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재한 중국인 유학생의 대학생활 적응에 대한 질적 연구

        박은미,황빙의,정태연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010 청소년상담연구 Vol.18 No.2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assess how well international undergraduates from China adjust themselves to academic life in South Korea and to identify factor, both psychological and social, which exert influences upon their adjustments. In this study, semi-structured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30 participants and their responses were analyzed on the basis of the Grounded Theory developed Strauss & Corbin(1990).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core feelings participants experienced in the course of academic adjustment in South Korea could be grouped into 4 categories: Emotional unbalance, alienation and difficulties. Further, analysis of processes international undergraduates from China went through in their adjustment to South Korea revealed that there were four phases in academic adjustment: Confusion, evasion, efforts to overcome, and self acceptance. Analysis of factors influencing adjustment revealed that there were a paucity of resources, personal and social as well, in the confusion and evasion phrase, whereas lots of resources were available in the efforts to overcome and the self acceptance phrase. Finally,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four types of adjustment according to the dimensions of culture adaptation and pursuit of academic progress: Confusion maladaptation, cultural reception, the pursuit of degree, and self-growth. Finally, the findings were discussed in relation to relevant theories and research, and their implications for cultural adjustment and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y were suggested. 본 연구는 문화적응적 관점에서 한국사회 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중국인 유학생의 대학생활에 대한 적응 을 알아보았다. 즉, 적응과정과 적응에 주요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탐색해보고자 하였으며, 이를 통해 적응유 형화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에 30명의 재한 중국인 유학생을 심층면접 하였고 근거이론방법론을 사용하여 분석 하였다. 그 결과, 중국인 유학생들이 경험한 한국대학생활 적응의 중심현상은 정서적 불안정, 소외감, 어려움으 로 복합-부정적 정서 특징을 보였다. 과정분석을 실시한 결과, 중국인 유학생의 한국대학생활 적응과정은 혼란, 회피, 극복-노력, 현실수용 총 4단계과정이었다. 혼란단계에서는 적응을 방해하는 개인-부정적 장애물을 사용함 과 동시에 한국사회를 부정적으로 평가하였고, 회피단계에서는 한국사회에 대한 긍정적인 측면을 처음으로 인 식하기 시작하였다. 극복-노력단계와 현실수용단계에서는 개인-긍정적 자원과 사회-긍정적 자원을 활용함으로써 적극적인 해결방법을 통해 긍정적인 적응단계로 발전해갔다. 또한, 한국문화 적응-부적응, 학업 추구-비추구 두 차원에 의하여 유형화 분석을 시도한 결과 혼란부적응형, 문화수용형, 학위추구형, 자아성장형으로 나타났다. 이 러한 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및 추후연구에 대한 방향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후보

        재한 중국인 유학생의 대학생활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의 관계

        박은미(Eunmi Park),황빙의(Bingyi Hwang),정태연(Taeyun Jung) 대한스트레스학회 2010 스트레스硏究 Vol.18 No.2

        본 연구는 한국사회 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중국인 유학생의 대학생활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 간 관계에서 의사소통의 어려움, 한국생활의 어려움, 한국문화수용의 중재효과를 살펴보았다. 또한 중국인 유학생이 경험한 대학생활스트레스와 한국인 대학생이 평가하는 중국인 유학생의 대학생활스트레스 간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시내 대학에 재학 중인 100명의 중국인 유학생과 98명의 한국인 대학생이 설문에 참여하였다. 분석 결과, 대학생활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수준은 부적상관이 있었고, 의사소통의 어려움, 한국생활의 어려움, 한국문화수용 인식 가운데 한국생활의 어려움만 중재효과가 나타났다. 한국문화수용은 대학생활스트레스와 독립적으로 대학생활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한편, 중국인 유학생이 경험하는 대학생활스트레스의 정도에 대하여 중국인 유학생 당사자들보다 한국인 학생들이 더 높게 평가했다. 그러나 학업스트레스의 경우, 한국인 학생들이 평가하는 것보다 중국인 유학생이 경험하는 학업스트레스가 더 높았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중국인 유학생의 성공적인 대학생활적응을 위한 환경적 개선과 함의를 논의하였다. The study aimed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 of Communicative Difficulties, Life Difficulties in Korea, and Adaptation to Korean Culture between School Adjustment and Stress, and to test difference of estimating College Life Stress of Chinese international undergraduates (CIUs) between Chinese and Korean. CIUs (n=100) and Korean undergraduates (n=98) attending a university in Seoul participated in the questionnaire study. Results indicated that School Adjustment was explained negatively by College Life Stress, and positively by Adaptation to Korean culture. Also, Life Difficulties in Korea of CIUs played a moderating role between School Adjustment and College Life Stress. The difference of estimating CIUs" college life stress between Chinese and Korean was as follows: The Korean undergraduates perceived CIUs feeling higher College Life Stress than those who actually experienced it. Despite Korean"s perceiving it, CIUs realized higher Study Stress. Finally, the findings were discussed in relation to relevant theories and research, and their implications for college life adjustment and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y were sugges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