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터렉티브 타이포그래피 표현의 형상성

        황수홍 디자인융복합학회 2007 디자인융복합연구 Vol.6 No.1

        본 논문은 디지털 미디어 환경에서의 실험적 타이포그래피 표현의 형상성을 역사적인 맥락 속에서 조영해 보고 그 대표적 속성을 활용한 인터랙티브 모델을 제시한다. 인터넷과 영상 미디어 환경 속에서 나타나기 시작한 디지털 타이포그래피의 실험들을 통해, 우리는 인쇄 기반의 전통적 타이포그래피와 확연히 다른 텍스트의 존재성과 표현 가능성을 인식해 왔다. 영상 기술과 컴퓨터 알고리즘을 이용한 최근의 타이포그래피 실험들을 보면, 텍스트는 멀티미디어 공간에서 다이나믹, 인터랙티브한 모션과 즉시적 혼합 커뮤니케이션으로 형상화되고 있다. 이러한 타이포그래피 실험적 경향은 다다(DADA)와 미래파 이후 이어져온 아방가르드 예술운동의 맥락에서 해석될 수 있다. 본 연구자는 디지털 타이포그래피의 대표적 속성으로서 텍스트에 주어진 ”시간성(Temporality)", "비고착성(Unfixed Quality)“의 표현들이 다다이즘 이후 나타났던 그것들과 맥락적으로 연결될 수 있음을 발견하고, 예술과 미디어 기술의 장르간 병합 실험들로 이어져온 아방가르드적 예술의 흐름 속에서 미디어와 함께 새롭게 실험되고 있는 디지털 타이포그래피의 표현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는 오늘날 타이포그래피 디자인의 실험들이 달려가고 있는 흐름과 그 동력을 통시적 공시적 맥락으로 조망할 수 있는 의미를 가질 수 있다. This thesis research and project explore the prospect of interactive typographic forms based on the expression of the temporal nature of time in digital media environment. The thesis project consists of three computational models: ``Smoke’I ’Scatter’, and ``Illusion`` for expressive interactive typography. Each model represents one of the following unfixed qualities of type in a digital environment: emergence, changing, and disappearance.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present these three models as poetic type tools, which can be utilized for conveying messages with the quality of emotion and perception, and for reflecting properties of visual play similar to a game or toy. Today, typing is no more than just a record of speech; rather it is a direct expression of thought. This idea is more obvious in digital media. Perhaps, instead of speech or writing, the development of an "unfixed" text might be a better way to communicate and visualize our consciousness. This thesis introduces a generative integration of time by using digital typography which functions on the intersection of text and image. The thesis project investigates the transmission of the ephemeral through a digital environment, and allows a user to share and explore the expressive possibilities of computational typography as a creative medium and an aesthetic experience.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조형과 디자인 사고의 데이터 재고찰 -통계와 그 수행성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민수홍,황수홍 한국기초조형학회 2018 기초조형학연구 Vol.19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monstrate more conative ways of understanding numerical data, driving us plan the basic design and art activity, in addition to judge, estimate, guess the conditions & situations of it will have. For this, this research will try conceptual reframing on Statistics, now the most concrete data form, not just only activating the concernments and issues to basic design and art but also practical and theoretical approaches to it. Statistical thinking through enumerating and the aftermath of it has given us, in other words, taken away the conceptual & practical boundaries not only of design object settings, measurement for their creation, but also institutional and financial backings, the scopes or levels of tests and justifications; Products as design would lie at the basis of reasonable choice made by officials. Any decision, risk analysis, environmental impact or any design strategy cannot be appeared without decision making couched in terms of probabilities today. By covering opinion with a concept of objectivity, we would place judgment by computation. Embodiment and development of Statistics through the enumeration has forged our cognition to world and the ways of conceiving the others, as much the influences for design activities. In historical context, for this have become possible, three grand cultural movements should have been underpinned; "Erosion of determinism", "Discovery for regularities of people and their habits", and "Avalanche of numbers". This sort of study for humane understanding and epistemological consideration to design data-Statistics could be insightful for enhancing reflective & creative research capacity for the design science. 이 연구의 목적은, 오늘날 조형 및 디자인 활동의 설계와 수행, 그에 대한 평가와 분석 외에도, 그러한 평가와 분석을 가능하게 하는 기준을 제시하는 정량화된 수치 데이터 및 우리가 그것을 대면하는 태도 그 자체에 대한 보다 성찰적인 이해의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조형 활동에 관한 고민과 문제제기, 여러 가지 실무 및 이론적 접근과 실천을 추동하는 가장 형식적이고 구체적인 자료라고 할 수 있는 통계에 대한 인식론적 분석과 재고찰을 수행한다. 수치화계량화에 따른 통계적 접근, 그것이 확인해주는 ‘사실’과 ‘현상’들은, 오늘날 조형 활동의 목표 설정과 실현도의 계측 뿐 아니라 그것을 위한 제도적 접근, 구체적인 물리적 실험과 해석의 당위성, 그 범위와 수준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고, 반대로, 제한하기도 하는 양가적 특성을 지닌다. 조형의 결과물은, 현상의 판단과 분석, 평가와 전략 등 확률의 관점에서 표명된 의사결정의 이론, 그리고 통계적 사례의 참조에 따른 지식의 형성과 구성작동을 통해 등장하거나 사라지기 때문이다. 이는 모든 조형 프로세스에 작용하고 있는 통계적 특성이라고 할 수 있으며, 특정의 견해에 전문성과 객관성의 개념이 덧붙여짐으로써, 의사결정은 거듭 수치 산출로 대체된다. 수치화를 통한 통계와 통계학의 구체화와 그 발전은 우리로 하여금 오늘의 세계 그 자체를 인지시키고 이해시키는 수준에 이르렀으며 그만큼 조형 활동의 설계와 수행에도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 이것이 가능해지기까지에는, 역사적인 맥락에서, 다음 세 가지의 큰 문화적 변동 즉, “결정론의 퇴색”, “인간의 행동들에 대한 규칙성의 발견”, “인쇄된 숫자들의 쇄도”의 뒷받침이 있었다. 이러한 통계 데이터에 관한 인문학적 이해와 인식론에 관한 재고찰은 조형 활동의 비평적창의적 연구 역량을 높이는 데 유용한 실천이 될 수 있다.

      • KCI등재

        디자인전공에서의 인터랙션 디자인 교과 구성에 관한 연구

        권오성,황수홍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2009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9 No.4

        IT기술의 발전에 따라 디지털 제품 또는 서비스 디자인 에서 상호작용성이 증가하였다. 더불어 디자인 교육에서 도 인터랙션 디자인이 교과의 한 부분으로 자리 잡고 있 으나, 그것이 갖고 있는 다학제적 특성상 인터랙션 디자 인은 다양하게 정의가 가능하고 교과 또한 다양하게 구 성이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인터랙션 교과과정을 구 성함에 있어 다양성을 인정하면서도 공통적으로 포함되 어야 할 실질적인 요소들을 정의하여 표준적인 형태의 교과구성을 제안하였다. 인터랙션의 발전 과정을 컴퓨터 사이언스, 인간공학, 디자인의 관점에서 조사하여, 인터 랙션 디자인 교과가 갖추어야 할 공통 요소들을 살펴보 았다. 이를 바탕으로 인터랙션 디자인의 교과를 정보처 리 측면의 인간공학 및 정보 디자인의 이론적 기초, 사 용자 및 제품/서비스 분석에 대한 디스커버리, 인터랙션 스팩화/문서화, 프로토타이핑, 사용자 검증의 5단계로 구성하는 것을 제안하고, 각 단계별로 포함되어야 할 기 본적인 내용을 정의하였다. 본 연구에서 논의된 기본 구 성 위에 교육자의 배경 및 독자적인 인터랙션의 강조점 과 차별성을 부여하여 다양하고 유연한 인터랙션 교과를 구성하는 것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The Role of Emotional Intelligence in Considerate Communication in Team Projects among University Students

        임세헌,이석호,황수홍 연세대학교(미래캠퍼스) 빈곤문제국제개발연구원 2015 地域發展硏究 Vol.24 No.1

        Psychologists argued that emotional intelligence might be more important than intelligence quotient for a success, and it might be applicable to studentsworking on a team project as well. This study examines the influence of emotional intelligence on the students’consideration and communication styles,and how their consideration and communication styles affect sense of happiness. Psychologists claimed that happy people are more likely to be successful at both work and in life. In this study, the researchers conducted an online survey for collecting data to verify the research model. We collected 99 data set throughout the online survey. In this study, we conducted empirical analysis using the PLS (Partial least squares) approach to support component-base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of the causal relationships between the independent variables and the dependent variable. We believe that the happy students who have successfully performed a project team become a successful member of society in the future.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d useful implications for the importance of developing emotional intelligence and communicating in a considerate manner for students’success in the future.

      • KCI등재SCOPU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