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5성급 호텔 조리 및 식음료 종사원의 긍정심리자본이 지식공유 및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연구

        홍윤주,김영중 한국외식산업학회 2024 한국외식산업학회지 Vol.20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understand the influence of culinary and food & beverage staff’s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in hotels upon knowledge sharing and innovation behavior. Based on total 330 samples obtained from empirical research, this study reviewed the reliability and fitness of the research model and verified a total of 9 hypotheses using the AMOS program(18.0). The hypothesized relationships in the model test simultaneously by us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SEM). The model’s fit, as indicated by these indexes, was deemed satisfactory, thus providing a good basis for testing the hypothesized paths. The SEM showed the that th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had a positive significant influence on knowledge sharing and innovation behavior. The limitations of the current study and recommendations for further research were explained as well

      • KCI등재후보

        그린 어메너티의 공간디자인 적용에 관한 연구-2016년~2018년 메종 & 오브제(Masion & Objet) 세계 박람회를 중심으로-

        홍윤주 한국화예디자인학회 2019 한국화예디자인학 연구 Vol.40 No.-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 the recent trend of 'Maison & Objet' exhibition which shows everything that forms a space, and seek cases where such 'green amenity' is applied. In terms of morphology, a minimal space was filled with a curved shape, and gradually a design that reproduces nature was produced. As the maximalism gradually emerged, decorative elements were added to the design, and a lot of craft products appeared. In terms of materials, the emotion of naturalism was the most common, and natural wood materials were mainly used. These materials combine with various heterogeneous materials to complete a new design, and natural elements were shaped in space. In terms of colors, the theme in 2016 was 'Wild', and it was possible to see a space where wild nature can be experienced. It showed various colors of nature centered on brown and green of trees. 'Silence' in 2017 is distinguished and characterized by its pink color. Also, pieces of warm reddish‐brown furniture were made. In the past, brass or rose gold would be trendy, but in 2017, gold or silver colors showed a greater popularity. In 2018, 'Show‐ Room' was the theme, and the representative color was green, which affected new designs with yellow and pink. 본 논문에서는 공간을 이루는 모든 것을 보여주는 ‘메종 & 오브제’ 전시회의 최근 경향을 알아보고 이러한 ‘그린어메너티’가 적용된 사례를 찾아보았다. 형태적 측면에서 미니멀한 공간을 곡선의 형태로 채웠고 점차 자연을재현하는 디자인이 제작되었다. 점차 새롭게 맥시멀리즘이 대두되어 디자인에 장식적인 요소가 가미되어 공예적인 제품이 많이 나타났다. 재료적 측면에서는 자연주의 감성이 대세로 자연적인 목재소재가 주로 사용되었다. 이러한 재료는 다양한 이질재료와 결합하여 새로운 디자인을 완성하며 자연적 요소를 공간 안에 형상화하였다. 색채적 측면에서는 2016년은 테마가 ‘와일드 (Wild)’로 야생자연을 체험할 수 있는 공간을 볼 수 있었다. 나무의 갈색과 초록색을 중심으로자연의 다채로운 색채를 보여주었다. 2017년의 ‘사일런스 (Silence)’는 핑크 컬러의 특징이 돋보인다. 또한 따뜻한 느낌의 적갈색 계열의 가구가제작되었다. 예전엔 황동이나 로즈 골드가 유행이었다면 2017년은 골드나 실버 색상의 제품이 더 대세를 보였다. 2018년은 ‘쇼룸(Show-Room)’ 이 테마로 대표 색채는 초록색으로 노랑, 분홍과 함께 새롭게 디자인에영향 주었다.

      • SCOPUSKCI등재

        액와부다한증에서의 흉부교감신경절제수술

        홍윤주,이두연,백효제,신화균,황정주,정은규 대한흉부심장혈관외과학회 1999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32 No.12

        배경: 다한증의 치료에 있어서 흉강경을 이용한 교감신경절제술의 시술 빈도가 급증하고 있다. 그러나 액와부 다한증의 경우 수장부나 안면 두부다한증에 비하여 절제범위가 광범위하여 이에 따른 보상성 다한증 및 기타 합병증의 발생의 높고 액취증이 동반되어있는 경우 장기적인 만족도가 낮아서 크게 각광 받지 못해왔다. 대상 및 방법: 본 교실에서는 1997년 3월부터 1999년 4월까지 45례의 액와부 다한증 환자에서 2 mm 흉강내시경을 이용하여 흉부교감신경절제술 또는 잘단술을 시행하였다. 남자 28례 여자 17례로 평균연령은 28(13-46세) 였고 평균추적기간은 10개월(1-24)이었다. 24례가 액와부에만 국한된 과도발한을 호소 하였고 2례에서 수술 전 심한 액취증이 동반되어있었다. 21례의 T3,4 교감신경절제술, 20례의 T2,4 교감신경단술 그리고 4례의 T4 교감신경절제수을 시행하여 즉각적인 증상치유효과 보상성 다한증 및 장기적 만족도를 비교 분석하였다. 중등도 이상의 흉막유착으로 5mm 내시경이 필요했던 2례을 제외한 전 환자에서 2mm 트로카 2개를 사용하여 수술을 하였다 결과: 평균수술시간은 T3,4 교감신경절제술이 46.2$\pm$11분 T2, 4 교감신경절단술이 32.5$\pm$23분 T4 교감신경절제술이 53.8$\pm$18분이 소요되었고 수술직후의 효과는 T3,4 교감신경절제술과 T2,4 교감신경절단술에서 '전혀땀이 나지 않는다'가 17례(81%) 와 12례(60%) '수술전보다 감소했으나 약간땀이 난다'가 4례(19%) 와 8례(40%) 로 모든 환자에서 효과가 있었으나 T4 교감신경절제술은 4례중3례(75%)에서 전혀 효과가 없었다. 보상성 다한증은 T3,4교감신경절제술과 T2,4 교감신경절단술에서 각각 67%, 60%로 나타났고 생활에 불편을 줄 정도의 심한경우는 10% 5%에 불과했으며 장기적인 만족도는 T3,4 교감신경절제술이 86% T2,4 교감신경절단술이 89%로 나타나 높은 성공률을 보았다 결론 : 액와부다한증의 치료에 있어서 T3,4 교감신경절제술과 T2,4교감신경절단술은 증상치유효과가 높고 절제범위의 제한에 따른 보상성 다한증의 감소로 장기적 만족도가 우수한 효과적인 방법이다. 액취증이 동반된 경우 이에대한 충분한사전 설명과 원인 감별후 적절한 보조요법을 병행함으로써 환자의 만족도를 높힐수 있다고 본다.

      • KCI등재

        목표지향적 행동모형을 적용한 길거리 음식 재구매의도에 관한 연구

        홍윤주,김영중 (사)한국조리학회 2019 한국조리학회지 Vol.25 No.12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understand the influence factors of behavior intention for street food through goal directed behavior theory. Based on total 261 vietnam students were collected from the empirical research. For verified the hypothesis, present study reviewed reliability and fitness of the research model using statistical program. The hypothesized relationships on the formualted model were tested simultaneously by us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 method. The proposed model shown proper model fit along with adequate fit to the data χ2=454.678 (p<.001), df=279, CMIN/DF=1.630, GFI=.885, AGFI=.855, NFI=.888, CFI=.953, RMSEA=.049. In addition, the results found that the subjective norm (β=.213, C.R.=2.665, p<.05), positive anticipated emotions (β=.419, C.R.=4.587, p<.001), Negative anticipated emotions (β=.283, C.R.=3.729, p<.001),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β=.158, C.R.=2.238, p<.05) have statistically related. Also, perceived behavior control (β=.232, C.R.=3.374, p<.001), desires (β=.616, C.R.=8.530, p<.001) had a positive significant influence on behavior intention. This study is considered to be a meaningful study applying the goal-oriented behavior model to Vietnamese students.

      • KCI등재

        직업 소명의식과 조직기반 자긍심, 직무열의와의 구조적 관계연구 - 조리 및 식음팀의 조절 효과 검증-

        홍윤주,김영중 한국외식경영학회 2023 외식경영연구 Vol.26 No.1

        본 연구는 특급호텔 조리 및 식음료 종사원의 직업 소명의식이 조직기반 자긍심 및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부서의 조절효과를 실증 분석하고자 하였다. 실증연구를 위해 확보된 379개의 표본을 바탕으로 연구모형의 신뢰성, 적합성 등을 검토하였고, 구조방정식을 사용하여 가설을 검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직업 소명의식의 하위차원인 업무동일시/개인-환경 적합성, 초월적 인도력은 조직기반 자긍심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직무열의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는 일의 의미와 가치추구, 초월적 인도력인것으로 조사되었다. 한편 조직기반 자긍심은 직무열의에 유의한 정(+)의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서에 따른 조절효과는 일부 존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직업 소명의식은 조리 및 식음료 종사원의 조직기반 자긍심을 강화하고 직무열의에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조리 종사원의 심리적 소유감과 직무열의 및 직장 내 일탈행동에 관한 연구: 경력과 성별의 조절효과

        홍윤주,방형욱,김영중 (사)한국조리학회 2019 한국조리학회지 Vol.25 No.10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understand the influence of culinary staff's psychological ownership in job engagement and workplace deviance. This study conducted empirically analyze the moderating effects by career and gender among the relations of psychological ownership, job engagement and workplace deviance. Total 273 employees used for the empirical research, reliability and fitness of the research model, and verified total 4 hypotheses with AMOS program. The hypothesized relationships in the model were tested simultaneously by us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 SEM resulted that the psychological ownership on the organization, psychological ownership on the job showed a positive influence on job engagement. In addition, job engagement had a negative significant influence on organizational deviant behavior, interpersonal deviant behavior. The moderating effect of gender was not demonstrated in current study, although its effects on career.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are also discussed in the study.

      • KCI등재

        일의 소명의식과 긍정심리자본의 구조적 관계연구 - 특급호텔 조리 및 식음료 종사원을 중심으로 -

        홍윤주,김영중 한국외식산업학회 2024 한국외식산업학회지 Vol.20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understand the influence of culinary and food & beverage staff’s calling of work in hotels upo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Based on total 330 samples obtained from empirical research, this study reviewed the reliability and fitness of the research model and verified a total of 9 hypotheses using the AMOS program(18.0). The model’s fit, as indicated by these indexes, was deemed satisfactory, thus providing a good basis for testing the hypothesized paths. The SEM showed the that the identification and person-environment-fit, sense of meaning and value-driven behavior had a positive significant influence o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The limitations of the current study and recommendations for further research were explained as wel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