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전래동화를 활용한 초등학교 통합예술교육의 기대효과

        홍애령 ( Hong Ae-ryung ),최영임 ( Choi Young-im ) 한국무용연구학회 2016 한국무용연구회 국제학술발표논문집 Vol.2016 No.-

        본 연구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전래동화라는 특정 장르를 활용하여 초등학교 현장에서 창의적 예술교육을 위해 이론중심의 예술교육에서 벗어나 통합적 예술교육을 실행하는 데에 목적을 두고 있다. 전래동화라는 우리의 옛 이야기를 활용한 통합적 예술교육을 실행하여 우리의 전통 문화를 이해하고, 옛 선조들의 지혜, 역사 등을 배우고 느낄 수 있으며, 과거를 알고 현재를 새롭게 보는 눈을 가지게 되며, 직접 참여하고 체험하면서 통합예술교육으로서 창의력과 상상력을 극대화시키고, 올바른 가치관과 정서 함양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다양한 통합예술교육을 목적으로 둔 연구 사례들을 참고하여, 통합 예술교육의 필요성과 기대효과, 체계적인 교육을 위한 방향이 무엇인지 다뤄보고 그로인한 아동들의 창의력 신장과 정서함양의 관해 탐색해 보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arry out integrated arts education using a specific genre, traditional fairy tale,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outside of arts education based on theories for creative arts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classrooms. By executing integrated arts education using our old stories, traditional fairy tales, students can understand our traditional culture, learn and feel our ancestors` wisdom, history and others, and have a perspective which enables them to know the past and see the present afresh. Besides, integrated arts education can maximize creativity and imagination and help foster proper values and emotion through direct participation and experience. With reference to various studies aimed at integrated arts education, this study will deal with the necessity and expected effect of integrated arts education and the way for systematic education, and explore the consequential enhancement of creativity and development of emotions in children.

      • KCI등재

        발레교육자의 전문성 개념 탐색을 위한국내외 발레교육자 양성과정 분석

        홍애령 ( Ae Ryung Hong ) 한국무용기록학회 2013 무용역사기록학 Vol.31 No.-

        본 연구는 수준 높은 발레교육을 펼치기 위해 발레교육자는 어떠한 능력을 갖추어야 하는지 살펴보기 위한 기초 단계로 기존 발레교육자 양성과정에 나타난 전문성 개념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그 동안 발레교육자의 전문성은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형태로 정립되지는 않았다. 이 때문에 오랜 시간 발레를 전공하고 무용수로 활동하거나 대학 및 대학원에서 수학한 전문 발레인들이 교육자로서 필요한 교육을 제공받지 못했으며, 협회 및 주요 교육기관에서의 발레교수법, 자격과정 이수를 통해 경력을 쌓아갔다. 본 연구에서는 현실적으로 발레를 전공한 학생들이 발레무용수로 기량을 갖추는 과정 역시 발레교육자로서 성장하는 과정의 일부로 간주하고 국내외 발레교육자 양성과정을 조사하였다. 구체적으로 이상적 사례선택의 방법으로 선정된 국내외 발레교육자 양성과정은 국외 발레학교 교육과정, 발레교수법, 자격과정, 국내 예술 중·고등학교, 대학교 교육과정, 자격과정의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발레교육자만을 위한 특화된 교육은 매우 부족했으며, 발레교육자의 전문성 개념이나 요소들을 중심으로 교육하고 자격을 수여하는 사례 또한 드물다는 점을 파악하였다. 국내외 양성과정 분석을 통해 나타난 전문성 요소는 발레지식, 발레교수지식, 발레소양이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발레교육자의 전문성은 발레를 기능적, 예술적으로 이해하고 가르치기 위해 발레교육자가 갖추어야 할 지식, 기능, 태도적 측면의 능력으로 개념화할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발레교육 및 발레교육자와 관련한 후속연구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onception of pedagogical professionalism and its components that Korean ballet educators possess. For this, this study analyzed curriculum of ballet school, ballet teaching method, and teaching certificate course in Russia, France, England, United States, and Korea. Following the qualitative study paradigm, content analyze method were adopted. Collected data was analyzed and interpreted based on Bereday(1964)`s comparative method. To validate the study, self reflection, and peer debriefing were utiliz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the concept of ballet educators` pedagogical professionalism(BEPP) refers to the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 that required to teach ballet technically and artistically. Secondly, the three components of knowledge on ballet, ballet teaching, and ballet literacy were identified as ballet educational content knowledge exhibited international education for ballet educators. Knowledge on ballet refers to physical knowledge and technical knowledge. Knowledge on ballet teaching relates to traditional ballet teaching method and pedagogical knowledge. Ballet literacy denotes personal knowledge and artistic sensibility. The study culminates by offering future directions for intertwining research and developing efficient practice in developing BEPP.

      • KCI등재

        무용교육자 전문성의 핵심 차원으로서 심성적 자질의 재조명과 함양 방안

        홍애령(Ae Ryung Hong)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012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Vol.19 No.1

        최근의 무용교육은 창의성과 감성, 인성 함양을 위한 문화예술교육으로서 대중적인 관심과 양적인 증대를 실현했다. 그러나 내실을 들여다보면 무용교육의 핵심이 되는 교육목적과 내용, 무용교육자의 전문성에 대해 공적으로 합의된 바가 부족하다. 이에 무용교육은 어떠한 성격의 활동이며, 특히 이를 가르치는 교육자는 어떠한 전문성을 지녀야 하는지 심층적으로 탐색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본 연구는 무용교육자의 전문성에 관한 기초연구로서 문헌연구를 통해 기존의 관점을 파악하고, 전문성의 두 가지 차원 중 상대적으로 간과하였으나 중요한 차원인 심성적 자질을 재조명한다. 먼저, ``무용을 기술적으로 잘하는 방식``과 관련된 무용기능을 가르치는 교육, 공연 기예로서 무용에 접근하는 관점을 반성하고, ``무용을 예술적으로 잘하는 방식``과 관련된 무용정신을 가르치는 교육, 공연 예술로서 무용에 접근하는 관점을 지향한다. 다음으로 국내외 무용교육관련협회에서 요구하는 교육자의 자격표준과 윤리강령의 사례를 통해 실제 현장에서 요구하는 심성적 자질은 구체적으로 어떠한 것인지 파악하고, 이를 함양할 수 있는 몇 가지 방안을 제안한다. The demand of dance education (DE) is at a uprise both socially and in education. As a response, a variety of classes and programs of DE can be found offered through the context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mainly promoting creativity, character and emotion education. On one side, such growth and attention is welcomed as dance is getting much deserved attention. However on the other hand, as a downside the clarity of aims and content of DE and corresponding teacher professionalism is out of phase in maintaining the quantity of classes. And therefore the quality aspect is being neglected and is compromised. This study therefore aims to first, assess the current state of teacher professionalism in DE and its relationship to the aims and content of DE. Second, to identify the essence of teacher professionalism in DE, the spiritual competence for going beyond craft education to art education. And lastly the study compares national and international dance organizations` teacher standards and ethics to further identify spiritual competence and suggests possible directions toward spiritual competence education in teacher education.

      • KCI등재

        문화예술교육 정책 분석을 통한 문화예술교육의 발전방향

        홍애령 ( Ae Ryung Hong ),송미숙 ( Mi Sook Song ) 한국무용연구학회 2015 한국무용연구 Vol.33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의 문화예술교육 발전에 크게 기여한 문화예술교육 관련법규와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역사적 흐름을 탐색하고, 향후 문화예술교육의 발전방향을 제안하는 것이다. 우리나라의 문화예술교육은 2005년 문화예술교육 지원법에 의해 활성화되기 시작하였으며, 이와 관련된 문화예술교육 정책으로 문화예술진흥법, 문화예술교육 지원법, 지방문화원진흥법 등이 있다. 이러한 문화예술교육 정책을 통해 예술강사 지원사업, 문화예술교육사 제도가 시행되고 있다. 또한 창의성과 인성 함양을 위한 초·중등 예술교육활성화 기본방안, 문화융성 정책과제 및 추진전략의 영향으로 최근의 문화예술교육은 그 영역을 확장시켜나가고 있다. 이러한 문화예술교육정책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문화예술교육의 발전을 위한 수요자 맞춤형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내용 및 주제 통합형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의 적용, 문화예술교육사 제도의 안정 및 역량 개발, 공공기관, 민간단체, 지역사회, 시민의 화합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study was to investigate culture and art education policy and its historical change and to suggest future direction for culture and art education. Culture and art education of our country had been activated by support for arts and culture education act in 2005. There were culture and arts promotion act, and promotion of local cultural institutes act existed as a culture and art education policy. These policies supported project for artist in school program, and art and culture instructor policy. Also dimension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had expanded under the influence of educational and cultural enrichment policy task. Based on understanding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policy, we proposed some future directions for culture and art education.

      • KCI등재
      • KCI등재

        무용수의 전문성 발달과정 및 특성에 관한 연구

        홍애령 ( Ae Ryung Hong ),석지혜 ( Ji Hye Seok ),임정신 ( Joung Shin Im ),오헌석 ( Hun Seok Oh ) 한국무용기록학회 2011 무용역사기록학 Vol.23 No.-

        본 연구는 무용수의 전문성 발달과정 및 특성을 분석하여 전문성을 향상시키는 핵심요인이 무엇인지 탐색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발레 및 현대무용 분야의 최고 수준 무용수 6인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여 전사된 자료의 테마분석을 실행하였고, 이들이 겪은 다양한 성장과정은 다음과 같이 3단계의 발달과정과 특성, 핵심요인으로 도출되었다. 첫째, 무용수의 전문성 발달과정은 ``기술적 전문성 습득 단계``, ``독자적 전문성 모색 단계``, ``창의적 전문성 탐색 단계``의 3단계로 구분되었다. 먼저, 기술적 전문성 습득 단계에서는 기본적인 무용 기술과 테크닉을 습득하여 한 명의 무용수(a dancer)로 성장하게 되며, "결정경험", "춤추는 기계(dancing machine)", "오디션 그리고 데뷔"라는 과정을 거친다. 다음으로 독자적 전문성 모색 단계에서는 신체의 움직임에 대한 자각과 독특한 색깔을 담아내기 위한 해석, 표현을 통해 자신만의 개성을 보유한 무용수(unique dancer)로 발돋움하게 된다. 이 단계에서는 "무용이라는 언어", "아무개라는 고유한 무용수(the dancer)", "무대 위 주인공"이라는 특징을 보인다. 마지막으로 창의적 전문성 탐색 단계에서는 뛰어난 무용수이자 무용을 창조하는 사람으로 성장하게 된다. 이 단계에서는 "왜 무용을 하는가?"와 같은 "무용에 대한 근원적 물음"을 제기하고, "무용에 몰입"하며, "무용수로 태어난 사람"으로 성장한다. 둘째, 무용수의 전문성 발달과정 중 상위 단계로 성장할 수 있는 핵심요인으로 ``양가적 마음(ambivalence)``을 제시한다. 무용수들은 신체를 통해 자신의 예술 세계를 표현하는 만큼 뼈를 깎는 고통을 감수하며 자신의 몸을 단련하는 일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최고 수준의 공연을 위해 끊임없이 몸을 만들고 다듬어야 하는 무용수들은 무대 위에서나 무대를 벗어난 일상에서나 늘 자기관리에 대한 부담감을 이겨내야 하는 만큼 그 어느 분야보다도 강인한 정신력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고된 훈련과 부상, 공백과 좌절, 더 이상 발전하지 않을 것 같은 기술적 한계, 노력한 만큼 보상받지 못한 것 같은 아쉬움, 배신감에 너무 힘들어 그만 두고 싶지만, 막상 춤을 벗어나서는 살 수 없고 다른 것은 생각한 적도 생각할 수도 없다는 이들의 양가적 마음은 어린 시절 단순한 호감으로 시작된 그들의 전문성을 최고 수준의 창의적 전문가 반열에 오르게 한 동력이자, 새로운 핵심요인의 하나로 설명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향후 최고 수준의 무용수를 양성하기 위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환경 조성, 무용 교육자나 안무가 등 무용 분야 전문인의 전문성 발달과정에 대한 연구를 통해 무용 분야의 발전을 위한 연구와 실천의 기틀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ain characteristics that are shown during developmental process of the expertise dancer. For that, the interview data which was conducted for the 6 experts who were proposed and selected as highly qualified dancing experts by top experts in the field was used in this research, and the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using theme analysis.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developmental process of the expertise dancer were divided into three phases; ``a dancer``, ``the dancer``, and ``unique dancer``. Details of characteristics of phase were (1) individually crystallizing experience in early childhood, (2) making a body and trained as a dancer in order for acquiring technical performance through deliberated intensive practice, (3) Auditioning for having a chance of the first stage as a professional, (4) recognizing his/her enthusiasm toward creativity and developing uniqueness as a dancer, (5) delving deeper into performing a dance and much more training himself/herself in order to look for his/her own world as a unique dancer, (6) experiencing highly qualified immersion and rapport during performing a dance on a stage, (7) showing creative expertise and continuously looking for the answer to the question of the reason why he/she has become a dancer, (8) recognizing a endless thirst for dancing and trying to resolve that through searching something different from a dance, (9) completing his/her own dance as a performing artist and feeling it his/her duty and destiny to dance. Second, the core factor which makes a dancer reach a superior one in terms of performance might be ambivalence. It is complicated emotion of having love and hatred including tendency, an attitude which can be in conflict with an inconsistency about a certain target. More researches will be able to find some meaningful characteristics of the highest leveled performance through far more diverse cases in the itemized dancing field in the future.

      • KCI등재

        대학 무용학과 문화예술교육사 자격 인정 전공교과의 체계적 학습모듈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홍애령 ( Hong Ae-ryung ),박재근 ( Park Jae-keun ) 한국무용과학회 2018 한국무용과학회지 Vol.35 No.2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사회적 수요의 증대와 교육수준의 질적 고양에 대한 요청에 따라 전통적으로 무용전문인력을 양성해왔던 고등교육기관인 대학 무용학과의 교육목표 및 교육내용에도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현실적으로 졸업 직후에 무용수, 안무자와 같은 전문적 예술가로의 본격적인 진입과 취업이 매우 힘든 상황에서 학부 졸업생들의 진로를 개척하기 위해서는 문화예술교육사의 양성 또한 중요한 비중을 차지해야 하는 것이다. 이에 대학 무용학과의 전공 교과과정에서는 전문무용수와 안무자 등을 양성하는 것과 더불어 모든 학습자를 위한 문화예술교육을 가르치는 문화예술교육사를 양성하는 것 또한 하나의 방향성을 설정하여 도입하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대학 무용학과에 개설되어 있는 문화예술교육사 자격 인정 전공교과의 운영현황을 살펴보고 고등교육기관으로서 대학 무용학과에서의 문화예술교육사 교육을 체계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문헌고찰을 통해 현재 시점에서 문화예술교육사 2급 자격 교육과정의 교과목과 대학 무용학과 전공교과과정의 운영 상황을 살펴보고, 최근 교육학 및 교육공학에서 체계적인 교수학습을 위해 활용되는 체제적 교수설계(Instructional System Design, ISD)와 최근 체계적인 학습모듈로 인정받고 있는 국가직무능력표준(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NCS)의 구성 체계와 개발 절차를 참고하여 문화예술교육사 자격 인정 전공교과의 체계적 학습모듈 개발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였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문화예술교육사 자격 제도에 대한 이해와 인식을 넓히기 위한 특강, 워크숍, 로드맵의 제공, 체제적 교수설계모형 적용을 위한 기초단계로서 요구분석, 과제분석, 학습자 분석, 환경 분석, 무용 분야 문화예술교육사의 능력 단위명, 능력단위 정의, 능력단위 요소명을 도출하는 연구들이 선행되어야 함을 제안하였다. In line with the recent increase of social demand for arts & culture education, there unfolds some change in educational target and contents of dance departments in universities as one of higher educational institutions fostering dance professionals. Along with education of professional artists such as dancers, choreographers, university dance departments should pursue to foster arts & culture education instructor, teaching arts & culture education for all learners as an educational direction. Under the circumstances, this study examined major subjects related with qualification of a arts & culture education instructor at university dance departments and sought to provide basic data for developing and applying systematic learning modules and educational model. That is, the study examined the aptitude of curriculums for 2nd grade qualification for a arts & culture education instructor and major subject courses as of 2017, and provided basic data for developing systematic learning modules of major subjects certifying an arts & culture education instructor, referring to the system and development procedures of the NCS(National Competency Standards)-recently recognized as a systematic learning module.

      • KCI등재

        창작, 토론, 비평을 활용한 에어로빅 가르치기

        홍애령(Ae Ryung Hong),임수진(Su Jin Lim)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013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Vol.20 No.4

        대학 교양체육수업은 각 분야의 예비전문인으로서 대학생들이 신체적, 인지적, 정의적 측면의 기본적인 소양을 함양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한다(최의창, 2010). 본 연구는 단순한 기능중심 교양체육수업을 지양하고신체활동에 대한 폭넓은 이해와 실천, 무용소양의 함양을 위해 Lavender(1996)의 반성적 수업모형(the ORDER approach)을 적용한 대학 교양 에어로빅 수업의 사례를 소개한다. 매 학기 반성적 수업모형을 적용한 수업의 구성 및 운영, 학생 관찰 및 면담, 수정 및 보완 단계를 거듭하여 기능연습 및 분석, 창작, 비평 활동이 통합된 에어로빅 수업을 개발하였다. 2011년 3월부터 2011년 12월까지 총 5개의 에어로빅 수업에서 점진적으로 반성적 수업모형을 적용하였다. 매 수업의 주요 장면을 사진, 동영상으로 촬영하여 관찰하고, 이상적 사례 선택(Goets & LeCompte, 1984)으로 선정한 총 10명의 학생들을 면담하였다. 반성적 에어로빅 수업을 운영한 결과, 학생들이 인식한 에어로빅 수업의 변화는 다섯 가지로 나타났다. 첫째, “기능 숙달 및 체력증진 중심”에서 “움직임 이해 및 실천 중심”으로의 목표 변화이다. 둘째, “동작 배열 및 연습 중심”에서 “동작구성 및 창작 중심”으로의 내용 변화이다. 셋째, “지시 및 연습형”에서 “토론 및 반성형”으로의 방법 변화이다. 넷째, “주1회 맛보기”에서 “한 학기 습관화”로의 참여 변화이다. 다섯째, “졸업 필수 1학점”에서 “생활 필수 1종목”으로의 인식 변화이다. 또한 학생들이 발견한 에어로빅의 교육적 가치는 운동적 가치, 심미적 가치, 조화로운 삶의 가치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학생들의 적극적인 참여와 움직임 및 창작활동을 장려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수업 개발과 교양체육 교수자의 반성적 성찰 및 실천적 지식의 함양을 제안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aerobics class in liberal arts course and its curriculum based on the ORDER approach(Lavender, 1996). This aerobics class aims at cultivating dance literacy and focusing more on understanding and implementation of physical activities than on skills improvement in an elective course. The ORDER approach, which is five steps necessary for critical evaluation, stands for observation, reflection, discussion, evaluation, and recommendations for revisions. In this study, we gradually developed the teaching method based on the ORDER approach at each semester from March to December, 2011. For that, we have also developed an integrated curriculum of an aerobics class including skills practice and analysis, choreography, and critical evaluation through a repeated process of curriculum making and management, observation in class,and in-depth interviews with students followed by modifications. Each class has been video-recorded and some pictures of students` performance have been taken as well. We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10 students selected by the reputational case selection(Goets & LeCompte, 1984). Finding revealed that there were five significant changes the students perceived in the class. First, the objectives change from improving athletic skills and physical strength to understanding movement and implement. Second, the subject matter changes from merely putting steps together and practicing the steps to making creative movements. Third, the teaching method changes from practice to discussion and reflection. Fourth, the students` attitude towards an aerobics class changed. They wanted to participate in the class every week for the whole semester instead of enjoying themselves or even killing time in class once a week. Lastly, it is now regarded not only as a class to take for credits to graduate but also as a subject which helps them live a better life. These results show that an aerobics class in liberal arts course requires thorough lesson plans and the teachers` reflective and practical knowledge to encourage students` active participation and to develop a wide variety of activities to make creative movements.

      • 종합토론 : Section of Humanities and Socialⅰ: ■ Speech 4: 발레정신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홍애령 ( Ae Ryung Hong ) 한국무용연구학회 2013 한국무용연구회 국제학술발표논문집 Vol.2013 No.-

        본 연구는 학생이 체험하는 발레정신과 이를 통한 발레에 관한 인식 변화를 살펴보았다. 2012년 1월부터 6월까지 발레경력 7년의 중학교 1학년 전공 여학생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여 총 32회의 발레수업 참여관찰과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1회 1시간 30분의 발레수업은 바 동작, 센터 동작, 작품 연습을 중심으로 구성되었다. 매 수업시간 비디오 촬영을 통해 교사의 피드백과 학생의 반응을 관찰하고 관찰일지를 작성하였다. 발레시작동기, 전공을 결정한 이유, 발레를 하면서 겪었던 경험, 수업시간에 느낀 점을 중심으로 심층면담을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발레수업에서 학생이 체험한 발레정신은 ``인내``, ``열정``, ``성취``, ``환희``, ``찬미``로 구분되었다. 둘째, 발레정신의 자각을 통한 학생의 발레 인식 변화는 ``발레하기``에서 ``춤추기``로의 변화와 ``몸으로 표현하는 아름다움``에서 ``몸을 통한 마음의 성숙``으로의 변화로 구분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발레수업에서 학생이 내면적인 측면의 발레정신을 체험하였고 이것이 발레에 대한 인식의 긍정적인 변화로 이어졌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what a student of ballet perceives on the spirit of ballet. The method of data collection was observation of ballet class and in-depth interview with a ballet student for five months from January to May 2012. Study participant(girl, 14 years old), was a middle school student who had the experience of practice ballet for 7 years. Ballet classes were consisted of barre work, center work and variation practice in 90 minutes, and each class was observed by video recording. In this classes, I collected materials such as photographs, self-reports, ballet diaries and reflective journals. Case study and inductive category analysis were conducted as the method of data analysis. In order to obtain sympathy validity, using member check, peer debriefing and triangulation. The result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spirit of ballet was classified into 5Ps: patience, passion, prosperity, pleasure and praise. Second, she showed change of recognition on the ballet. The first change was from ``doing ballet`` to ``doing dance``. The second change was from ``appreciation the beauty through physical expression`` to ``maturity mind through physical expression``.

      • KCI등재

        임산부 무용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을 위한 정책 현황 및 인식 분석

        홍애령 ( Hong Ae-ryung ),이성철 ( Lee Seong-cheol ) 한국무용과학회 2018 한국무용과학회지 Vol.35 No.4

        본 연구는 최근 사회적으로 심각하게 대두된 저출산 현상에 문제의식을 갖고 기존의 임신출산 지원정책과 임산부들의 인식을 파악하여 임산부 무용프로그램을 개발, 적용하기 위한 기초적 요구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방법으로 첫째, 정부의 제3차 저출산·고령사회 기본계획과 서울시 저출산·고령사회정책 시행 계획의 주요 내용을 살펴보았다. 둘째, 서울시 소재 임산부 103명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임산부 4명과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임산부 무용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을 위한 환경분석에서는 임산부들이 체감할 수 있는 임신출산 지원정책에 대한 불만족, 인터넷 자료에 의존된 임신 및 출산 정보에 한계가 드러났다. 임산부 무용프로그램에 관한 요구 분석에서는 문화복지로서 정책적, 경제적 지원을 바탕으로 임산부의 신체적 특성을 반영하여 물리적 접근성을 높이고, 임신 및 출산과정과 생태학적 체계를 고려한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이 요청되었다. This study, noting the phenomenon of low-birth problem emerging seriously across the society, sought to grasp pregnancy/childbirth supporting policies of the government and Seoul City as well as perceptions of pregnant women. And it conducted basic demand analysis on dance programs that could be done as cultural welfare for pregnant women. As its methodology, the study firstly used, examined the precedent research of pregnancy/childbirth supporting policies and dance programs for pregnant women, major contents of 'Third Basic Plan for Low Fertility and Ageing Society' currently operated by the government and 'Detailed Plans for Low Fertility and Ageing Society 2017' by Seoul City. Secondly, it conducted questionnaire survey among 103 pregnant women living in Seoul along with in-depth interviews with four pregnant women. As a result, the study found, in the aspect of environmental analysis for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dance programs for pregnant women, their dissatisfaction with the current pregnancy/childbirth supporting policies, and limits of pregnancy/childbirth-related information mainly depending on internet materials. Besides, in the aspect of demand analysis, dance programs for pregnant women, as part of cultural welfare based on political and economic support, needed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programs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better physical access of pregnant women reflecting their physical nature as well as their lifestyles and ecological syst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