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흰털 오가피 추출물의 항아토피 피부염 효과

        홍창의(Chang-Eui Hong),유수연(Su-Yun Lyu)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23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52 No.12

        Acanthopanax divaricatus var. albeofructus is known for its potential health benefits and has been used in traditional medicine.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 divaricatus var. albeofructus extracts on the secretion of atopic dermatitis-related cytokines and immunoglobulin E. Extracts of fruit, leaves, roots, and stems were prepared. All four extracts significantly inhibited the secretion of inflammatory cytokines, including those of interleukin (IL)-8 and tumor necrosis factor-alpha, and the secretion of immunoglobulin E. In addition, extracts dose-dependently increased Th1 cytokine (IL-2) levels. Taken together, our findings suggest that A. divaricatus var. albeofructus extracts might be able to improve atopic dermatitis by modulating the immune system.

      • KCI등재

        버스광고에 대한 인식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홍창의(Hong, Chang-Eui) 한국OOH광고학회 2018 OOH광고학연구 Vol.15 No.1

        지방 도시에서 대중교통은 시내버스가 주로 담당하고 있으며, 대도시와 달리 지하철이나 경전철이 없는 상황에서 시내버스는 독점적 대중교통수단의 지위를 누리며, 아직까지 상황은 열악하며, 지방도시에서의 시내버스 광고는 아직 걸음마 수준이다. 버스정보화와 전국 교통카드 호환, 그리고 환승편리성 제고와 같은 국가적 과제 속에서 버스광고의 활로를 어떻게 찾고, 지역적으로도 버스광고 효과를 어떻게 증진시킬 것인가를 고찰하여 지방 도시에서의 버스광고 인식 개선 방안을 모색한다. 특히 강릉시 사례를 중심으로 중앙정부와 지방정부에서 시행하는 일반적인 버스 정책과 함께, 버스광고의 확대와 효과 증진에 관한 보다 구체적인 활성화 방안을 찾는 것이 본 논문의 목적이다. 강릉시 496개소의 지붕이 있는 버스정류장에는 광고 설치가 가능하며, 버스도착 안내시스템인 BIT가 설치되어 있는 82개소의 버스정류장에는 다양한 디지털 광고까지도 가능하다. 평균 중복도는 15.53으로 분석되어 승객수와 통행 인구의 밀집성과도 관계가 깊어, 중복도가 높은 노선의 차량의 버스외부 광고는 그 효과가 중복도가 낮은 노선보다 훨씬 클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노선굴곡도는 1.34로 분석되고 광고관점에서는 직선으로 최단거리만을 버스가 운행하는 것보다 오히려 구불구불 여러 지역을 도는 것이 보다 넓은 지역에 버스광고를 노출시킬 수 있으며, 차내 승객을 보다 오랜 시간동안 차내에서 머무는 시간을 지속시킴으로써, 버스 차내 광고의 노출 시간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설문조사를 통해 버스 이용 시, 광고를 가장 많이 접하는 곳이 어디냐는 질문에 가장 많은 응답은 「버스차량 외부」로 전체 중 64%를 차지하고, 「버스 좌석 앞면」이 20%, 「버스 차량 내 방송 광고」가 16%, 「버스 출입구 및 창문 위쪽(노선도 옆)」이 12%, 가장 적은 응답은 「버스 정류장」이며, 전체 중 8%로 나타났다. 승객들은 평균 약 10분 정도 승강장에서 대기하는 것으로 분석된다. 아직 버스 쉘터 광고가 익숙지 못한 환경에서 시민들의 의식은 일단 시각적으로 그리고 공간적으로 상대적 만족도는 높은 편이나, 광고의 콘텐츠 측면에서 호감도나 쉘터 광고가 소비자의 구매에 영향을 주는 부분까지는 아직은 시기상조인 것으로 나타났다. 지방에서 버스광고라는 단일 대상만을 몰입하여 발전시키려 한다면, 곧바로 한계에 부딪치게 된다. 우선적으로 일단 버스 산업을 일으켜 세우고, 버스광고의 활성화를 모색해야 한다. 또한, 버스 승객을 늘려야 하고 다른 교통수단 이용으로부터 버스 교통 이용자로의 전환을 꾀해야 한다. 그러므로 버스 본연의 역할인 이동 서비스 질의 제고와 버스라는 교통수단의 경쟁력 강화가 버스광고의 활성화의 전제되어야 한다는 결론이다. Unlike large cities, local small city buses enjoy the status of exclusive public transport, and the situation is still poor. Advertising of city buses in local cities is still a toddler level. In order to find out how bus advertising works in the national tasks such as bus informationization, nationwide transportation card compatibility, and convenience of transit, we will examine how to promote bus advertising effect locally. In particular,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find out more concrete ways of activating bus advertising and enhancing its effect, along with the general bus policy implemented by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especially in the case of Gangneung. Advertising can be installed at bus stops with 496 roofs in Gangneung, and various digital advertisements are available at 82 bus stops where BIT, a bus arrival guide system, is installed. The average degree of redundancy is analyzed as 15.53, which shows that the number of passengers is closely related to the density of the trips. Therefore, it is found that the effect of the bus outside advertisement on the vehicles with high redundancy is much greater than the routes with low redundancy. Bus route curvature is analyzed to be 1.34. From the advertising point of view, it is possible to expose the bus advertisement to a wider area than to travel by only the shortest distance in a straight line rather than by the bus. The duration of the advertisement in the bus car can be increased. The most common answer to the question was "Where is the busiest place to contact with the bus advertising?" is the bus outside advertisement accounted for 64% of the total, while the "buses front" accounted for 20% %, "bus door and window top (side of route map)" by 12%, the least response was "bus stop" (8%). Passengers are expected to wait about 10 minutes on the platform. In the environment where bus shelter advertising is unfamiliar, the citizens" consciousness is relatively high in visual and spatial satisfaction, but it is still early in the aspect of the content of the advertisement and the part where the shelter advertisement affects the purchase of the consumer. If one tries to develop and immerse only a single object of bus advertising in the province, you will soon face the limit. First of all, we should raise the bus industry first and look for the activation of bus advertising. In addition, bus passengers should be increased, and the transition from other transportation means to bus traffic users should be attempted. Therefore, it is concluded that enhancement of the quality of mobile service, which is the role of buses, and the enhancement of competitiveness of buses, should be premised on activation of bus advertising.

      • KCI등재

        차량의 터널 통행 공공안전 정책에 관한 고찰 - 가스차량 통행을 중심으로 -

        홍창의(Hong Chang Eui) 한국공안행정학회 2016 한국공안행정학회보 Vol.25 No.1

        국내에 터널이 많아지고 있으며 터널 내에 가스차량의 통행도 증가하고 있다. 터널 내의 공공안전을 도모할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가스차량의 터널 내 통행안전 제고를 위한 올바른 공공안전 정책 방향설정에 대해 고찰해 보고자 한다. 사실 터널사고의 대부분은 사소한 사건으로부터 비롯된다. 차량 단독의 유고(incident)나 차량들 간의 충돌내지는 추돌의 교통사고로부터 터널화재는 시작된다. 터널 내에서 화재사고가 시작되면, 화재에 따른 연기와 정전 때문에 출입구를 찾지 못해 인명사고가 발생하기 쉽다. 더구나 폭발성이 강한 가스차량이 터널 내에서 화재가 나고 폭발한다면, 그 사고 피해는 액체연료 차량 사고보다 훨씬 더 심각한 수준이 될 개연성이 높다. 우리나라는 시내버스가 압축천연가스(CNG) 버스로 대부분 바뀌고 있고, 거의 모든 택시가 액화석유가스(LPG) 차량으로 구성되어 있다. 우리나라 상황에서 압축천연가스(CNG) 버스 폭발사고가 터널 안에서 발생할 위험성이 상존하고 있다. 그러므로 가스차량 우대정책으로 인해, 터널 안에서 압축천연가스(CNG) 버스가 폭발하고 화재가 발생하여, 수십 명의 사상자가 야기되는 대형 참사는 미연에 방지해야 한다. 선진국에서는 이미 터널 내에 CNG나 LPG 같은 가스차량의 통행을 규제하고 있다. LPG 등의 가스차량들이 터널의 밀폐된 상황과 결합되면 화재와 폭발의 위험성은 더욱 더 커질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그래서 외국에서는 시민의 안전을 위하여, 가스차량에 대해 통행은 물론이고 주차까지도 규제하는 각종 법적 장치를 마련해 놓고 있다. 우리나라는 에너지 분야, 자동차산업, 정유 산업, 환경 분야 그리고 교통 분야가 유기적인 정책으로 연계되지 않고 따로따로 겉돌고 있다. 그리고 더 심각하게 바라보아야 할 관점은 공공과 시민안전 분야가 외면당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전국적으로 보면, 버스는 아직도 대중교통 수송분담률 1위의 교통수단이다. 버스는 환경문제만 고려할 사항이 아니고 교통안전 등과 같은 문제에 관한 종합적 재검토가 필요하다. 최근 우리나라 가스차량의 보급 확대로 인한 통행량 증가를 감안한다면, 위험노출 빈도가 점점 많아지고 있다. 이에 인명과 재산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주요 터널 내에는 가스차량 통행을 규제하는 조치가 시급하다. 특히, CNG 버스의 노선을 가급적 터널을 회피하도록 하는 정책이 필요하다. 또한, 방재시설을 대폭 확충해 대형 화재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필요가 있다. 화재가 발생하면 연기를 피해 신속히 대피해야 하지만 과거 건설된 터널 중에는 대피통로가 미흡한 경우가 많다. 격벽분리형 대피통로나 슬림형 JET Fan 등의 시설을 추가로 설치하여 안전성을 높이는 방안도 고려해야 한다. 또한, 터널연장기준 방재등급에 관해서, 도심지 터널은 고속도로 터널에 비해 상대적으로 길이는 짧지만 주변에 고층빌딩이나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 시설이 밀집해 있기 때문에, 사고 시 위험이 매우 큰 만큼, 위험도지수를 상향조정해 방재등급을 높이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그리고 운전자의 터널 내 안전운전에 대한 교육을 강화하는 것이 중요하다. 터널사고의 대부분은 안전거리 미확보, 과속 등 운전자 부주의에서 비롯되고 있으므로, 사고 시에 운전자 스스로 안전을 지키려는 노력을 훈련시켜야 한다. 터널 내 대형 사고를 방지하고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터널 내에서 유사시 대피하는 요령을 국민들이 숙지할 수 있도록 정부는 홍보 프로그램을 준비해야 한다. 터널 내 공공안전을 위한 종합적인 정책 수립이 필요하다. The number of tunnel is being increased. And there are many gas vehicles in tunnel. It is necessary to promote the public safety in the tunnel. Therefore, in this paper, public safety policy directions will be considered for improving traffic safety about gas vehicle s operation in tunnel. Most of tunnel accidents originate from minor incidents. Tunnel fire from the crash of a collision accident between vehicles or vehicle alone begins. When the fire starts in the tunnel, unable to find the exit because of the smoke and power outages due to fire, accidents with serious damage and casualties are likely to occur. If this is a strong explosive gas vehicle fire in a tunnel, accident damage is probable to be a much more serious level higher than normal vehicles case. The new policy about the public safety in tunnel is necessary to establish for the prevention of accident. In Korea, almost city buses are changing now to the compressed natural gas(CNG) bus and all taxis are equipped with the liquefied petroleum gas(LPG) engine. Especially bus s explosion and fire in the tunnel should be prevented. In developed countries, each government already regulate the passage of gas vehicles such as CNG or LPG in the tunnel. Gas vehicles are very dangerous if the situation coupled with the risk of fire and explosion in the tunnel, such as CNG or LPG. Therefore, for citizen s safety, the passage for gas vehicles can arrange various legal instruments in the underground place, restrictions even as well as parking in developed countries. In view of the increased traffic caused by the expansion of gas vehicles, the risk exposure is becoming more and more frequent in Korea. In the main tunnel to minimize the damage of property and human life, governmental action is urgently needed to regulate the gas vehicle traffic. When planning the routes of CNG buses, The policy to avoid tunnels as much as possible is necessary. In addition, emergency safety facilities in tunnel are highly requested for the fire s rescue. Policies related to tunnel traffic management improvements are needed. In addition, the disaster prevention level based on ratings tunnel extension, it must be improved. Since the high-rise building and apartments are clustered around downtown tunnel, it is relatively short length compared to the tunnels of the highway which is outside the city but it has high risk of accident. Therefore, the risk index of downtown tunnel should be raised regardless of tunnel length. And it is important to enhance education on safe driving in tunnels. Since most of tunnel accidents is derived from a safe distance which is not enough, such as speeding driver s carelessness, in order to defend themselves safe in case of an accident, the driver must be trained to the effort. To prevent serious accident and to minimize damage in tunnel s accident, the efficient method to evacuate people in need within the tunnel so that they can familiarize will be developed and the government must prepare to promote the program about safety education. A comprehensive policy for the tunnel within the public safety needs.

      • 양양군 비수익 버스노선 적자지원금 산정방안에 관한 연구

        홍창의(Chang Eui Hong),김진국(Kim, Jin-Guk) 대한교통학회 2004 대한교통학회 학술대회지 Vol.46 No.-

        현재 양양군은 인구가 감소하고 있는 반면, 자가용 승용차의 보유대수는 날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로 인해, 양양군 주민들의 버스 이용률이 점점 감소하고 있고 또한 이를 이용하는 학생 수도 점점 줄어들고 있는 실정이다. 양양군의 시내버스 이용 비중은 도심지 지역보다 농어촌 지역이 더 높다. 그러나 승객 수 감소와 노선연장 장거리에 따른 버스업체들의 경영수지가 점점 악화되는 현 시점에서 이에 대한 해결 방안을 강구해야 할 필요성이 제기 되고 있다. 버스 업체들은 적자노선의 폐선을 요구하고 있으나, 양양군은 이를 수용할 경우, 폐 노선에 따른 소외지역 주민들의 반발을 우려하고 있다. 결국, 양양군은 적자노선을 운영하는 버스 업체에게 지원금을 적절히 보상해 주어야하는 상황이다. 버스 업체의 무리한 요구 사항이나, 양양군의 비 현실적으로 낮은 수준의 적자보조금 지급은 가능한 피해야 하며, 양방간의 적절한 타협점을 찾아 해결 방안을 모색해야한다. 이를 위해, 승차인원 정밀 조사, 버스업체의 노선 및 네트워크 운영에 따른 손익 분기점 확인이 필요할 것이다.

      • 노면표시 재귀반사성능에 관한 실험연구

        홍창의(Chang Eui Hong),권오연 대한교통학회 2003 대한교통학회 학술대회지 Vol.44 No.-

        노면표시는 도로교통의 안전과 원활한 소통을 도모하고 도로구조를 보존하며 교통안전표지와 신 호기를 보완하여 도로이용자에게 규제 또는 지시의 내용을 전달한다. 이러한 노면표시는 도로이용 자의 안정상, 시계가 양호한 주간보다도 어두운 야간에 그 중요성이 더욱더 대두된다. 노면표시의 중요성을 인식한 우리나라의 도로관리청에서는 매년 전체 안전시설 투자비의 26% 이상을 노면표시의 신설 및 정비에 할당하고 있으며 2001년 한해 동안 노면표시 설치에 434억원 이상의 예산을 투 자하여 신설 2,426㎞ 재도색 34,651㎞를 완료하였다.

      • 교통량에 따른 배기가스량 산정에 관한 연구

        홍창의(Chang Eui Hong),황상호(Hwang, Sang-Ho),안호혁,김윤지 대한교통학회 1996 대한교통학회 학술대회지 Vol.29 No.-

        현재 서울은 교통사고문제, 교통혼잡문제와 자동차로 부터 배출되는 유해가스에 의한 대기환경오염문제를 갖고 있다. 본 논문의 목적은 대기환경오염을 악화시키는 자동차의 주된 배출오염가스인 일산화탄소, 탄화수소 및 질소화합물량을 교차로 교통량을 중심으로 어떻게 계산하는가에 있다. 연구의 대상지역은 서울시의 송파구 교차로들과 도심지역의 링크들을 선택하였다. 그리고 교통량, 지체시간, 링크길이, 정지회수, 운행속도, 주행속도 등을 고려하여, 제작차 배출가스 허용기준, 총량기준, 불량차 기준, 속도기준 등에 의한 계수산정 및 TRAF-NETSIM에 의한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일정 도로상의 제한된 범위내의 배출량 산출을 시도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첫째, 어느 방법이든 실제배출량의 정확한 값을 표현 할 수는 없는 것이고, 단지 상대적인 비교에 의하여 배출가스량의 수준을 추정 할 수 있었다. 또한, 시뮬레이션 배출율표를 우리 현실에 맞는 자료에 의해 수정할 수 있다면, 그 결과는 실제량에 보다 근접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서울도로의 현재 혼잡상태에서 속도의 저감에 배출량이 민감한 반응을 보이고 있다는 사실이다. 세째, 교통량변화에 따른 배출량의 변화가 일산화탄소에서 가장 심하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고, 신호운영상의 옵셋값이 잘못 설정 되면 탄화수소는 35%, 일산화탄소는 40%, 질소산화물은 75%까지 초과발생할 수 있으며, 유해배출가스량을 최소화시키는 측면에서의 신호최적화를 위해서는 현재의 Stop Penalty는 상향조정되어야 함이 밝혀졌다. 앞으로는 자동차로 인한 대기환경오염 농도의 저감을 위해서는 도로별 자동차 유해가스 배출 총량규제 방안도 고려해 볼 가치가 있으며, 이를 위해 환경공학과 교통공학의 다학체적 공동연구가 지속적으로 필요하며 교통정책에 반영되어야 할 것이다.

      • 남강릉 IC 조기 개설 타당성 연구

        홍창의(Chang Eui Hong),엄상준 대한교통학회 2004 대한교통학회 학술대회지 Vol.46 No.-

        급증하는 교통수요로 인하여 영동지역의 접근성 및 이동성 효율 감소되고 화물교통 혼잡시간으로 인한 물류비용 증가 그리고 영동지역에는 해수욕장, 오대산, 설악산과 같은 관광지역이라는 특수성을 띄고 있고 그로인해 계절적 수요변화가 매우 심하다. 지난 2001년 말, 영동고속도로 확장 및 완전개통, 중앙고속도로 개통, 동해고속 도로 강릉-현남 간 일부개통으로 전국 네트워크화 되었다. 2002년 초, 양양국제공항 개항으로 교통 여건이 큰 별화를 가져왔고 올해 말 개통되는 강릉-동해구간 동해 고속도로로 인해 당초 계획된 교통량보다 초과된 교통 수요량이 발생 하게되었다. 조기 건설을 희망하는 구정 및 정동진 지역개발의 요구가 급증하고 있는 가운데 강릉 IC의 교통량 집중 및 혼잡 극심하며 강릉 IC의 강릉 시내 통과 교통량의 증가와 통행 비용이 증가되고 있는 실정이다.

      • 피열후두개주름에 발생한 유경성 신경초종 1예

        홍창의(Chang Eui Hong),박준철(Jun Cheol Park),이미경(Mi-Kyung Lee),신향애(Hyang Ae Shin) 대한두경부종양학회 2017 대한두경부 종양학회지 Vol.33 No.2

        Schwannoma, also known as a neurilemmomas or neurinomas, is benign peripheral nerve sheath tumors arising from the Schwann cells. About 25~45 % of all schwannomas are found in the head and neck region, and the majority are found in the parapharyngeal space. Schwannoma of the larynx is very rare with an incidence of 0.1~1.5% in all benign laryngeal tumors. Recently, we experienced a case of a pedunculated schwannoma arising from the left aryepiglottic fold in a 80-year-old patient. The tumor was completely excised under direct laryngoscopy with the use of a CO2 laser and subsequently confirmed as schwannoma. So, we report this case with a review of the literatures.

      • 택시업체 경영특성 분석 및 교통사고 감소방안 연구

        홍창의(Chang Eui Hong),설재훈 대한교통학회 1998 대한교통학회 학술대회지 Vol.34 No.-

        인천시 택시사고율이 전국에서 가장 높기 때문에 인천택시사고의 특성분석과 대책을 마련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택시사업체, 택시기사, 도로현황, 보험제도 등을 설문조사, 현장조사, 방문조사방법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설문조사결과 상용근로자의 요인이 안전에 좋은 영향을 가져올 것으로 기대되는 등의 13개 시사점을 발견하였고, 도로의 구조적 문제점을 세부적으로 지적하였으며, 주행거리 종량제와 같은 보험제도 개선안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버스전용차로의 택시이용에 관한 정부의 배려가 현재 악화되어 있는 택시의 운영실태를 개선할 것으로 보며, 결국 택시사고의 감소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