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상동광산 광물찌꺼기를 이용한 경량기포콘크리트에서 Al분말에 의한 기공의 분포 특성

        황민수,김소연,남정흠,김홍기,강헌찬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구 한국폐기물학회) 2014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춘계학술발표논문집 Vol.2014 No.-

        강원도 영월군에 위치한 상동광산은 1916년부터 약 80년간 가행되었으며 단일광산 생산량으로는 국내 최대 규모로 개발되어진 중석광산으로 연간 60만톤의 광석을 처리 할 수 있는 선광시설을 보유하고 있던 광산이다. 이에 발생한 광물찌꺼기는 현재 두 개의 폐재댐에 약1200만톤이 적치되어 있으며 다양한 중금속들이 함유되어 있어, 주변 수계 및 토양, 농경지로의 유입으로 인한 심각한 환경문제를 유발하고 있다. 또한 최근 상동광산 재개발이 진행됨에 따라 대량의 광물찌꺼기가 다시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어지므로 그에 따른 적치장 부지의 부족 등 광물찌꺼기 처리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재활용 방안이 시급한 실정이다. 본 연구자들은 상동광산 광물찌꺼기의 화학조성이 건축재료에서 사용되어지는 규산질원료인 모래와 유사한 점을 활용하여 건식경량벽체로서의 재활용을 고려하였다. 현재 국내 건식경량벽체는 건물의 초고층화 현상과 맞물려 건축물의 자중을 줄이기 위해 사용되어지고 있으나 단열 및 흡음재로서의 성능 부족으로 인하여 화재 발생시, 화재 확산의 원인과 유해가스 발생 및 층간소음으로 인한 주민들간의 분쟁을 유발하는 등, 성능의 증대가 요구 되고 있다. 반면, 경량기포콘크리트에서 Al분말 첨가를 통해 생성된 기공은 단열 및 흡음효과와 경량화를 극대화 시킬 수 있는 요소이기 때문에 광물찌꺼기를 이용한 경량기포콘크리트에서 Al분말에 의한 생성된 기공의 분포 특성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먼저 시료의 입도 분석을 실시한 결과 500mesh 이하의 미립입자의 양이 전체의 54%이상으로 다른 금속광산 광물찌꺼기들에 비해 상당히 다량의 미립입자들이 포함되어 있음을 확인했다. 다음으로는 Al분말 첨가에 따른 기공 크기 분석에 앞서 다른 화학 혼화제들의 첨가량을 선정하기 위해 각 혼화제 첨가에 따른 flow 실험을 진행하였고 측정 결과, 기본 배합비는 각각 시멘트 대비 물량 70%, Al분말 0.1%, 멜라민 0.4%, S.D.S 0.3%, 광물찌꺼기 함량 120%로 선정하였다. 선정 후 Al분말 첨가량에 변화를 주며 샘플을 제작하였고 제작한 샘플의 기공의 크기를 측정하기 위해 Image Analysis Program을 사용하여 각 샘플별 기공의 분포특성 분석을 진행하였다.

      • 비소 오염토양에서 비소제거를 위한 산화환원전위 연구

        황민수,김소연,남정흠,강헌찬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2014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학술대회 Vol.2014 No.11

        폐광산 주변의 토양은 가까운 거리에 위치하고 있는 폐광산 지역 혹은 광물찌꺼기 적치장으로부터 광물찌꺼기나 폐석들이 유입되어 중금속에 오염되는 경우가 많으며 그 중 비소로 인한 오염이 가장 심각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현재 환경부, 농림축산식품부 및 지자체 등에서 토양오염 개량 및 복원사업 요청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오염토양 복원 기술로는 토양오염도에 따라 표토 삭토, 심토 안정화처리 및 차단층 설치 등의 토양안정화 기술이 사용되어지고 있다. 그러나 본 연구자들은 토양으로부터 원천적인 중금속제거를 위해 부유선 별법을 적용하였으며 부유선별에 앞서 오염토양의 산화환원전위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시료는 주변 광미댐으로부터 광물찌꺼기가 유입되면서 FeAsS(Arsenopyrite)가 함께 유입되어 비소로 오염된 토양을 대상으로 하였다. 따라서 FeAsS의 Eh-pH Diagram을 통하여 FeAsS표면의 존재형태를 예측하고 부유선별에 적용하기 위하여 부유선별시 광액의 산화환원전위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pH별 부유선별 결과, Fe-As-S-H2O pH-Eh Diagram 상에서 FeAsS의 표면이 Fe2+에서 Fe3+로 변화하고 Fe(OH)3로 침전되는 경계선에 위치한 구간에서 실시한 부유선별의 비소제거율이 각각 83.41%와 83.24%로 제거효율이 높았으며 반면에 FeAsS의 표면이 완전히 Fe(OH)3이 되는 구간에서의 부유선별은 비소제거율이 50% 이하로 크게 감소하는 경향을 확인하였다. 포수제로 사용한 K.A.X 첨가량에 따른 부유선별에서는 K.A.X첨가량이 증가할수록 Eh값이 감소하였으며 FeAsS표면에 Fe2+와 H3AsO3가 존재하는 pH 6, Eh -62mV 구간에서 비소제거율이 87.67%로 가장 높았다. 최종적으로 토양 내에 존재하는 FeAsS(Arsenopyrite)의 제거를 위한 부유선별에서 FeAsS표면이 Fe2+에서 Fe3+로 변화하여 Fe(OH)3로 변하는 경계구간에서 Xanthate음이온의 표면흡착이 잘 이루어짐에 따라 비소제거효율이 증가한 것으로 사료되어진다.

      • 국내 테니스 경기의 관전 저해요인 분석을 통한 마케팅적 접근 방법에 관한 연구

        황민수,신갑호 명지대학교 대학원 1999 대학원논문집 Vol.3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obstacle factors that affect participation in a tennis game in Korea.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was developed. The needs for latent consumer as dependent variables were specifically investigated by communication, skills of tennis game, life cycle, participate in sports, levels of the service, affects of climate, a viewing of other sport games. Independent variables of this study were sex, marriage, kids, age, education level, job, numbers of activity participation for a week, and number of viewing of tennis game for last year. The subject of the study were 247 amateur tennis players(M:175, F:72) and registered in 4 tennis clubs. To compare the difference of dichotomous items such as sex, marriage, and kids, a t-test was employed. One-way ANOVA and Scheffe post hoc test were also used to verify obstacle factors of participation in a tennis game.

      • KCI등재

        초·중·고등학교 전력 부하패턴 분석 및 태양광발전 잉여전력량 활용방안 연구

        황민수,이명열,김한진,이안기,김재철,Hwang, Min-Soo,Lee, Myoung-Yeol,Kim, Han-Jin,Lee, An-Ki,Kim, Jae-Chul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 2016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Vol.30 No.12

        The COP21 took place in Paris at the end of 2015 and the Paris Agreement was adopted. all around the world and Korean goverment push ahead for reducing GHG after COP21. Therefore, PV generating facilities installation increases rapidly following policy. Especially, the case of Schools(Elementary Middle High school) should annually supply duty renewable energy ratio following 'The law of New&Renewable energy development, utilization, dissemination, promotion'. If only PV generation should afford renewable energy duty ratio, generated power will pile up in comparison with power consumption during specific time. In this thesis, effective method for using surplus power is proposed. Load profiles and generation profiles of schools were measured to calculate the surplus power. In order to find effective method for using surplus power, most economical electric power transaction method called counter trace is considered among current operating electric power transaction method(counter trace, private PPA, prosumer, etc.).

      • 비소 오염토양에서 비소제거를 위한 산화환원전위 연구

        황민수,김소연,남정흠,강헌찬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구 한국폐기물학회) 2014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추계학술발표논문집 Vol.2014 No.-

        폐광산 주변의 토양은 가까운 거리에 위치하고 있는 폐광산 지역 혹은 광물찌꺼기 적치장으로부터 광물찌꺼기나 폐석들이 유입되어 중금속에 오염되는 경우가 많으며 그 중 비소로 인한 오염이 가장 심각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현재 환경부, 농림축산식품부 및 지자체 등에서 토양오염 개량 및 복원사업 요청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오염토양 복원 기술로는 토양오염도에 따라 표토 삭토, 심토 안정화처리 및 차단층 설치 등의 토양안정화 기술이 사용되어지고 있다. 그러나 본 연구자들은 토양으로부터 원천적인 중금속제거를 위해 부유선 별법을 적용하였으며 부유선별에 앞서 오염토양의 산화환원전위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시료는 주변 광미댐으로부터 광물찌꺼기가 유입되면서 FeAsS(Arsenopyrite)가 함께 유입되어 비소로 오염된 토양을 대상으로 하였다. 따라서 FeAsS의 Eh-pH Diagram을 통하여 FeAsS표면의 존재형태를 예측하고 부유선별에 적용하기 위하여 부유선별시 광액의 산화환원전위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pH별 부유선별 결과, Fe-As-S-H<sub>2</sub>O pH-Eh Diagram 상에서 FeAsS의 표면이 Fe<sup>2+</sup>에서 Fe<sup>3+</sup>로 변화하고 Fe(OH)<sub>3</sub>로 침전되는 경계선에 위치한 구간에서 실시한 부유선별의 비소제거율이 각각 83.41%와 83.24%로 제거효율이 높았으며 반면에 FeAsS의 표면이 완전히 Fe(OH)<sub>3</sub>이 되는 구간에서의 부유선별은 비소제거율이 50% 이하로 크게 감소하는 경향을 확인하였다. 포수제로 사용한 K.A.X 첨가량에 따른 부유선별에서는 K.A.X첨가량이 증가할수록 Eh값이 감소하였으며 FeAsS표면에 Fe<sup>2+</sup>와 H<sub>3</sub>AsO<sub>3</sub>가 존재하는 pH 6, Eh -62mV 구간에서 비소제거율이 87.67%로 가장 높았다. 최종적으로 토양 내에 존재하는 FeAsS(Arsenopyrite)의 제거를 위한 부유선별에서 FeAsS표면이 Fe<sup>2+</sup>에서 Fe<sup>3+</sup>로 변화하여 Fe(OH)<sub>3</sub>로 변하는 경계구간에서 Xanthate음이온의 표면흡착이 잘 이루어짐에 따라 비소제거효율이 증가한 것으로 사료되어진다. 사사: 본 연구는 국토교통부 건설교통기술 지역특성화사업 연구개발사업의 연구비지원(과제번호: 13RDRP B066470)에 의해 수행되었습니다.

      • KCI등재

        서울 강남대로 일대 공공가로에 설치된 흡연구역에 대한 이용자 및 보행자 만족도 비교

        황민수,김형규 한국도시설계학회 2022 도시설계 : 한국도시설계학회지 Vol.23 No.6

        본 연구는 흡연 풍선효과를 방지하기 위하여 공공가로에 설치된 흡연구역에 주목하고, 설치효과를 증진할 수 있는 개선방향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세 가지 형태의 흡연구역에서 이용자와 주변 보행자의 만족도를 조사하여 그룹별 차이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대체로 보행자의만족도가 이용자보다 낮고, 모든 형태에서 담배 연기 및 냄새 차단의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용자는 완전히 개방되어 환기가 유리한 라인형흡연구역을 가장 선호하지만, 보행자는완전히 폐쇄된 비대면흡연부스를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가 설치 시 비대면흡연부스형태를 적극적으로 고려하되, 적절한 환기 설비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 공공공간에서 금연구역을 확대하는 동시에, 도시의 쾌적한 보행환경을 위하여 흡연구역을 충분히 설치하고 지속적으로보완해 나가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상동광산 광물찌꺼기의 비소제거를 위한 부유선별에서 인산염 첨가의 영향

        황민수,김소연,강헌찬,Hwang, Min Su,Kim, So Yeon,Kang, Heon Chan 한국자원리싸이클링학회 2014 資源 리싸이클링 Vol.23 No.5

        As의 평균함량이 285 mg/kg인 상동광산 광물찌꺼기의 As제거를 위한 부유선별에서 인산염 첨가에 따른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제3인산나트륨(이하 T.S.P)을 분산제로 첨가하여 부유선별을 실시하였다. 먼저 분산제 없이 부유선별을 진행한 결과, As제거율은 88.7%, 부상물의 무게비는 2.52%였고 추가적으로 T.S.P를 첨가하여 부유선별을 실시한 결과 각각 92.74%, 2.26%로 As제거율은 증가하고 부상물의 무게비는 감소하였다. 두 실험의 부상물을 대상으로 입도분석을 진행한 결과, T.S.P를 첨가하지 않은 부상물은 평균입도가 19.34 um, 10 um이하의 양이 전체의 40.2%인 반면 T.S.P를 첨가할 경우, 각각 176.8 um, 6.5%였으며 이를 통해 미립입자의 부유가 억제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X.R.F 분석을 통해 두 실험 부상물의 실리카($SiO_2$)함량을 비교해본 결과, T.S.P를 첨가하지 않은 경우 42.74%, 첨가한 부상물의 경우 29.56%로 실리카계열의 친수성입자가 효과적으로 분산되어 부유가 억제되는 결과를 확인하였다. Froth flotation was performed to study the effect of phosphate addition in the experiment to remove As from tailing of Sang-dong Mine. The experiment without Trisodium phosphate (T.S.P) showed that the removal rate of As was 88.7% and weight-ratio of floating material was 2.52%. By contrast, the experiment with T.S.P showed that the removal rate of As was 92.74% and weight-ratio of floating material was 2.26%. In flotation without T.S.P, the average particle size of float material was 19.34 um and the amount less than 10um was 40.2%. On the other hand, in flotation with T.S.P the average particle size of float material was 176.8 um and the amount less than 10um was 6.5%. The result of X.R.F analysis presented that contents of $SiO_2$ was 42.74% in float material of the experiment without T.S.P. In contrast, contents of $SiO_2$ was 29.56% in float material of the experiment with T.S.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