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Changes in Level of the Conus after Corrective Surgery for Scoliosis: MRI-Based Preliminary Study in 31 Patients

        홍재영,서승우,박정호,허창룡,홍석주,Hitesh N Modi 대한정형외과학회 2011 Clinics in Orthopedic Surgery Vol.3 No.1

        Background: Detection of postoperative spinal cord level change can provide basic information about the spinal cord status, andelectrophysiological studies regarding this point should be conducted in the future. Methods: To determine the changes in the spinal cord level postoperatively and the possible associated factors, we prospectivelystudied 31 patients with scoliosis. All the patients underwent correction and posterior fusion using pedicle screws and rods betweenJanuary 2008 and March 2009. The pre- and postoperative conus medullaris levels were determined by matching the axialmagnetic resonance image to the sagittal scout image. The patients were divided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postoperativeconus medullaris level. The change group was defi ned as the patients who showed a change of more than one divided section inthe vertebral column postoperatively, and the parameters of the change and non-change groups were compared. Results: The mean pre- and postoperative Cobb’s angle of the coronal curve was 76.80° ± 17.19° and 33.23° ± 14.39°, respectively. Eleven of 31 patients showed a lower conus medullaris level postoperatively.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he pre- andpostoperative magnitude of the coronal curve, lordosis and kyphosis between the groups. However, the postoperative degrees ofcorrection of the coronal curve and lumbar lordosis were higher in the change group. There were also differences in the diseaseentities between the groups. A higher percentage of patients with Duchene muscular dystrophy had a change in level compared tothat of the patients with cerebral palsy (83.3% vs. 45.5%, respectively). Conclusions: The conus medullaris level changed postoperatively in the patients with severe scoliosis. Overall, the postoperativedegree of correction of the coronal curve was higher in the change group than that in the non-change group. The degrees of correctionof the coronal curve and lumbar lordosis were related to the spinal cord level change after scoliosis correction.

      • 석유문제의 재인식

        홍재영,Hong, Jae-Yeong 대한석유협회 1982 석유와 에너지 Vol.1982 No.1

        석유위기가 또다시 올 것에 대비할 필요성은 상존하고 있다. 이러한 인식과 준비없이는 제2의 경제도약은 생각할 수 없다. 따라서 석유기업들은 우선 중화학공업 육성이라는 국가적 차원에서의 지원체계에 포함되어 주요산업으로서의 위치와 책임을 공유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또한 전략적과제를 추진할 수 있는 재투자재원의 확보, 경쟁력을 구축할 수 있는 수익성의 실현, 가격정책 및 주요경영정책상의 자율성확대가 불가피하게 요청된다.

      • KCI등재

        수업시연과 반성적 저널쓰기를 통하여 경험한 예비특수교사의 실천적 지식 분석

        홍재영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2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1 No.2

        이 연구는 예비특수교사들이 수업시연과 반성적 저널쓰기 활동을 통하여 경험하게 되는 실천적 지식을 분석하고, 그러한 실천적 지식이 시사하는 바는 무엇인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Crotty(1998)의 분류법에 따라 구성주의(constructionism)관점의 인식론 하에 해석주의(interpretivism)의 이론적 틀의 관점에서 연구 방법론으로 실 행 연구(action research) 방법론을 사용하였다. 이 연구에 참여한 연구 참여자는 A 대학교 사범대학 중등특수교육과 3학년에 재학 중인 예비특수교사 23명이었다. 이들은 교원 양성 대학의 정규 교과목 중의 하나인 ‘중등 특수교육 교재 연구 및 지도법’ 수업에서 수업시연과 반성적 저널쓰기 활동을 수행하였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예비특수교사들이 경험한 실천적 지식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수업시연 장면 전사 자료, 반성적 저널쓰기 자료, 면담 자료, 수업시연 지도안 등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Nvivo 9’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귀납적 분석을 실시한 결과, 예비특수교사들은 ‘수업 계획을 위한 실천적 지식의 구성’, ‘수업 실행을 위한 실천적 지식의 구성’, ‘교사 자신에 대한 실천적 지식의 구성’에 대한 경험을 한 것 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토대로 특수교사 및 예비특수교사의 실천적 지식에 근거한 수업 전문성 신장 방안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practical knowledge experiences of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gathered through teaching demonstrations and reflective journal writing, as well as examine the meaning of such practical knowledge. To achieve these aims, this study employed action research methodology from the theoretical framework of interpretivism under the epistemology of constructivism according to Crotty(1998) classification method. The subjects were 23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their third year at the Department of Secondary Special Education of A University. They demonstrated classes and wrote reflective journals in “Method to Study Secondary Special Education Textbooks and Teaching Skills”, one of the regular courses provided by teacher education universities. Through this process, this study intended to examine the practical knowledge experiences of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Towards this end, the study collected microteaching scripts, as well as data from reflective journal writings, interviews, and teaching guidelines. Inductive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Nvivo 9 program, and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were found to have made experiences in the categories of “composition of practical knowledge for class planning”, “composition of practical knowledge for class progression”, and “composition of practical knowledge about the teachers themselves”.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proposes measures to enhance class expertise based on practical knowledge about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 KCI등재후보

        ‘수업구조분석’을 이용한 시각중복장애학생에 대한 수업 분석 사례 연구

        홍재영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2018 시각장애연구 Vol.34 No.1

        이 연구에서는 교사가 시각중복장애학생들과 함께 교육 현장에서 실제 실행하는 수업 사례를 ‘수업구 조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하여 나타난 시각중복장애학생에 대한 수업의 양상을 알 아보고, 더 나아가 시각중복장애학생에 대한 효과적인 수업 실행 방안을 모색해 보는 데 그 목적이 있었 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질적 사례 연구 방법을 활용하였다. 이 연구의 참여자는 교육현장에 서 시각중복장애학생의 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2명의 교사들이었고, 수집한 자료는 연구 참여자가 실행한 각각의 수업 사례이었다. 수집한 수업은‘수업구조분석’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고, 결과를 도출하였다. 이 연구에서 도출한 결과를 토대로 시각중복장애학생에 대한 효율적인 수업 실행 방안과 수업의 질 향상을 위한‘수업구조분석’방법의 활용 면에서 논의를 하였다. 시각중복장애학생의 학습 특성이 매우 다양하기 때문에 이들에 대한 효과적인 교수 · 학습 방법을 모색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작업이지만, 새로운 노력을 지속적으로 기울일 필요가 있을 것이다. 이러한 노력을 통해 교육 현장에서 드러나는 교사들의 실천적 지식들을 공유한다면 시각중복장애학생과의 교실 수업을 개선하는 데 필요한 단초를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nalyzes cases of classroom instructions from schools that are using the “time-lined structure diagram analysis” for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 and multiple disabilities. The purposes are to both examine several aspects of classroom instructions and to explore effective ways of implementing classes for this student population via a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include two school teachers whose classrooms are comprised of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 and multiple disabilities, and the collected data include their classroom instruction cases. The collected cases are analyzed using the time-lined structure diagram analysis metho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efficient teaching methods for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 and multiple disabilities and the application of time-lined structure diagram analysis to improve the quality of teaching are discussed. Finding effectiv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for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 and multiple disabilities is a difficult task because the learning characteristics of these students are quite diverse. However, continuous efforts should be made to that end. The practical knowledge shared through these efforts in schools can provide a necessary basis for improving classroom instruction for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 and multiple disabilities.

      • KCI등재

        서사의 실패를 서사화하기: 영화적 재현을 매개하는 서사-형식의 이데올로기적 본성에 대한 탐구

        홍재영 부산대학교 영화연구소 2023 아시아영화연구 Vol.16 No.2

        본 논문은 영화에서 그간 재현이라는 문제틀 안에서 씨름해온 일련의 문제들을 서사 혹은 내러티브로 전환해서 현재에 대한 ‘역사적인’ 사고의 지평을 여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더 이상 재현이 지시대상과 필연적인 관계를 맺지 못할 때영화가 현실과의 관계를 상정할 수 있기 위해선 새로운 개념이 논의될 필요가 있다. 총체화의 계기로서 작동하는 서사, 곧 영화의 내러티브는 바로 그러한 대상이 될 수 있다. 본 논문은 서사를 이데올로기의 한 형식으로 봐야 한다는 프레드릭 제임슨의 제안을 따라 세 가지 논점을 제시한다. 첫째, 장 루이 코몰리의 스펙터클 비판은 세계가 하나의 거대한 스펙터클이 된 상황에서도 스펙터클의 한계가 반드시 알레고리화된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그는 재현이 결코 ‘바깥’과의 관계없이 완전히 자율적일 수 없기 때문에 동시대의 재현은 자체의 불가능성을 알레고리화하지 않을 수 없다고 본다. 이처럼 재현이 스스로를 알레고리화하는 방식으로 연명하는 것은 서사의 작동 때문이다. 둘째, 그럼에도 불구하고 오늘날전통적인 서사 관습이 유효하지 않다는 사실을 고려할 때 서사의 작동을 판별할수 있는 것은 결국 서사의 실패를 통해서이다. 프레드릭 제임슨은 지버베르크의 작업이 모더니즘적인 기획 속에서 다시 한 번 서사화의 계기를 마련하는 ‘문화혁명’이라 말하면서도 이러한 기획이 포스트모던한 상황에선 실패할 수밖에 없음을 진단한다. 그러나 이러한 실패는 서사 자체가 지닌 근본적인 한계를 조명하면서 역사적으로 필연적인 것으로 전환될 때 변증법적인 논의의 전개를 가능하게한다. 셋째, 그렇다면 작금의 이른바 유사-서사들은 궁극적으로 인식적 지평의 한계 위에 기반을 두고 있는 것이다. 대문자 서사는 바로 그러한 한계의 이름에 다름 아니다. 여기서 앙드레 바쟁이 찬사를 보냈던 네오리얼리즘의 쇠퇴와 한계가 필연적인 것으로서 다시 논의될 것이다. 이를 통해 오늘날 영화에서 과거에한때 가능했던 서사가 완전히 사라진 것이 아니라, 그것은 언제나 영화 자신의 부정성이었으며 영화란 바로 그러한 한계를 발판 삼아 새로운 단계로 이행해간모순적인 운동이라는 사실이 밝혀질 것이다

      • KCI등재

        시각장애 대학생의 대학 생활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홍재영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2022 시각장애연구 Vol.38 No.3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college life experience and its meaning for an undergraduate student who has visual impairments. Method: To achieve the research goal, narrative inquiry, which is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was used. The research subject was one undergraduate student who has visual impairments. From January 2020 to June 2022, the researcher talked with the subject through meetings and collected data. For the analysis, the researcher repeatedly read the collected data, found the narrative elements contained in the data, and composed a story by restructuring the plot and theme. Results: With a focus on the relational life of the undergraduate student with visual impairments, the meaning of the college life experience he had could be summarized in three characteristics: confidence, which becomes the foundation for relationships; confusion, which means a desperate relationship and its limitation; and letting go of the desperate attitude toward life, which means a change for a new relationship. Conclusion: The study results indicate that the development of diverse support plans is expected to help undergraduate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 form positive relationships during their college life so they can experience a successful change toward adulthood. 시각장애, 시각장애연구 목적: 이 연구는 시각장애 대학생이 대학 생활을 하면서 겪은 경험과 그러한 경험의 의미가 무엇인지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 연구 목적 달성을 위하여 질적연구방법 중 하나인 내러티브 탐구 방법을 활용하였다. 이 연구의 참여자는 시각장애 대학생 민준해이다. 2020년 1월부터 2022년 6월까지 정기적 또는 비정기적인 만남을 통하여 이야기하였고, 자료를 수집하였다. 분석은 수집한 자료를 반복해서 읽으면서 자료에 담긴 내러티브 요소를 찾고, 줄거리(Plot)와 주제(Theme)를 재구성하여 이야기를 구성하였다. 연구 결과: 시각장애 대학생의 관계적 삶에 주목하여 그가 대학 생활에서 겪은 경험의 의미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신감’: 관계의 기초. 둘째, 혼란: 필사(必死)적인 관계 그리고 한계. 셋째, 내려놓음: 새로운 관계를 위한 변화. 결론: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이들의 성공적인 성인기로의 전환을 위하여 대학에서 긍정적인 관계 형성에 초점을 둔 다양한 지원 방안이 마련되길 기대한다. 대학생, 내러티브, 대학 생활, 관계적 삶

      • KCI등재

        전기 영동 증착을 통한 첨가제 없는 MAX(Ti3AlC2) 리튬 이온 배터리 음극의 사이클 안정성

        홍재영,박병남 대한금속·재료학회 2023 대한금속·재료학회지 Vol.61 No.2

        We fabricated an additive-free MAX(Ti3AlC2) phase Li-ion battery (LIB) electrode using theelectrophoretic deposition (EPD) method. In this study, MAX, a precursor of MXene, which has recently beenreceiving great attention as a negative electrode material for LIBs, was manufactured as a coin cell throughEPD rather than the conventional slurry system. We excluded the effect of additives on the electrochemicalperformance, enabling evaluation of the intrinsic electrochemical properties related to battery charging anddischarging. As a result, the battery using MAX as an anode material showed a large specific capacity of 148.2mAh/g in the first discharge and superior cycle stability. Enhanced cycle stability and reversibleelectrochemical reactions were attributed to activation of faradaic and non-faradaic behavior, i.e., pseudocapacitivebehavior, caused by delamination of the MAX(Ti3AlC2) into MXene (Ti3C2). This was confirmed bythe decrease in the charge transfer resistance and the increase in total capacitance at the interface, usingelectrochemical impedance spectroscopy and cyclic voltammetry measurements. In addition, the activation ofpseudocapacitive behavior was confirmed by the change in kinetic mechanism, as evidenced from a significantincrease in the Li ion diffusivity with cycles.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MAX(Ti3AlC2) is promising asan anode material for LIBs and at the same time shows potential for tuning electrochemical propertiesthrough the electrochemical delamination proc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