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아프리카산 발톱개구리의 치아 발생과정에서 Bmp4 의 발현

        홍지수,고병석,Yawei Cheng,YANG LIU,박병건,이영훈 대한구강해부학회 2019 대한구강해부학회지 Vol.40 No.1

        Bmp4는 치아발생 과정에서 발현을 나타내고 치아형성 위치, 치아발생개시, 치아형태의 조절, 치아모양의 결정에 관여한다. 그러나 아프리카산 발톱개구리의 치아발생과정에서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 아프리카산 발톱개구리의 알을 수정하여 사육하여 26일째(stage 54)의 올챙이부터 변태 직후 어린 개구리의 위턱을 in situ hybridization 방법으로 실험하였다. Bmp4는 stage 54의 치배에서는 발현되지 않았고, stage 56부터 stage 62까지 중간엽과 치아유두, 바깥치아상피에서 발현되었다. 변태 직후 어린 개구리에 해당하는 stage 66에서, Bmp4 는 위턱뼈에 유착된 치아에서 발현되지 않았고, 계승치아의 중간엽과 바깥치아상피에서 발현되었다. 그러므로 Bmp4는 아프리카산 발톱개구리의 치아발생 과정에서 상아질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A New Antimicrobial Substance Produced by Staphylococcus pasteuri Isolated from Vegetables

        홍지수,Lin-Hu Quan,허성기,정규석,한상욱,문은표,노은정 한국식품과학회 2014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Vol.23 No.3

        Staphylococcus aureus is important food-bornepathogen in agricultural products consumed in a fresh state. The antimicrobial activities of staphylococci isolated fromvegetables in Korea against S. aureus were investigated. Coagulase-negative staphylococci (CNS) isolates (12) withantimicrobial activities against S. aureus were identified asS. xylosus, pasteuri, and epidermidis. CNS isolates exhibitedantimicrobial activities against Gram-positive bacteria. Inactivation of S. pasteuri antimicrobial activity by proteasessuggested that the substances evaluated were antimicrobialpeptides or bacteriocins. None of the S. pasteuri isolatespossessed homologous DNA fragments known to bebacteriocin genes, except for nukacin. The nukM gene thatencodes a post-translational modification enzyme in thenukacin gene cluster was not detected in S. pasteuriisolates. S. pasteuri probably produces one or more newantimicrobial substances.

      • 유연한 기구의 틈새관절 모델링 및 해석방법에 관한 연구

        홍지수,김호룡 대한기계학회 1994 대한기계학회논문집 Vol.18 No.12

        To operate a flexible mechanism in high speed its weight must be reduced as far as the structural strength does not decrease too much, but a light-weighted mechanism causes undesirable elastodynamic responses deteriorating the system performance. Besides, clearance within the connections of mechanisms causes rapid wear, increased noise and vibration. Even if the problems described above must be considered in the initial design stage, there has been no effective design process which takes account of the correlation between dynamic characteristics of flexible mechanism and the clearance effect at the joint. In this study, the generalized elastodynamic governing equations which include dynamic characteristics and boundary conditions of flexible mechanism are derived by variational calculus and solved by using FFM theory. To take the clearance effect at joint into account a new dynamic model is presented and also the method of modified stiffness/damping matrix is proposed to activate the dynamic clearance model, which cooperates with the developed governing equation very easily. As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proposed method(modified stiffness/damping matrix) to calculate clearance effect was proved to be superior to the existing one(force reaction method) in solution convergency and calculation performance. Besides this method can be easily adopted to the complex shape joint without calculation of reaction force direction.

      • KCI등재

        현대 도예의 전시장소 선택과 일상성 회복에 관한 연구

        홍지수 사단법인 한국조형디자인협회 2020 조형디자인연구 Vol.23 No.2

        일상 공간은 인간의 삶이 운용되는 현실적, 물리적, 실재적 장소다. 그중에서 ‘집’은 도자기의 실제적 존재와 쓰임을 확인할 수 있는 매우 전통적이고 중요한 공간이다. 모더니즘의 도래 이후, 일상 공간이 지닌 가치와 역할, 의미는 여성의 공간, 거주공간, 사적 공간 등으로 한정되고 축소되었다. 모더니즘의 도태 이후 첫째, 1960년대와 1970년대 미술계에는 제도적 미술에 반대해 미술관 밖으로 나가는 미술들이 등장했다. 둘째, 도예가와 이론가들 중심으로 화이트 큐브 안에서 공예의 특질과 가치를 탐구하는 데 한계가 있다는 점이 제기됨에 따라, 2000년대부터 새로운 도자와 장소의 관계를 모색하는 시도가 확대되고 있다. 일상 공간에서 공예의 본색을 탐구하는 시도는 모더니즘의 도래로 일상과 예술이 분리된 이후 간과되었던 공예의 일상성(domesticity)과 사물과 환경을 인지하는 우리의 감각을 회복시킨다. 본 연구는 2장에서 화이트 큐브의 개념과 일상 공간의 가치와 역할을 논하고, 3장에서 에드먼드 드 바알, 클레어 투미, 앤더스 루왈드 등의 해외 장소 특정적 도예 사례와 일상 공간의 전시연출로 공예의 본색을 조명 시도한 국내 전시사례를 분석모델로 삼는다. 이로써 현대 도예 전시연출 및 장소 담론의 변화를 감지하고 향후 도자와 장소 특정적 시도의 출현을 예측하는 연구 목적을 실현하고자 한다. Domestic sites in our life is a realistic, physical and real place where human beings are living. It served as a traditional and public place to see the actual use of crafts. Modernists have defined our domestic site as personal, feminine and anti-modern, moving forward into the realm of home. In the late 1960s to the early 1970s, new arts appeared outside the museum in opposition to institutional arts. ceramic artists and theorists have attempted to find a new relationship between ceramics and sites as well as alternative site since the 2000s while bringing up the issue that there were limitations in revealing the characteristics and values ​​of crafts in the white cube. The attempt to explore the essence of craft in everyday space restores our sense of awareness of the everyday nature of craft and things and the environment, which have been overlooked since the separation of daily life and art. This study shows after the separation of art and life the medium of white cubes and houses as representative one of domestic sites in chapter 2. It analyzes overseas installation such as Edmund de Waal, Claire Twomey and Anders Ruhwald and Korean exhibitions in 2000s dealing with ceramics and sites since the 2000s as the case of site-specific ceramics in contemporary ceramics in chapter 3. The study is aimed at reaching the research objective of detecting the change in the exhibitions and expressions of contemporary ceramics and predicting the emergence of new attempts of the site-specific ceramics.

      • KCI등재

        강남 지역의 담론적 재현과 정체성 변환: 토픽 모델링을 활용한 신문 기사 분석을 중심으로, 1990~2021

        홍지수 한국도시지리학회 2022 한국도시지리학회지 Vol.25 No.2

        본 연구는 강남 지역이 물리적 건조환경을 넘어 사회적 의미체계로 작동하는 방식에 주목하여, 강남의 담론적 재현과 정체성 변환 과정을 분석한다. 이 연구를 위해 1990년에서 2021년의 기간 보도된 강남 관련 신문 기사를텍스트 마이닝을 통해 세분하고 독해하였다. 결론적으로, 강남 담론은 거시적 경제와 부동산 경기, 부동산 정책의동태적 기조와 매우 밀접한 방식으로 구성되고 변동하였다. 강남은 1990년대 중산층 생활공간, 2000년대 초중반까지 자산 소유 및 증식의 공간, 그리고 2000년대 후반부터 매우 적극적인 투기의 대상으로 인식되기 시작했다. 즉, 강남은 새로운 생활양식, 새로운 자산축적 형태로 시작하여 점차 투기적 대상으로 전환 및 변질하였다. 이러한 강남의 이데올로기의 변성은 부동산을 통한 자산 증식과 투기 행위가 합리적인 전략으로 일상화된 맥락을 드러내며, 나아가 강남 지역의 위계를 매개로 이러한 사회적 풍조가 여타 지역까지 확산하였음을 암시한다.

      • KCI등재

        CXCR7-knockdown by Small Interfering RNA Inhibits Proliferation and Migration of Oral Squamous Cell Carcinoma Cells

        홍지수,김지연,성두,이재일 대한구강악안면병리학회 2018 대한구강악안면병리학회지 Vol.42 No.3

        The role of CXCR7, a seven-transmembrane G-protein coupled chemokine receptor, which binds with high affinity to chemokine CXCL11 and CXCL12 in oral cancer cells and the effect of transient CXCR7-downregulation on proliferation and migration of oral squamous cell carcinoma (OSCC) cells have not been reported.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CXCR7 on an OSCC cell line. In this study, we down-regulated CXCR7 in the KOSCC25B OSCC cell line by siRNA. In vitro cell proliferation and migration assays were us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XCR7- downregulation on cell proliferation and migration in si.KOSCC25B cells. The CXCR7 down-regulated OSCC cells grew significantly slower than the negative control siRNA transfected KOSCC25B cells (p<0.05). Additionally, migration of si.KOSCC25B cells decreased significantly compared with non-transfected KOSCC25B cells (p<0.007). These results suggest that down-regulation of CXCR7 induces anti-proliferative and anti-migratory effects in OSCC, and that CXCR7 may be a useful target molecule for the treatment of OSCC.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