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서울시내 일부 고등학생의 채소 급식 메뉴에 대한 기호도 및 관련 인자의 영향

        홍재희(Jae-Hee Hong),조미숙(Mi Sook Cho) 한국식품과학회 2012 한국식품과학회지 Vol.44 No.1

        본 연구에서는 서울 시내 일부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학교 급식 채소 메뉴의 기호도 및 이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건강 및 체중 관련 요인에 대해 조사하였다. 응답 학생들은 전반적으로 건강 자각도가 높은 편이었으며, 여학생의 경우 체중 감소에 대한 관심이 현저하게 높았다. 식습관은 총점 49점으로 다소 높은 편인 반면 식태도 및 영양지식은 만점의 절반 수준으로 비교적 저조한 편이었다. 채소 메뉴 중에서는 튀김류와 일품요리를 선호하였으며(기호도 점수 4.0-4.1), 볶음, 나물, 무침류에 대한 기호도가 낮았다. 전반적으로 각 조리군 중 기호도가 높은 음식들은 단맛이 상대적으로 높거나 조사 대상자들에게 친숙한 채소로 조리된 음식들이었다. 또한 섭취량과 기호도간에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섭취량이 적은 이유로는 ‘맛이 없어서’, ‘좋아하는 채소가 아니어서’, ‘좋아하는 조리법이 아니어서’ 등으로 응답하여 기호도가 높을수록 섭취량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채소 메뉴에 대한 기호도는 건강 자각도, 체중 조절 목적, 부모님의 웰빙/건강한 식생활에 대한 관심과 노력, 식습관, 식태도, 영양 지식 등의 요인들과 유의적인 약한 상관관계를 가졌다. 이 중 건강 자각도, 체중 조절 목적, 부모님의 웰빙/건강한 식생활에 대한 노력과 관심에 따라 기호도 응답이 변화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p<0.05), 뚜렷한 경향성은 보이지 않았다. 반면, 식습관, 식태도, 영양지식 점수는 채소 메뉴의 기호도와 섭취량이 높은 집단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경향은 기호도가 낮은 나물, 무침, 조림류 등에서 특히 강했다. 본 연구 결과는 채소 메뉴의 섭취량은 기호도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식태도, 식습관, 영양 지식 등은 기호도와 상관관계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반면 건강 및 체중 관련 요인들은 상대적으로 기호도와 상관관계가 낮았다. 채소에 대한 섭취를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영양 교육 프로그램을 통하여 식습관, 영양 지식, 채소에 대한 기호도를 향상시키거나, 또는 기호도 자체를 증가시키기 위한 반복적인 노출과 기존에 선호되는 향미 또는 재료와 함께 제시하는 flavor-flavor learning 등의 전략을 활용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acceptance of vegetable menus by high school students and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acceptability. Second-grade high school students (n=389) in Seoul were asked to assess their acceptability of vegetable menus and plate waste, and answered survey questions concerning their demographic characteristics, health-related attitudes, dietary attitudes, dietary habits, and nutritional knowledge. Overall, the menus containing items that were sweet or familiar to the subjects were preferred. Acceptability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amount of consumption. The acceptability was correlated with dietary habits, dietary attitudes, nutritional knowledge, and several health-related variables. The vegetable-liking group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concerning dietary habits, dietary attitudes, and nutritional knowledge, but did not exhibit a specific pattern of association with the health-related variables. This result implies that intervention strategies focusing on changes in cognitive and/or hedonic factors, such as nutritional education or flavor-flavor learning, would be beneficial for increasing students’ acceptance of vegetable menus.

      • KCI등재

        Focus Group Interview (FGI)를 통한 다차원적 감각 특성 용어 및 정의의 질적 도출

        홍재희 ( Jae Hee Hong ) 한국식생활문화학회 2016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Vol.31 No.1

        Recently, food industries are increasingly interested in launching ethnic foods in the global market, but communicating sensory information to target consumers has been complicated due to the ambiguity and complexity of Korean sensory descriptor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licit various multidimensional sensory descriptors and their definitions using focus group interviews (FGI). Two consumer groups, consisting of 10 panelists in their 20s and 10 panelists in their 30-40s respectively, participated in the FGI. A total of 14 commonly used multidimensional sensory descriptors, including gamchilmat (감칠맛), gaeun (개운), goso (고소), gusu (구수), kkal-kkeum (깔끔), neu-kki (느끼), dambaek (담백), birin (비린), siwon (시원), sikeum (시큼), ssapssarae (쌉싸래), eolkeun (얼큰), jjapjoreum (짭조름), and kalkal (칼칼), were elicited. Their definitions showed that these descriptors not only were constructed using several sensory elements but also contained hedonic connotations. Descriptors such as gaeun, siwon, and kkal-kkeum were more closely associated with overall sensory impressions, including aftersensations and post-ingestive effects rather than sensory concepts. As individuals tend to weigh different elements to construct the concept for each multidimensional descriptor, further studies are required to identify elements consisting of these descriptors to develop better test methods and gain a clearer understanding of the sensory profiles of Korean foods.

      • KCI등재후보

        의료 WBAN 환경을 위한 IEEE 802.15.4 MAC 성능 개선

        이정재,홍재희,Lee, Jung-Jae,Hong, Jae-Hee 한국전자통신학회 2015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 Vol.10 No.1

        WBAN(Wireless Body Area Network)는 인체주변 2-3m 영역에서 의료 및 비의료 디바이스들로 구성된 다양한 환자 모니터링 분야를 지원하기 위한 무선센서네트워크이다. WBAN 환경을 위해서는 저전력 소비, QoS, 듀티사이클등의 요구사항을 만족하고 주파수 대역을 효율적으로 분배하며 트래픽 로드에 강하면서 에너지를 절약하는 MAC(Medium Access Control)이 설계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트래픽 로드가 증가할 때를 고려해 에너지에 효율적인 AQ(Adaptive Queuing) MAC 슈퍼프레임 구조를 제안한다. 또한 시뮬레이션 결과 제안하는 AQ(Adaptive Quenuing)MAC를 IEEE 802.15.4 MAC과 비교 하였을 때 전송처리율, 평균MAC 지연율 측면에서 향상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WBAN(Wireless Body Area Network) is a Wireless Sensor Network for supporting various applications around body within 2~3m which consists of medical and non-medical device. MAC in WBAN environment should satisfy requirements such as low power consumption, various transmission rate, QoS, and duty-cycle, efficiently distribute frequency band, be strong at traffic load and save energy. This paper proposes AQ(Adaptive Queuing) MAC superframe structure for efficient energy use, considering the increase of traffic load. The simulation result also show that transmission rate and average MAC delay rate is improved comparing IEEE 802.15.4 MAC with AQ MAC.

      • SCOPUSKCI등재

        한식 가정간편식(home meal replacement)에 대해 도출된 중국인과 한국인의 감정 용어 비교

        김선호(Seon-Ho Kim),홍재희(Jae-Hee Hong) 한국식품과학회 2020 한국식품과학회지 Vol.52 No.2

        그룹 인터뷰를 통해 도출된 총 24개의 감정 용어 중 한국인과 중국인 결과 모두에서 대부분의 감정 용어가 긍정적 정서가를 가졌고, 중국인과 한국인에게 유사한 정서가를 유발하였으나, 몇몇 용어에서 정서가와 각성가의 차이가 나타났다. 그러나 한 국가에서 부정적 정서가나 낮은 각성가를 가지는 용어가 다른 국가에서 긍정적 정서가나 높은 각성가를 가지는 정반대의 평가 결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 동일한 의미를 가지는 단어에 대해 국가 별로 정서가/각성가가 다르게 나타났으므로, 향후 평가를 통해 도출된 감정 결과에 대한 해석을 할 때 이러한 부분들이 반영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Recently, it has been reported that the positive emotional responses from previously consumed food could be transferred to the new food, affecting the acceptance of the food.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emotional lexicons for evaluating consumers’ emotional responses to the food.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using 15 Koreans and 23 Chinese consumers to elicit emotional terms for Korean food HMR products. Using 23 Chinese participants who did not participate in the previous interview, emotional terms were screened through discussions in an interview setting. An online survey among 50 Koreans and 50 Chinese was carried out to evaluate and verify the valence and arousal potential of the selected terms. Elicited emotional terms in these two countries had similar valence and arousal potentials. However, cross-cultural differences were also found, mostly in arousal potential. Therefore, interpretation should be done carefully when comparing emotional responses between Korean and Chinese subjects.

      • 신공법을 이용한 리튬이온전지용 양극소개 제조

        서장수(Jang-Soo Suh),홍재희(Jai-Hee Hong),윤성도(Sung-Do Young),노희숙(Hee-Sook Noh),양동철(Dong-Cheol Yang),양일신(Il-Shin Yang),전정현(Jung-Hyun Jun),김재국(Jae-Kook Kim) 대한전기학회 2012 대한전기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12 No.10

        리튬이차전지용 양극소재를 제조하는 다양한 공정들의 단점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분무 열 합성법을 연구하였다. 분무 열 합성법은 화염내의 화학적 활성이 높은 열에너지를 이용하여 분체를 제조하는 기술이다. 본 기술로서 얻어지는 분체는 표면장력에 의해 구형의 나노입자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기존의 제조공정에 비하여 공정이 간단하고 미립자 조절, 산화와 환원, 표면개짙 등이 동시에 이루어진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본 기술은 다른 양극소재와 음극소재, 세라믹 제조에도 폭 넓게 응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