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신라 중고기 서당의 설치와 운용형태

        홍성열(Hong, Seong-yeol) 신라사학회 2018 新羅史學報 Vol.0 No.43

        본 논문은 통일기 이후 신라의 핵심 군사조직으로 발전하는 구서당의 모태라고 할 수 있는 서당에 대해서 그 군사조직이 어떤 이유로 어떻게 창설 되었고 운용되었는지 알아보기 위해 작성하였다. 구서당이 삼국통일 이전 서당과 단절된 것이 아니라 그 연장선상에서 명칭이 변화하고 규모가 확장되었기 때문이다. 서당은 부대의 성격을 나타내는 글자인 ‘誓’와 군사력・군사조직을 나타내는 ‘幢’이 합쳐져 만들어진 글자로서 ‘국왕에게 충성을 맹세한 부대’라는 뜻을 가졌으며, 그 이름을 통해 국왕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며, 국왕의 지근거리에 행동하는 군사조직으로 추정할 수 있다. 곧 국왕이 직접 통솔하며 가까운 거리에서 보좌하는 국왕직속 군사기구로 생각한다. 신라가 ‘6정’ 이라는 체계적인 군사조직이 이미 존재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서당을 창설한 것은 당시 신라 내부의 정치상황과 연결되는데, 당시 강력했던 귀족세력을 견제하고, 친정을 선포하기 이전 진평왕의 국왕권을 뒷받침하기 위해서 국왕이 직접 지휘권을 행사하는 직속 군사기구로서 창설되었다. 한편 서당의 대외전쟁 참여 시기와 시위부 관부의 첫 출현 시기가 진평왕 46년으로 같은데, 이는 대외전쟁의 격화로 국왕직속 군사기구인 서당이 대외전쟁에 참여하면서 국왕 시위의 공백을 매우기 위하여 시위부가 만들어졌기 때문으로 보인다. 서당의 구성원들은 국왕 또는 왕실이 직접 선발한 소모병으로 판단하며 이들을 전렵 등을 통해 국왕의 직속군사기구로 양성했을 것으로 보인다. 중고기 서당은 장군이 아닌 대감이 지휘한 것으로 보인다. 대감은 장군과 같이 군사조직을 지휘할 수 있는 직책으로 장군과 달리 진골 이외의 신분도 임명이 가능하였다. 삼국통일전쟁으로 인한 신라 군사조직의 확대 이전까지는 ‘6정’외에 군사조직의 지휘관은 대감일 가능성이 크다고 보며 특히 시위부, 계금당 등 국왕 직속 군사조직들은 최고지휘관이 대감으로 나타나므로 서당도 최고지휘관이 대감이었을 것으로 생각한다. This study explores why Seo-dang(誓幢) was first established and how it was operated before the unification. Seo-dang did not disappeared after the unification but later expanded in its size, changed its name and developed into Gu-seo-dang(九誓幢), the core military organization of Silla during the Three Kingdoms unification period. The word, Seo-dang consists of two words : "誓(Seo)", which represents the characteristic of unit, and "幢(Dang)", which represents the military organization. It is interpreted as "the army which pledges allegiance to the king." It is thought that it was given a command directly from the king and was under his immediate supervision. The reason Seo-dang was established although Silla had already established a systematic military organization called "Yuk-jeong(六停)", was linked to the political situation of Silla, where the kings should keep in check many powerful aristocratic forces. Meanwhile, both the Seo-dang’s first involvement in wars against foreign countries and the first appearance of Siwibu(侍衛府) happened in 46th year of King Jinpyeong(眞平王). It seemed that Siwibu(侍衛府) was created to play a role as the guard for the King, in place of Seo-dang which was sent to the foreign wars. The members of Seo-dang were directly chosen by the king or royal family and they were trained as soldiers through hunting. It seems that Seo-dang was commanded by “Dae-gam(大監)”, not by a general. Although Dae-gam was allowed to command a military organization like a general, Dae-gam was not limited to be appointed among the Jin-gol(眞骨). Others status also could be appointed as a Dae-gam. Before Silla expanded its military organization during the unification war among three kingdoms, the commanders of the military organizations except Yuk-jeong were likely to be Dae-gam. Since the commanders of other military organizations under the king"s command, such as Siwibu and Gyegeumdang(罽衿幢), were Dae-gam, the commander of Seo-dang was also assumed to be Dae-gam.

      • KCI등재후보

        신라 통일기 5주서의 역할과 위상

        홍성열(Hong, Seong-yeol) 북악사학회 2022 북악사론 Vol.15 No.-

        본 논문은 신라 군사조직의 하나인 5주서(五州誓)가 설치된 이유와 역할, 신라 군사조직을 구분 짓는 금색(衿色)을 통해 신라 군부대 속 5주서의 위상과 지휘계통이 어떠한지 알아보기 위해 작성하였다. 672년 석문(石門)전투에서 신라가 대패하자 신라는 전쟁에서의 전략을 방어로 변경하고, 당나라군의 공격을 막기 위해 여러 조치를 취했는데, 그 중 하나가 신규 군부대의 증설이었다. 이 때 5주서도 처음 설치되었다. 이 시기 신라의 방어선을 구분하면 5단계 방어선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5주서는 제 3방어선인 소백산맥 방어선 앞에 주둔하여 제 2방어선인 한강연선에 있는 성들을 구원하거나, 소백산맥을 넘어 신라 내륙으로 진입하려는 적의 요격 임무를 수행하였다. 이와 함께 주요 교통로 및 소경의 보호, 옛 백제수도 지역 및 금마저지역의 백제・고구려 유민의 견제와 반란의 사전 차단 임무도 담당하였다. 한편 5주서는 9서당 구성부대인 녹금서당(綠衿誓幢)・자금서당(紫衿誓幢) 및 2절말당(二節末幢)과 사용하는 금색(衿色)이 녹자(綠紫)・자록(紫綠)으로 같다. 이 3개 부대가 공복 색 중 가장 위계가 높은 자색을 사용하는 것으로 볼때, 국왕의 영향력이 강한, 곧 직접 운용하는 최중요 부대이며 군사조직 중에서 위계가 높다고 할 수 있다. 또한 5주서는 2절말당과 함께 지휘관의 위계가 가장 높은 서당 장군의 지휘를 받았을 것으로 보인다. 이는 5주서의 부대 임무의 중요성 때문으로 생각한다. This paper investigates the establishment and role of Ohjuseo(五州誓), the military unit of the Silla Dynasty, focusing its command system and the position among the Silla military organization through the color of the unit’s uniform. When the Silla was defeated in the Battle of Seokmun in AD 672, Silla changed its strategy to focus on defense and took various measures to stop Tang s attacks; one of them was to form new military units including Ohjuseo. The concept of Silla s defense at that time was composed with five lines of defense. Ohjuseo was stationed in the third line at Sobaek Mountains where it can reinforce the fortresses on the second line at Han River, or intercept enemy trying to enter deep inside the territory beyond Sobaek Mountains. It also played a role to protect major roads and Sogyeong, or the secondary capital, and contain the population of old Baekje and Goguryeo residing their former capital and Geummajeo area to prevent their potential insurgency. Ohjuseo used purple-green and green-purple as the color of the uniform: the same color as it was used by Nokgeumseodang(綠衿誓幢) and Jageumseodang(紫衿誓幢), which all were assigned to Guseodang(九 誓幢), and Yijeolmaldang(二節末幢). Considering that these three units used the same purple, the highest ranks of color, it is thought that these were the most critical units directly assigned to the King and had a prioritizing position among the military organization. It is believed that Ohjuseo was commanded by the highest-ranking officer, Seodangjanggun, because of the importance of its role.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