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남서해안 자연채묘 양식 김의 DNA 염기서열과 종 동정

        황미숙,김선미,하동수,백재민,김형섭,최한구,Hwang, Mi-Sook,Kim, Sun-Mi,Ha, Dong-Soo,Baek, Jae-Min,Kim, Hyeung-Seop,Choi, Han-Gu 한국조류학회(藻類) 2005 ALGAE Vol.20 No.3

        Nuclear SSU and ITS1 rDNA and plastid rbcL sequences were determined to identify the seven samples of Porphyra cultivated by means of natural seeding on the southwest coast of Korea and analyzed to access the phylogenetic relationships of them with the natural populations of P. tenera and P. yezoensis from Korea and Japan. SSU, rbcL and ITS1 data from 18, 21 and 31 samples, respectively, including previously published sequences were investigated in the study. Results from our individual and combined data indicated that the seven samples were all P. yezoensis and the entities except one from Muan 2 aquafarm strongly grouped together with the natural populations of P. yezoensis from the south and the west coast of Korea. The sample from Muan 2 seems to be derived from a strain of P. yezoensis introduced from Japan by Porphyra farmers, based on DNA sequence data.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일반논문 : <태원지> 서사분석에 의한 국적 규명

        황미숙 ( Mi Sook Hwang ) 한국고전연구학회 2014 한국고전연구 Vol.0 No.29

        <태원지>는 원 말, 천명을 받은 임성이 호걸을 모아 대사를 도모하다가 대해에 표류하게 되고, 요괴를 만나 고난을 겪지만 종황의 신술로 제거한다. 그리고 태원이라는 미지의 세계에 상륙하여 태원 오국을 평정하고 대흥을 창업하여 황제에 즉위하는 창업서사이다. <태원지>는 국적 문제가 명확히 해결되지 않은 작품이다. 『중국소설회모본』<소서>에 <태원지> 서명이 기록되어 있어 중국소설로 여겨졌지만, 내용 분석을 통해서 우리 고소설로 간주되었다. 그런데 우리 고소설에는 역성혁명을 성공시킨 창업주가 주인공이 되는 경우가 없는 점과 탈중화의식을 보이는 <태원지>는 1762년 이전 작품이므로 조선에서 상대적 세계관이 담론으로 작동하던 시기와 차이가 있는 점을 고려한다면 <태원지>의 국적을 재고할 필요가 있다. 또한 『중국고전소설총목제요』에 실려 있는 <신무전>이라는 작품에 관한 간략한 설명과 <태원지> 서사의 특징과 유사한 점은 <태원지>가 우리 고소설이 아닌 중국소설이며, <신무전>을 번역 내지 번안한 작품일 수 있는 근거가 된다. 조선에서 중국소설인 <신무전>이 유입되고 <태원지>로 번역되었다면, 이는 영조의 주원장에 관한 높은 관심으로 이해될 수 있다. 영조는 즉위하는 과정에서 정통성의 시비로 많은 정치적 혼란을 겪었다. 왕권을 강화하고자 했던 영조는 강력한 군주체제를 지향했던 명 태조에 다방면으로 관심을 가졌다. 그 결과로 영조는 주원장이 창업을 이루는 과정을 다룬 <영렬전>, 창업 이후 명의 기반을 구축해나가는 과정을 담고 있는 <남계연담>에 애착을 보였고, 주원장이 명을 창업한 역사적 사실을 환상적 허구로 변형한 <신무전>을 <태원지>로 번역하도록 하는데 이르렀을 것으로 보인다. The Origin of <TaeWonJi>, whether it is the work of China or Korea, is not clear. Based on the previous studies, it is acknowledged as a Korean classical novel. However, there are certain questions existing regarding the novel. This dissertation is written to demonstrate that <TaeWonJi(太原誌)> could have been the work of Chinese. First of all, there had been no protagonist who created the nation in the novel written during the Joseon Dynasty era. Second, because <TaeWonJi> was written before 18th century, it must have been difficult to reflect the relative view of the world which was popular in the late 18th century in Joesen Dynasty era. Also, there is a mention on Chinese reference which is very similar to the narrative in <TaeWonJi>. While <TaeWonJi> fantasized historical facts and Jong Hwang’s amazing magic is narratively standing out, <ShinMuJun(神武傳)> has similar features. The reason why <TaeWonJi> could have been translated into <ShinMuJun> can be explained in relation to King YoungJo. In the late 18th century, King YoungJo wanted establish powerful monarch system that he was interested in Ming Firstking (JooWon-Jang) who sought the system beforehand. In addition, because novel was regarded as a type of history book that it is assumed that together with <DaeMyoungYoungRyulJun> <NamGyeYunDam>, which is related to the Joo Won-Jang, <ShinMuJun> could have been translated into <TaeWonJi>

      • KCI등재

        선교사 마렌 보딩(Maren Bording)의 공주ㆍ대전 지역 유아(乳兒)복지와 우유급식소 사업

        황미숙(Hwang Mee-Sook)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2011 한국기독교와 역사 Vol.34 No.-

        여선교사 마렌 보딩(Maren Bording, 한국명 보아진)은 1923년 미 감리회 해외여선교회(The Woman's Foreign Missionary Society of The Methodist Episcopal Church)에 의해서 공주로 파송받았다. 공주로 오자마자 공주에서 의료선교를 하고 있던 파운드(Norman Found)와 함께 순회 방문 진료를 시작하였다. 집집마다 부녀자와 아기들의 진료를 하던 가운데 먹을 것이 없어 생명 부지뿐 아니라 건강하게 살아가지 못하던 한국유아들을 목격했다. 파송된 이듬해인 1924년 본격적으로 유아복지(Infant Welfare) 사업을 착수 하였다. 우선 진료소 방 한 칸에서 ‘유아진료소’를 시작하였다. 아기들의 질병과 건강관리를 주로 하였다. 유아를 위한 순회 방문 진료 역시 계속해 나갔다. 그러나 영양부족으로 인하여 사망하거나 질병에 걸리는 경우는 여전하였다. 이윽고 시작한 것이 ‘우유급식’사업이었다. 그녀는 보고서에서 “나는 1살 내지 3살짜리 아이가 하루에 1~2병의 우유를 먹을 수 있다면, 질병으로부터 보호하는데 있어 효과적일 수 있다는 것을 알았다”고 하였다. 1926년 6월에 공주에 한국에서는 처음으로 시도된 ‘우유급식소(Milk Station)’를 정식으로 열었다. 공주의 유아복지와 우유급식사업의 성과는 사업을 시작한지 불과 2~3년만인 1927년 보고서에서 한국의 전체 사망률 35%에 비하여 공주의 유아복지 혜택을 받는 유아 사망률은 5%라고 보고할 정도였다. 이 사업은 다른 선교지역인 서울과 제물포, 평양, 해주로 확대되었다. 공주유아복지사업은 다양하게 진행되었다. 소녀들에게는 위생학을 가르쳤고, 1927년 봄에는 공주유아복지센터(영아원)에 공중위생간호 학원(Post-Graduate Course)이 설립하였다. 또 다른 새로운 특색 사업으로 산전(産前) 클리닉과 조산(Prenatal and Midwifery Care) 프로그램이 있었다. 산전클리닉과 출산, 출산 후 섭생과 신생아 돌보는 일, 우유 급식, 탁아소 그리고 더 나아가서 사업에 필요한 인력 양성까지 자연스러운 시스템으로 진행되었다. 공주의 유아복지와 우유급식 사업은 1932년 공주에 있던 도청이 대전으로 옮겨가면서 대전지역에도 공주와 똑같은 사업을 실시하게 되었다. 공주와 대전에 세워진 유아복지센터를 보딩은 ‘Baby Life Saving Stations’(유아생명 구조본부)라고 불려지기를 원했다. “더 나은 건강과 더 행복한 가정을 위해 손을 펼치고, 더 나아가 지역사회를 도우며 영향력을 끼치게 하기” 위해서였다. 선교사 보딩의 ‘아기 생명 사랑’에는 국경이 없었다. 암울했던 민족적 상황에서 버려지고 방치되어 있던 충남을 아우르는 공주와 대전지역의 조선아이들 뿐만 아니라, 부모의 손길이 미치지 못했던 일본아이들까지 돌봄으로써 그리스도의 사랑을 몸소 실천하였다. Maren Bording, who is woman missionary, was sent to Gongju in Korea by Woman's Foreign Missionary Society of The Methodist Episcopal Church in 1923. Arriving at Gongju, She began to do medical work with Dr. Norman Found who had performed medical missionary therein. During her medical missionary, she witnessed Korean babies who could not survive daily life for the lack of food. She launched infant welfare project in earnest in 1924 just one year after she came in Korea. So she opened baby clinic center at a small room in the hospital. She mainly took care of children's disease and health and kept round visiting care. But there are many children who died of malnutrition and serious disease which could not be controlled by her. She figured out new work, milk station project, to protect children's health from malnutrition. She reported, “I found that if children from 1 year to 3 year have one or two bottle of milk a day they can live well without serious disease. so finally my project may be successful.” Under this situation Milk Station opened formally in the first time at korea in 1926. The performance of Milk Station and children's welfare project in Gongju was great. By the 1927 report just 2 or 3 years after the project began, the children's death rate of Gongju was very little 5 % compared with 35 % total in korea. This project which could be good model at that time extended to seoul, Jemulpo, Pyongyang and Haeju and was kept going well variously. Girls could learn hygienics by the project and Post-graduate course of public hygienics nursing was established early in 1927. Also there are other new character projects like prenatal clinic and prenatal and midwifery care. Prenatal clinic and childbirth, care of health after delivery and care of baby, supply of milk, kindergarten, and furthermore education of manpower and so forth worked successfully with good system. The Gongju project was carried out in Daejun similarly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seat of a provincial main office from Gongju to Daejun in 1932. Maren Boarding wanted baby welfare center to be called ‘Baby Life Saving Stations’ so that it may help and influence on the local community for the better health and family. There is no National boundary of love for the baby's life. She practiced christ's love by herself by caring children who were korean or japanese abandoned from society in Daejun and Gongju under the circumstance of National darkness and frustration.

      • KCI등재

        글로벌 화장품의 포장디자인과 구매의도에 관한 연구

        황미숙(Hwang Misuk),이춘수(Lee Chunsu)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7 인문사회과학연구 Vol.18 No.3

        본 연구의 목적은 글로벌 화장품 회사의 제품 포장 디자인이 소비자의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화장품은 한국에서 가장 많이 수출되는 품목 중 하나이다. 한국 BB 크림은 한국 화장품을 세계 화장품 시장에 널리 알리는데 크게 기여하였다. 이러한 한국 BB 크림 화장품의 중요성에 비추어 다음과 같이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BB 크림 포장 디자인을 시각적 요인 크기 및 모양)과 정보 요인 브랜드 이름, 유효일)으로 분류하였다. 또한 본 요소와 소비자 구매 의도 간의 관계에 중점을 둔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 외에도 화장품의 서비스 품질 신뢰성)이 소비자의 구매 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시각적 요인 중 포장 디자인의 크기와 모양이 모두 소비자의 구매 의도와 강한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패키지 디자인의 정보 요소 중 브랜드 이름만이 소비자의 구매 의도와 밀접한 관계가 있었다. 또한, 화장품의 서비스 품질 신뢰성)이 소비자의 구매 의도에 긍정적 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밝혀졌다. 이를 통하여 한국 BB 크림에 대한 소비자의 시각과 향후 마케팅 전략과 소비자의 구매의도를 높일 수 있는 단서가 제공되었다고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global cosmetic companies’ product package design on consumers’ purchase intentions. Cosmetics are one of the most commonly exported items from Korea. Korean BB cream has contributed greatly in making Korean cosmetics popular in the global cosmetic market. This study classifies the BB cream package design into visual factors size and shape) and informational factors brand name, valid date). It focus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ose factors and the consumers’ purchase intentions. In addition to this, it also focuses on whether the cosmetic’s service quality reliability) gives a positive effect to the consumers’ purchase intention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that out of the visual factors both the size and shape of the package design had a strong relationship with the consumers’ purchase intentions. However, out of the informational factors of the package design, only the brand name had a strong relationship with the consumers’ purchase intentions. In addition, it turned out that the cosmetic’s service quality reliability) gives a positive effect to the consumers’ purchase intentions. Finally, this study also discusses the theoretical and managerial implications of the study and provides suggestions for the future studies.

      • KCI등재

        앨리스 샤프(Alice H. Sharp)의 충청지역 여성 전도사업과 교육사업

        황미숙(Hwang Mee-Sook)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2017 한국기독교와 역사 Vol.- No.47

        본 논문은 1908년에 재내한하여 1939년까지 충청지역 여성 전도사업과 교육사업을 위해 헌신했던 앨리스 샤프 선교사의 선교 업적을 정리하고자 하는 목적을 가지고 작성하였다. 앨리스 샤프가 충청지역에서 벌인 선교 사업은 크게 순회전도여행, 사경회, 전도부인 양성, 그리고 교육 사업이었다. 앨리스 샤프는 1908년 공주로 돌아오자마자 순회전도 여행을 시작하였다. 1년 중에 상반기에는 사경회를, 하반기에는 순회전도여행에 집중하였다. 1909년만 해도 73곳의 교회와 마을을 방문했다. 쉬지 않고 순회전도활동을 한 결과, 선교사업을 재개한지 5년만인 1913년에는 동 지방에 여성교인이 남성교인의 수를 넘어서는 놀라운 사실을 기록했다. 앨리스 샤프가 여성선교를 착수한 지 12년만인 1916년, 마침내 남자들이 독점하고 있던 ‘홀아비 교회’를 탈피하게 되었고 여자교인수가 남자교인수를 넘어서게 되었다. 사경회 진행 횟수는 해마다 늘어 1929년에 이르면 49회에 달했다. 1916년에는 ‘가정성경공부 과정’(Home Study Course)을 개설했다 전도부인 양성 훈련 역시 중요한 사역이었다. 앨리스 샤프는 1909년 공주에서, 1910년에는 논산에서 전도부인 양성을 위한 강좌를 열었다. 1916년에 ‘십일조회(날연보, tithing class)’를 개설하였고 1922년에 공주에 성경학원이 세워졌다. 앨리스 샤프와 더불어 충청지역 여선교사들이 추구했던 여성교육의 긍극적 목적은 ‘여성차별적인 무지한 관습과 미신에서 진리로의 해방’이었다. 이를 위해 설립한 학교는 공주·논산·강경을 포함하여 최소한 20개가 넘었다. 또한 강경·홍성·진천·대전·논산 등지에 유치원도 설립하였다. 앨리스 샤프를 통하여 복음과 교육을 받아들인 충청지역 여성들은 하나님의 자녀로서 “새로운 여자가 되었다”고 고백하며 여성으로서의 정체성을 찾아갔다. 앨리스 샤프는 실로 ‘충청지역 여성교육의 어머니’라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This article has written to describe the achievement from mission work by Ms. Alice Sharp which had been conducted in Chung-cheong region where she devoted her potential from 1908 to 1939. Mostly, Sharp"s Mission work primarily consist of Mission Itinerating travel over the work, Bible study, Women Training and education work. Soon after she came back to Kong Ju, she concentrated on mission tour to visit 73 churches and village on 1909. From this committed effort, five years after she re-started her mission work, the number of women believers outstanded that of men, surprisingly. The ‘widower churches’ had broken from the convention and soon became Women"s church. Bible study was taken place more and more frequently so that its number increased about 49 times a year in 1929. Moreover in 1916, ‘Home Study Course’ had been opened. Training Bible women was also the very important work of her mission. Sharp had opened the lecture at Kong Ju, 1909, but also started at Non-san next year. Furthermore, She opened Tithing class in 1916 and established Bible school at Kong Ju. Including Sharp, Female Missionaries" ultimate purpose on same age was ‘Liberation from ignorant tradition and convention and Advancement to Holy Truth’. For this goal, missionaries established more than twenty schools and kindergartens all around in Chungcheong region. Those who became Christian through Sharp’s effort confessed that they"ve born in new way and tried to find their own identity. To sum, It would be not an exaggeration that Mrs. Sharp is the ‘Mother of Education in Chung-cheong’.

      • KCI등재
      • KCI등재

        현상학적 신체의 살의 해석과 춤 움직임의 특성

        황미숙(Hwang, Mi Sook),권오륜(Kwon Oh Ryun) 한국체육철학회 2003 움직임의철학 : 한국체육철학회지 Vol.11 No.1

        Taking consideration into phenomenal body enables us to realize that body itself is a way of expressing our entities and that our bodies are physically embodied existence. My body is both an embodiment and a manifestation of my entity. Moreover, the manifestation of body makes awareness of movement to be interpreted as movement itself. Body enables human beings to deliver and materialize each own belief through bodily movements ranging from absolute stillness to insane acts. Body is not able to make any movement without mind, a driver of mentality, and vice versa. Subsequently, exercise of phenomenal body creates a world, brings flesh to inanimate objects and thus leads body itself to center on the objects. This suggests flesh of body exists as the ground of all kinds of things and primitive activities of flesh turn out to be another way of manifestation. Physique, phenomenal body, is a physical entity and manifestation of existence. Accordingly, all kinds of movements deliver consciousness and at the same time they have a meaning of motion itself. Dance as a phenomenon embodies spirit in phenomenon itself, and further, pushes itself toward dynamic movements of body, according to features and perception of bodily experiences. With free expressions of body, dance develops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introduces extensive values of art, leading human beings to the world of imaginary experience and understanding and to view the phenomenon from an internal aspect of individuality that is perceptible and an external aspect of concrete ideas. This implies neither body nor movements exist without a physical shape. To perceive and understand dance is to deem both stillness of dancing body and dynamic body as time and spacious configuration. The researcher believes dance can be deemed as a creature of expressing actions should flesh as phenomenal body head toward flesh as existence. From the perspective of body, dance as a phenomenon embodies consciousness in phenomenon itself. Existence of physical body, a unity of body and consciousness, is a movement that goes to where body itself is inclined to proceed and indwells in body. In conclusion, actions of flesh that expresses us in all aspects, by themselves, bring meanings to us and are one way of expression. Flesh therefore, is interpreted as flesh as expression and further, motions as dance-based movements that are essentially-expressed flesh are regarded as consciousness itself.

      • KCI등재
      • KCI등재

        1920년대 내한(來韓) 여선교사들의 공중보건위생과 유아복지사업

        황미숙(Mee?Sook Hwang) 한국기독교학회 2017 한국기독교신학논총 Vol.103 No.-

        본 논문은 여성선교사들이 벌인 선교사업 중에 1920년대 공중위생보건사업과 유아복지사업에 대하여 그 내용과 성과 및 역사적 맥락을 살펴보고자 작성하였다. 19세기 말 내한하기 시작한, 초기 기독교(개신교) 선교사들은 교육과 의료를 중심으로 선교활동을 하기 시작하였다. 여성과 어린이에 대한 의료 활동은 정동 보구여관, 동대문 부인병원, 평양 여성병원(후에 평양연합기독병원)을 중심으로 시작되었다. 초기 여성과 어린이를 위한 의료사업이 1920년대에 이르러 공중보건위생사업과 유아복지사업으로 확장되었다. 공중위생보건과 유아복지사업은 의사나 간호사 자격을 가진 여선교사들이 한국인의 위생상태와 유아사망률의 심각성을 인식한 데서 비롯되었다. 특히 유아들은 불결한 환경에 노출되기 쉬운 약자였기 때문에 공주보건위생사업과 유아복지사업(Public Heath and Child Welfare Work)은 함께 진행되었다. 내한 여선교사들은 서울을 비롯하여 인천, 해주, 평양, 영변, 공주, 개성, 원산, 춘천 선교 스테이션에 사회복지관을 설립하여 각종 복지사업을 벌였다. 공중보건위생사업은 서울 태화복지관에서 1924년 1월 25일 선교사 로젠버거(Elma Rosenberger)와 한국인 간호사 한신광에 의해 처음 시작되었다. 사업의 내용은 크게 특별강연을 통한 계몽사업과 건강검진사업 두 가지 방향으로 진행되었다. 유아복지사업은 1924년 1월 공주 스테이션의 마렌 보딩(Maren Bording)에 의해서 처음 시작되었다. 사업의 내용은 건강아기 진료소, 산전관리, 가정방문, 학교건강검진, 위생 강연, 자모회, 무료 목욕소, 우유급식사업, 1년에 한 번 간호사들을 위한 건강 학원, 예방접종, Out–patient obstetrical, 육아법에 관한 간호와 교육, 베이비 주일 등 다양했다. 1930년대에 이르러 사업은 교파를 초월하여 확대되었으며 사업의 성과가 나타났다. 「동아일보」 1926년 8월 24일자에 보도된 5세 미만 사망률이 49.6%였던 것이 유아복지의 혜택을 받은 곳의 유아사망률은 5%에 불과할 정도로 현저하게 성과가 나타났다. 1931년 10월 14일자 「기독신보」는 마마와 호열자로 죽는 50세 전후의 사람들이 현저하게 줄고 있을 정도로 질병이 감소하였다고 보도하였는데, 치료방법과 예방법 실천 때문이라고 하였다. This article aims to conduct research on the contents and fulfilment of public health campaign and child welfare program driven by 1920’s female Protestant missionaries and to analyse the historical contexts. In the late 19th century, the early Protestant missionaries who arrived in Korea started their missions especially focused on education and medical services. The medical services for women and children were offered in the Poku Nyo Kwan, East Gate Women’s hospital, and Pyeong-yang Women’s Hospital. Since female missionaries with medical licenses had been shocked by severe hygiene problem and death rate of Korean children, these services had been extended up to national public health programs and child welfare services. Especially, the children were easy to be exposed to unclean environment. For this reason, public health and child welfare work had to be progressed together. In January 25, 1924, Elma Rosenberger and Han Sin–kwang(한신광) started their work at Seoul Tai Wha Welfare Center(Social Evangelistic Center). Early program was divided into enlightenment lectures and medical checkup for Koreans. Later, the female missionaries in Korea established social welfare center at mission station in Seoul, Incheon, Haeju, Pyeongyang, Yeongbyeon, Gongju, Gaesung, Wonsan, and Chuncheon. Moreover, Maren Bording concentrated her effort on the children’s welfare program from 1924 on. Her work included welfare program such as baby clinic, prenatal, home visiting, school health examination, hygiene lecture, mother’s class, free bath, milk station, nurse academy(annual), vaccination, out–patient obstetrical, maternity class, baby week, etc. In the 1930s, welfare work expanded beyond denomination and made a great fulfillment. According to 「기독신보」 published in October 14th, 1931, death rate around age 50 who were killed by smallpox and cholera remarkably decreased thanks to medical prevention and cure. Furthermore, as reported in 「동아일보」, August 24th, 1926, the infant mortality rate dropped drastically from 49.6% to only 5% in the area which had been served by children welfare progra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