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우수등재

        행정정보 시스템의 성과와 그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홍형득,장시영 ( Hong Heung - Deug,Jang Si - Young ) 한국행정학회 1994 韓國行政學報 Vol.28 No.4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공공기관에서 개발되어 사용중인 정보시스템을 대상으로 행정정보시스템의 성과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 정보시스템의 상황적 요인이 이들간의 관계에 매개적인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다. 행정정보시스템의 성과는 사용자 만족도, 시스템 사용도, 근무환경개선 및 기술적 성공도 등 네가지로 측정하였고, 영향요인은 크게 사용자요인, 전산요원요인 및 전산패키지요인을 설정하였다. 상황요인은 정보시스템의 발전단계를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결과 사용자들은 행정정보시스템의 성과에 대하여 대체로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었으나 만족도에 비하여 실제 사용정도는 다소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행정정보시스템의 발전단계는 대체로 4단계 중 2-3단계의 수준을 보이고 있었다. 행정정보시스템의 성과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사용자 참여로 분석되었으며, 상황요인이 성과와 영향요인간의 관계에 매개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정부출연연구기관의 임무지향형 혁신체제 구축방안에 관한 연구: 인식분석을 중심으로

        홍형득,김경환,왕재선 한국공공관리학회 2023 한국공공관리학보 Vol.37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임무지향형 혁신의 개념적 이상을 기준으로 한국 정부출연연구기관의 임무지향형 혁신의 실제를 분석함으로써, 정부출연연구기관의 임무지향형 혁신체제 구축방안에 관한 정책제언을 제시하는 것이다. 임무지향형 혁신체제는 국가적 난제해결을 이의 임무로 설정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한 과학기술 혁신계획이나 R&D 사업등을 포함한다. 임무지향형 혁신체계에 대한 인식분석은 과학기술분야 정부출연연구기관 소속 구성원을 대상으로 임무지향형 혁신체제에 대한 인지도, 그리고 정부출연연구기관의 임무지향성 정도 등에 대한 평가 등을 조사・분석하였다. 인식분석 결과에 따르면, 출연연의 임무 선정에서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할 요소는 사회・경제적 난제와의 관련성, 사회경제적인 영향력, R&D 혁신을 통한 시스템적 변화 가능성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임무지향적 혁신정책 추진체계 구축과 관련하여, 장기적 관점, 임무 중심의 조직구성, 다양한 부문・행위자 간 네트워킹, 다학제적 접근, 혁신 중심의 의사결정 등이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할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출연연의 임무지향형 혁신체제 구축방안으로 출연연의 목표와 임무 설정, 출연연의 역할 재정립, 추진체계로서의 거버넌스 혁신, 정책수단으로서의 모듈식 정책, 전주기 시민참여의 필요성 등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policy recommendations for the transition to a mission-oriented innovation system, based on the conceptual understanding of mission-oriented innovation and the analysis of practical examples of mission-oriented innovation within government funded research institutes. Mission-oriented innovation policy refers to science and technology policies aimed at addressing national challenges and achieving mission objectives, including relevant technology innovation plans and R&D projects. The empirical analysis focused on perceptions of mission-oriented innovation policy and examined how individuals perceive the level of mission orientation within government affiliated research institutes. Factors considered crucial in mission selection were ranked highest in terms of relevance to socio-economic challenges, followed by socio-economic impact and potential for systemic change through R&D innovation. Concerning the establishment of a mission-oriented innovation policy implementation framework, a long-term perspective was emphasized. Organizational structuring around missions, networking among diverse sectors and stake-holders, interdisciplinary approaches, and innovation-centric decision-making were identified as significant considerations. As recommendations for government-funded research institutes' mission-oriented innovation policy and system development, this study proposes the necessity of defining agency goals and missions, redefining roles, innovating governance structures as implementation frameworks, modular policies as policy tools, and incorporating continuous citizen engagement throughout the policy cycle.

      • KCI등재

        영국의 과학기술행정체제와 투자구조의 변화와 특징분석

        홍형득 한국자치행정학회 2014 한국자치행정학보 Vol.28 No.1

        국가의 과학기술정책의 변화는 과학기술행정 및 연구개발 수행체계의 개혁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으며, 이 러한 과학기술행정 및 연구개발 메카니즘에 대한 파악은 국가혁신체제와 정책모형 및 혁신주체들 간의 동태 적인 네트워크와 과학기술 투자에 대한 분석을 통해 가능하다. 본 연구는 최근 영국정부의 빠른 고등교육 및 과학기술관련 정책부처와 연구지원기관인 연구회(Research Councils)의 변화, 그리고 과학기술투자의 특징 을 살펴봄으로서 영국의 과학기술정책 기조의 변화와 특징적인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최근 영국의 과학기술행정체제와 과학기술투자구조의 변화의 특징은 2000년대 들어 보수당과 노동당간의 잦 은 정권교체를 이루면서 빠른 구조적 변화를 해오고 있다. 과학기술행정체제의 변화는 특히 정권의 과학기술 정책방향에 따라 고등교육, 과학기술 및 산업관련 부처들의 잦은 통합과 분리가 이루어진 것이 특징이다. 둘 째는 영국 과학기술행정체제의 특징중의 하나인 정부와 연구수행기관 사이 독립적인 중간조직인 연구회 조직 의 역할과 변화이다. 연구회를 통해 전통적인 기초학문에 대한 강조와 기술의 산업화와 대형연구장비의 지원 과 공동활용을 위한 다양한 노력들이 이루어진 것이 특징이다. 아울러 이들 정부기관과 연구회들의 과학기술 투자구조를 통해 이들 기관들의 역할비중의 파악이 가능했다. 영국 과학기술정책의 주요방향은 대학을 중심으로, 성공적으로 구축한 과학기반을 어떻게 산업계와 혁신적으 로 연계시킬 것인지에 집중되어 왔으며 이를 위해 산학간 공동연구의 지속적인 지원과 과학기술 예측 프로그 램의 도입 및 신기술 창업의 육성 등을 추진해 오고 있다.

      • KCI등재

        거버넌스 관점에서 우리나라 국가혁신체제(NIS)의 변화와 특징 분석

        홍형득 한국정부학회 2007 한국행정논집 Vol.19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외형상 많은 변화를 보여주고 있는 우리나라 국가혁신체제를 거버넌스의 관점에서 특징의 분석과 평가를 통하여 그 문제점과 향후 발전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거버넌스적 관점은 국가혁신체제에서의 다양한 혁신주체들간의 조정과 참여메커니즘 분석에 초점을 두었다. 조정은 다시 수평적 조정과 수직적 조정메카니즘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모든 시대와 장소에 적용되는 보편적인 거버넌스는 존재하지 않으며, 각 사회적 맥락과 정책특성에 적합한 거버넌스의 이해와 도입이 필요하다. 거버넌스 관점에서의 국가혁신체제의 분석은 체제내 혁신주체들간의 조정과 참여메카니즘을 통한 전체의 조화를 어떻게 이룰 것인가가 중요하다. 따라서 국기혁신체제의 거버넌스에서도 정책만이 아니라 과학기술의 우선순위, 전략, 활동 및 결과를 결정하는 다양한 혁신주체들 사이의 상호작용에 초점을 두어야 한다. 우리나라의 국가혁신체제에서의 수평적 조정메카니즘은 조정기관의 역할 불명확성과 조정기관이 뒤섞여 있는 제도과잉과 과잉조정이 문제이며, 지나치게 복잡한 상위지배구조로 실질적인 조정효과가 높지 않고, 연구현장의 자율성 침해와 거래비용의 과다 등의 문제점이 있다. 수직적 조정메커니즘은 최근 연구회와 연구개발사업 구조개편 등으로 변화를 시도하고 있으나 연구수행주체들이 정부부처로부터 직접적인 감독통제를 받는 경영지배구조하에 있으며, 특히 출연연구기관들의 경우는 매우 다중인 평가 및 감독구조를 가지고 있어 연구의 창의성과 자율성을 저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참여메카니즘에 있어서의 문제는 과학기술정책과정에 정부, 과학기술인, 시민 모두가 참여하는 구조가 제도화되어 있지 못하고, 시민단체의 전문성 결여 등의 문제점이 있다.

      • KCI등재

        공동연구프로그램 관리의 성공요인에 관한 사례연구 : EUREKA프로그램을 중심으로 with EUREKA Program

        홍형득 한국정책학회 2002 韓國政策學會報 Vol.11 No.4

        본 연구는 공동연구개발프로그램으로서의 EUREKA프로그램의 관리사이클(Program Management Cycle)을 체계적으로 분석함으로써 특징적인 프로그램관리전략과 프로그램관리의 성공요인을 찾고자 하였다. EUREKA프로그램이 성공적으로 운영되어 온 것은 유럽연합의 회원국 중심으로 이루어진 국제공동연구프로그램이라는 특수성도 있지만 상향적 접근(Bottom-Up)과 네트워크(Network)로 대표되는 특별할 프로그램관리 전략과 방법이 있었기 때문에 가능했던 것으로 보인다. 상향적 접근방법은 본 프로그램의 가장 기본적인 관리철학으로 프로그램관리의 관료화를 최소화 하고, 자율적인 조직운영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국가간 및 참여주체간의 네트워킹 형성을 위해 협력기관과의 잦은 모임을 통한 원활한 커뮤니케이션을 유도했고, 인간적인 관계가 형성되도록 하였으며, 공식적인 조직보다도 프로젝트 수행기간 중 생긴 인간적인 관계와 커뮤니케이션 연계가 효과적인 협력을 창출하였고 이러한 것들이 프로그램관리의 주요 성공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본 프로그램은 국가마다 다른 프로그램 운영체계를 가지고 있어서 전략적인 추진이 어렵고, 특히 평가결과의 활용측면에 있어서는 정책결정에의 피드백 메커니즘이 정립되어 있지 않다는 점 등이 본 프로그램이 가지고 있는 본질적인 한계인 것으로 나타났다. This article aims to finds out the distinctive strategies and the success factors of the program management of EUREKA Initiative. Through the systematic analysis of the program management cycle with learning loop, the success factors of EUREKA, an international cooperative R&D program are found. EUREKA mechanism is normally described as a bettor-up initiative with its flexibility and lack of bureaucracy. There is no central budget and only a very small central secretariat coordinating decisions taken by representatives of the Member States. This paper insists the success factors are the decentralised structure, bottom-up approach, flexibility and lack of bureaucracy in the program management. In the mean while, the program has some intrinsical weaknesses like the various management systems by each member country. and the lack of an adequate system to follow-up and learn from evaluation finding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