능하지 못한 고비용의 복지시스템, 反시장적 정부규제 등이라는 점이다. 일부 서유럽 국가의 개혁의 성공 요인은 기간산업 민영화, 노조의 불법관행 종식, 실업급여 감축과 재취업훈련 강화(이상 영국), 임금인상의 장기적 동결, 노동시간 유연화, 사회보장 급여 감축(이상 네덜란드) 등으로 분석되었다. 독일과 프랑스처럼 개혁성과가 미미한 원인은 노조나 좌파 정치세력의 저항으로 시스템 개혁 시도가 좌절되었다는 점에 있다. 서유럽의 사례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사회적 비용을 수반하는 복지시스템은 시장 여건에 적응하거나 신축적이지 못하고 불가역성이 매우 강하다는 것이 독일과 프랑스의 경우에서 드러났다. 이는 선진경제를 추격하는 신흥공업국 또는 중진국들이 참고해야 할 역사적 사실이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find the problems and weak points of economic order of western european countries that have experienced long-run high unemployment rate and low growth rate since 1970's. We also study two types of reforms to change economic order in Western Europe comparatively. The one is valid for England and Netherands and the other for Germany and France. The fundamental problems of the western european systems are such as the labor market which has lost its regulation function of price, unsustainalble expensive social welfare system, anti-market regulation of government etc. The former countries accomplish successful performances in privatisation of government-run industires, ending of excessive labor struggle tradition, reduction of unemployment subsidy and retraining of the unemployed (in case of England), contination of moderate wage-struggle policy of labor union, acceptance of flexible labor time system, reduction of social system subsidy and help (in case of Netherlands). Otherwise Germany and France could not succeed in reforming their system, because of the powerful resistance from the labor unions and left political forces. The western european cases show that the social welfare system tends to be irreversible and it could not easily adat to market situation or national economic competence. The newly indusrializing countries which will follow the track of Western Europe must consider this apparent economic and social dilemman between the social welfare system and economic growth.

      • KCI등재
      • KCI등재

        개발원조위원회 회원국의 공적개발원조 부담률에 비추어 본 한국의 공여실적 재평가

        황신준 ( Shin-joon Hwang ) 한국질서경제학회 2016 질서경제저널 Vol.19 No.2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산하 개발원조위원회(DAC)의 공적개발원조(ODA) 공여는 1960년부터 시작되었으며, 한국은 2009년에 DAC에 가입하여 ODA 사업을 시행해 오고 있다. UN은 1970년 선진국들이 국민소득 대비 0.7%의 ODA를 공여해야 한다는 목표 부담률을 제시하여, 현재까지 그 부담률이 국제적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ODA 공여의 적정성을 연구하는 경우에는 대개 GNI 대비ODA 부담률에 관한 이행여부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편차가 심한 DAC 회원국들의 부담률 결정요인의 추정 연구도 계속되었다. 2015년 현재까지 목표 부담률을 충족시킨 회원국은 5개국 정도이며, DAC 평균 부담률은 약 0.3% 수준이다. 한국 ODA 공여의 적정성에 관한 국내 기존의 연구 작업이나 언론의 평가는 한국의 ODA 규모가 국가의 경제력에 비해 과소한 편이고, UN 목표 부담률에도 크게 미달될 뿐 아니라 DAC 평균부담률에도 못 미친다는 부정적 결론을 제시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는 한국 ODA 규모의 적정성에 관한 실증적 재평가를 시도하였다. 우선 최신 통계자료를 사용해 DAC 회원국들의 GNI 및 1인당 GDP가 각각 ODA 부담률과 어떤 관계를 갖는지 추정해 보았다. 그 결과 ODA 부담률은 GNI 규모가 커질수록 감소할 가능성이 높고, 1인당 GDP가 커질수록 증가한다는 것을 통계적으로 명확하게 확인하였다. ODA는 재분배 기능을 지닌 일종의 세계적 사회복지 부담금 성격이 강하므로, 1인당 GDP에 대한 누진성(progressivity)이 나타나는 것은 합리적 현상이라고 볼 수 있다. 오히려 UN의 획일적 목표 부담률은 1인당 GDP에 관해서 역진성(regressivity)을 내포할 문제가 있다. 1인당 GDP에 대한 누진적 ODA 부담률이 합리적이라는 전제 하에, 28개 회원국의 기대 부담률을 추정한 후, 실제 관측된 각국의 부담률을 그 기대 부담률로 나눈 비율을 이행지수(contribution index, CI)라고 정의하였다. CI가 1보다 크면 해당 국가는 기대 이상으로 의무를 이행한 것이고, 1보다 작으면 그렇지 못 한 것이다. CI의 크기는 국제적 기대 의무에 대한 이행 충실도를 의미하게 된다. 최종적으로 국가별 1인당 GDP 순위와 CI의 순위를 비교해 보았다. 한국의 1인당 GDP 순위와 CI 순위를 비교해 본 결과, 1인당 GDP 순위는 21위였는데 CI 순위는 17위~23위로 나타났다. 결국 한국의 ODA 부담률 적정성은 국제적으로 보았을 때, 1인당 GDP라는 측면의 경제력 순위에 적정하게 부합하는 수준이라고 판정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appraise the korean contribution of ODA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Korea became a member country of the DAC (Development Assistance Committee) of the OECD in 2009, which has implemented donations of ODA since 1960. United Nations adopted 0.7 per cent target of ODA-GNI ratio in 1970, and since then, this target has played a key role to evaluate the contributions of the member countries of the DAC. In general, most studies on adequacy of ODA volume focus upon the performed ODA-GNI ratios with respect to the UN target. Many researches explained causes for a large variance of these ratios between the members and tried to advise how to go nearer to the UN target. Nevertheless there are only 5 members, the ratios of which exceed the UN target, and the average ratio of all members stays still only at 0.3% by 2015. Most domestic studies or press evaluations on adequacy of the korean ODA volume conclude that this does not respond to the economic capacity of Korea, and falls far below the UN target as well as the average of the DAC members. On this background, we try to reappraise the adequacy of the korean ODA donations through empirical verification. First of all, the regression relation is estimated between ODA or ODA-GNI ratio on the one hand, and GNI or per capita GDP on the other, using the most recent data set on ODA. As a result, it seems that ODA-GNI ratio could decrease as GNI increases. Moreover, it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at ODA-GNI ratio increases evidently as per capita GDP increases. This might be interpreted as self-evident and reasonable, because ODA is a sort of international social welfare payment with redistribution effects. Therefore it is natural that there appears a progressivity of ODAGNI ratio upon per capital GDP. On the contrary, the single UN target ratio implies a regressivity, that is neither easily realizable nor desirable. On the premise that the progressivity of ODA-GNI ratio is reasonable, the contribution index (CI) can be defined as a proportion of realized ODA-GNI ratios of the member countries to expected ratios, given per capita GDP. The latter values can be simply obtained by the estimated regression functions. If a CI is greater than 1, then the member country donated more than the expected share. If a CI is smaller than 1, then the country did not come up to the expected obligation. The value of a CI does mean the level of performance of ODA contribution that is expected for given GNI or per capita GDP. At last, the rank of per capita GDP of the member countries was compared with the rank of CI. Korea has the 21st rank of per capita GDP, and the 17th~23rd rank, according to respective regression functions. This can conclude that the adequacy of korean ODA contribution corresponds to the international rank of korean economic power in terms of per capita GDP.

      • 경제질서이론의 시각에 의한 남 · 북한 경제발전의 비교 분석

        황신준 ( Shin-joon Hwang ) 한국질서경제학회 2005 질서경제저널 Vol.8 No.2

        해방 직후부터 분단되어 서로 다른 경제질서를 선택하고, 60여 년 동안 공업화와 경제발전을 추진해 온 남과 북의 경제는 점점 더 격차가 벌어지고 있으며, 북한 경제는 현재 거의 몰락한 상태이다. 남한의 경제도 외연적 공업화에 성공하고 일정 정도 혁신 성과를 보이고 있지만, 선진경제와의 격차를 좀처럼 좁히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남한과 북한은 모두 중대한 경제발전 과제를 안고 있다. 특히 경제가 몰락한 북한의 심각한 실정이 지속된다면, 남북한의 평화공존과 통일을 기대하기가 불가능하다. 이러한 역사적 배경에서 본고는 독일의 질서자유주의 경제학파의 경제질서이론의 시각에서 남한과 북한의 경제질서, 경제발전 과정과 성과, 경제위기의 원인, 향후 경제질서 개혁의 과제 등을 비교 검토하고, 의미 있는 示唆를 도출하려고 시도한다. 이론적으로나 역사적으로 그 폐해가 여러 번 입증된 중앙관리경제 질서를 포기하고, 교환경제질서(시장경제질서)를 선택하는 결단이 북한의 과제라면, 혁신과 내포적 성장에 적합한 시장경제질서를 확립하고 중앙관리경제적 잔재를 청산하는 개혁이 남한의 과제이다. The performance gap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is growing. North Korea, a < centrally controlled economy > other than the South Korean market economy, is now almost ruined. On the other hand South Korean economy does not catch up the advanced countries, although it has succeeded in a extensive economic development and achieved a few innovation performances, in this sense both have their own development problems. In the face of everlasting misery of North Korean economy, peaceful coexistence or reunification of South and North cannot be not expected. This paper analyses the economic orders, process and performance of economic development, causes of economic crisis of South and North Korea. And it tries to find out necessary solutions for reform of economic order in both Koreas. North Korea has to move from the centrally controlled economy to a market economy, and South to get rid of any remained elements of centrally controlled economy, which were generated in the age of development plans.

      • 외환위기 전후의 외국인직접투자 변화

        황신준 ( Shin-joon Hwang ) 한국질서경제학회 2005 질서경제저널 Vol.8 No.1

        외국인직접투자(FDI)는 용어의 의미와는 달리 거시경제적 국내투자(고정자본형성)와 규모가 일치하지 않는다. 외국인 투자의 한 부분인 이른바 < 신규투자(Greenfield Investment) >가 그나마 국내투자와의 연관성이 높지만, FDI와 경제성장률 등 거시경제적 파급효과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기는 매우 어려운 작업이며, 실제로 연구자나 연구대상국에 따라서 그 결과가 다양하게 나오고 있다. 한국경제의 경우, 외환위기 이전에는 FDI의 규모가 전체 경제규모에 비해서 매우 작았으며, 외환위기 이후 잠시 급증하다가 최근에 다시 감소한 바 있다. 따라서 몇 년의 통계를 가지고 FDI의 경제적 효과를 실증적으로 검증하기는 아직 어렵다. 본고는 세계경제에서 FDI 추세의 주요한 특징들을 파악하고, 나아가 한국경제에서 외환위기를 전후하여 증가하기 시작한 FDI의 특징, 업종별 유입 비중, 경제적 효과 등을 개괄적으로 검토한다. Foreign Direct Investment (FDI) does not correspond to macro-economic investment, which means a formation of the fixed capital. Only one of the FDI types, namely Greenfield Investment has a close relation to macro-economic investment. Anyway it needs a lot of laborious work, to analyse correations between FDI and national economic performance such as growth rate. Moreover there are many contradicting research results, derived by different research workers and case countries. In case of Korea, the meaning of the FDI was almost negligible before the economic crisis in 1997. Then the FDI grew very rapidly, and slowed down again since 2003. With a few years experiences, it is not yet possible to verify economic effects of the FDI in Korea by an econometrical method. This paper tries to find out main features of the global trends of FDI. Then it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FDI, sectoral proportions of FDI inflow, economic effects of FDI etc. in Korea after the 1997 crisis.

      • KCI등재후보

        세계 경제위기 이후 한국의 새로운 경제 질서 및 발전 전망

        황신준 ( Shin-joon Hwang ) 한국질서경제학회 2011 질서경제저널 Vol.14 No.4

        본 연구는 1960년대부터 현재까지 지속된 한국경제의 성장과정 전체를 크게 1997년 이전과 이후로 단순화 시켜, 경제 질서의 핵심적 변화의 본질을 가설적으로 제시한다. 또한 이러한 변화된 경제 질서에 근거하여 향후 경제발전을 전망하며, 지속적 발전을 위해 해결해야 할 시스템 문제를 지적한다. 1997년 외환위기 이전까지 고성장이 지속되었던 한국경제의 기본적 경제질서의 특징은 두 가지로 규정할 수 있다. 첫째 한국 기업들은 치열한 경쟁적 시장경제 질서 하에서 성장했으며, 시장규율과 경쟁질서에 적응하고 학습할 충분한 기회를 누렸다. 그것은 경제발전 초기 미처 형성되지 못한 내수시장이 아니라 완전 경쟁시장이나 다름없는 세계시장을 통해서였다. 결국 성공한 한국기업들 특히 재벌기업들은 단순히 정부지원에 의해 선택받고 성장한 것이 아니라, 시장에 의해서 선택받고 성장한 것이다. 둘째, 한국의 금융시스템은 후진적이어서 자본시장은 발달하지 않았고, 정부가 관여하는 은행시스템에 의해 기업자금이 특혜적으로 조달되었다. 대기업들은 철저한 여신심사에 의해서가 아니라 정부와 은행의 산업정책적 지원에 의해 자금을 지원받았는데, 이는 과도한 차입경영으로 이어졌다. 이윤율이 저하되고, 외국자본이 단기대출을 일시에 환수하자, 1997년 한국의 금융시스템은 붕괴위협에 직면한다. 그 이후 한국은 금융질서를 성공적으로 개혁하였다. 은행은 철저하게 이윤추구와 위험관리를 중시하는 경영조직으로 바뀌었으며, 기업은 자기자본 비율을 높였으며, 무리한 차입경영은 사라졌다. 정부는 금융감독을 강화하고 선진화하였으며, 공기업을 대폭 민영화함으로써 국가부채의 부담을 감소시켰다. 이러한 개혁의 성과 덕분에 한국은 2008년 세계 금융위기의 충격을 비교적 빨리, 손실을 최소화하면서 극복하고 있다. 물론 이러한 체제개혁의 반대급부로 몇 가지 시스템 문제도 발생하였다. 우선 1997년 구조조정 시 중소기업과 노동인력이 대량 퇴출됨으로써, 고용시장은 현재까지 부담을 안고 있으며 특히 청년실업의 문제가 심각하다. 구조조정으로 강해진 대기업과 수출기업에 비해 중소기업과 내수기업은 상대적으로 취약성이 더 심해지고 있다. 사회적 소득격차와 불평등도는 2000년대 전반기 상당히 악화된 채로 남아 있다. 안정적인 시장경제 질서에 기반을 둔 지속적 성장을 위해서는 이 문제들을 반드시 경제 질서 정책으로 해결해야만 할 것이다. 본 논문은 경제 질서의 핵심부분의 변화를 중심으로 한국경제를 분석하였으나, 분야별 세부적 검증작업은 충분히 이루어지지 못한 한계를 갖는다. 이 작업은 향후 과제로 남는다. This study presents the key point of changed economic order of Korea after the economic crisis in 1997. On the basis of this changed economic order, the perspective of further growth of Korea is examined, and the present system problems are illuminated. Until 1997, Korea's economic order had two fundamental elements. First, the korean businesses worked under the perfectly competitive market, namely in the world market, despite lack of domestic competitive market. In the end, the successful businesses of Korea are not merely picked by the government, but by the market as "winners," so they are strong and competent in the world market. Second, the korean finance system was backward and not fully developed. Credit was provided to businesses with special favour by the government, via banking system controlled by the government. Banks did not evaluate the profitability, but from the viewpoint of industrial policy of government. This led to permanent over-leveraging of businesses, and at last to financial collapse and economic crisis. And then in face of the crisis, Korea made reforms in financial system. Banks began to operate in search of profit and risk-defensive. Businesses reduced debt-to-equity ratio drastically. The consolidated Financial Supervisory Agency began to regulate financial sector prudently. Through privatization of many public enterprises, the fiscal position of the government became robust. Thanks to these reforms, Korea overcame negative impacts of the global crisis relatively fast. Of course, there are new system problems grown out of these reforms: Long lasting unemployment due to mass layoffs and ruin of SMEs, discrepance between big businesses and SMEs, deteriorating income inequality etc. To secure stability of market order, these problems must be resolved with policy of economic order. The limit of this paper remains, because it could not investigate and verify all the detailed parts, but this work can be a next task.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