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주얼 캐드와 타이포그래피를 응용한 주얼리 디자인 연구

        홍성백 ( Sung Baek Hong ),계루진 ( Lu Jin Kye ) 한국정보디자인학회 2009 정보디자인학연구 Vol.13 No.-

        현대에 있어 주얼리 산업은 대표적인 고부가가치 산업중의 하나이다. 제품의 생산은 기술의 발전에 따라 다양한 기법과 재료의 사용으로 바뀌었으며, 신제품 개발의 형태는 귀금속 관련 캐드/캠 장비를 활용한 생산이 급격히 늘고 있다. 이와 같은 경향의 한 분야로 주얼 캐드의 보급과 활용은 오늘날 우리나라의 귀금속 산업을 자동화에 의한 상품의 다양화, 정밀화를 급속하게 이루는 역할을 담당하게 되었으며, 주얼리 분야에서 캐드의 도입은 컴퓨터의 많은 활용으로 이어졌고 이러한 영향으로 정보화 사회라는 새로운 체계를 창조하였다. 그리고 오늘날 모든 디자인 영역에 있어 문자와 타이포그래피는 이제는 더 나아가 읽혀지고 보여주며 들려주기도 하는 시대가 되었다. 이는 타이포그래피의 표현 영역이 그만큼 넓어졌으며, 주관적인 표현도 더욱 자유로워졌고 또한 타이포그래피를 배우는데 알아야 할 것이 더 많아졌다는 것을 의미하기도 한다. 이제 타이포그래피는 디자인에 관련되는 모든 요소인 이미지, 타입, 그래픽요소, 그리고 마케팅에 이르기까지 디자인에 관여되는 모든 행위를 총체적으로 관리하는 디자인의 요체이다. 이에 본 연구는 주얼 캐드를 통한 귀금속 디자인의 방법과 그를 바탕으로 하는 타이포그래피의 특징을 살린 주얼리 디자인을 연구하고, 또한 캐드의 교육적 측면에 대해 논하고자 한다. In the modern jewelry industry is one of the leading value-added industries. The smallest mass-produced varieties of products produced in the structure of the small quantity batch production of the structure were modified, new product development in the form of the precious metals-related CAD/CAM utilizing equipment production is increasing rapidly. One of such areas tend to spread and use of CAD Jewels today by the country`s jewelry industry, automation of product diversification, and rapidly achieve precise role has been to, precious metals in many of the computer use the introduction of CAD These effects led to the information society has created a new system. And today, every design, typography and the area`s character is now being read further shows that the period was up to listen. The expression of typography been that spacious area, organizing more freedom of expression was brought to the typography a lot more to learn to know it also means that is was brought. Now, the design, typography, all elements related to the image, type, graphic elements, ranging from design and marketing of all activities involved in the overall management is the essence of design. The present study through the Jewel CAD Jewelry Design is based in typography and how he saved the lives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jewelry design and CAD of the research on the educational aspect is trying.

      • 무(巫)에서 장신구의 역할과 주얼리 디자인 적용 -무구(巫具)의 스토리텔링을 중심으로-

        홍성백 ( Sung Baek Hong ),차태호 ( Tae Ho Cha ) 한국정보디자인학회 2013 정보디자인학연구 Vol.20 No.-

        무(巫)는 인간이 군집생활을 시작하면서 자연의 경외(敬畏)로부터 시작하여 지금까지 이어져 내려오고 있다. 일부에서는 미신이라고 치부되기도 하지만, 각 민족의 정신문화로서 고대로부터 전해 내려오는 민간의 삶의 한 형태이기도 하다. 이 무에서 제사(祭祀)라는 형식을 빌려 신에게 기원하며, 기복(祈福)을 기원했으며 이는 모든 종교 형식의 한 요소이기도 하다. 학계에서는 이러한 제의(祭儀)에서 신을 영접하는 주술적 도구로서 사용되었던 것이 장신구(裝身具)의 기원이 되었다고 보고 있다. 이는 장신구의 역할이 고대로부터 주술적인 것과 그 맥락을 함께해 왔다는 것을 보여 준다. 현대와 와서도 이 장신구의 역할은 지속되어져 이어 내려오고 있다. 물질문화의 성장으로 인해 인간의 삶에서 주얼리 장신구는 더욱 다양하게 질적, 물적으로 확대되어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주얼리 장신구의 여러 면중 주술적 장신구의 의미 부여를 통한 콘텐츠 개발에 가능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그리고 무(巫) 속에 잠재되어져 있는 이야기를 찾아 스토리텔링 하는 작업이 필요성에 대해 논하고자 한다. 또한 이것들의 상호 접목을 통해 장신구 디자인의 개발 가능성에 대해 제시하고자 한다. 최종적으로 우리의 전통 무속을 통한 주얼리 디자인의 콘텐츠 개발과 발전방향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Shamanism started life as a human community in awe of nature, far from the beginning has been passed down. Some may dismiss as superstition, but each nation`s spirit and culture handed down from ancient times as a form of private life is also. Offerings to lend in the form of a shaman to pray to God, the Blessed and the origin of all religions to come is a component of the form. Academia to accept such an offer from the gods that was used as a magical tool that is reported to have been the origin of accessory . This is the role of accessory from ancient magical as it came with the context suggests. The accessory come in modern times also been sustained after the role is coming down. The growth of material culture in human life more diverse quality jewelery accessory, material is being expanded. In this study, jewelery accessory of various elements of the meaning of magical trinkets content via a grant to investigate the potential to be developed. Shamanism in the story, and find potential storytelling process as the task is to discuss the need. In addition, through a combination of these cross accessory about the possibility of the development of the design proposes.Finally, through our traditional shamanism jewelery design and development direction for the development of the content is evaluated.

      • 전통문양을 바탕으로 하는 장신구 디자인 -고대시대(古代時代)를 중심으로-

        홍성백 ( Sung Baek Hong ) 한국정보디자인학회 2011 정보디자인학연구 Vol.17 No.-

        인류가 시작되고 집단의 형태를 갖춘 이후 장식이란 개념의 꾸밈의 역사는 다양한 형태로 계속되어져 왔다. 이 장신구란 것은 사물에 대한 기초적인 감수성과 섬세함, 창의적인 작품제작을 위한 응용력이 필요하며, 꼼꼼하고 차분히 진행해야 하는 작업상의 특성으로 인해 인내력이 요구되는 작업이기도 하다. 이 장신구 디자인은 인류문명의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해왔으며 오늘날에도 환경과 개인의 문화적 감성을 표현하는 창작 예술의 한 분야로서 인식되고 있다. 우리는 전통을 말하면서 정작 전통에 대해서는 분야가 아니라는 식의 외면이 많았다. 그리고 근대사의 개발과 더불어 자리 잡은 장신구 디자인이라는 학문의 특성 상, 서양의 것을 모방하거나 우선 시하는 경향이 대부분 이었다 이에 본 연구는 상고시대의 문양을 활용한 장신구 디자인에 대해 연구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은 장신구의 역사에 대해 개략적으로 살펴보고 우리의 전통 문양에 대해 기존의 자료를 가지고 알아보고자 한다. 그리고 앞으로 전통문화와 장신구 디자인의 발전방향에 대해 논하고자 한다. Mankind since the start and with groups in the form of decorative embellishment of the history of the concept of continuing in various forms has been. What a precious decorative objects based on the sensibility and delicacy, versatility for the production of creative work is required, and precise and should go through this due to the nature of operational tasks that patience is also required. Two jewelry design in the development of human civilization and have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oday`s environment and cultural sensibilities of the individual to express the creative arts have been recognized as one of the areas. We are a real tradition for tradition, saying the sector was not the exterior of the expressions. And with the development of modern history with a growing jewelry design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phase, or first imitation of the West tend to sihaneun was most. This study utilizes the pattern of the ancient times to study jewelry design is about. How to research the history of jewelry, look at an overview of the traditional pattern we have to evaluate the existing material is. How to research the history of jewelry, look at an overview of the traditional pattern we have to evaluate the existing material is. And in the future development of traditional culture and jewelry designs are for the direction you want to study.

      • 응용논문(應用論文) : 온라인 커뮤니티와 키워드 광고에 관한 연구

        김영우 ( Young Woo Kim ),홍성백 ( Sung Baek Hong ) 한국정보디자인학회 2008 정보디자인학연구 Vol.12 No.-

        인터넷이라는 문화의 한 주류가 형성되면서 국가와는 또 다른 사이버 커뮤니티의 개념이 생겨났다. 이는 기존의 커뮤니케이션 환경의 변화를 말해 주는 것이다. 대중의 커뮤니케이션 체계의 변화는 기업에 대해 커뮤니티로서의 변화를 요구하였다. 그리고 인터넷 혁명의 산물인 사이버 커뮤니티는 새로운 사회관계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치열한 광고 시장에서 새로운 개념의 마케팅을 필요로 하게 만들었다. 인터넷과 사이버 커뮤니티로 대표되는 가상공간을 공략하기 위해 만들어진 온라인 마케팅이 그것이다. 온라인 마케팅은 입소문 마케팅을 비롯해 새로운 광고의 개념을 만들었고 광고 기법에 있어서도 다양한 방식을 내놓았다. 계속되는 새로운 방식의 광고 전략들은 광고 시장을 더욱 세분화 시키고 경쟁은 더욱 치열해 졌다. 본 연구는 이 다양한 시도 속에서 나타난 키워드 광고의 효과와 문제점에 대해 온라인 시장의 발전과 커뮤니티의 변화 그리고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키워드 광고의 정의와 온라인상의 키워드 광고 사례에 대해 살펴보고 이를 이용한 마케팅과 광고 시장에서의 올바른 활용방안을 제시 하고자 한다. A culture of the Internet as a mainstream form another country with the concept of cyber-community elements. This is a change of the existing communications environment will tell us. Changes in the communications systems of public companies was about to change as the community. And the Internet revolution, the production of the cyber community is showing a new social relationship. In addition, marketing and advertising battle in need of a new concept made. The virtual space of the Internet and cyber-community that was created for the attack is that online marketing. Online marketing and word-of-mouth marketing and advertising techniques to create a new ad in the concept of the same variety of methods, he said. A new way of advertising that the advertising market to more competition and has broken down. This study attempts in a wide range of issues about the effectiveness of the keyword advertising, changes in the market and the development of online communication with the community and presents. Studies of the definition of the keyword advertising and keyword advertising practices for online marketing and advertising market, for checking with the study is to present the correct way.

      • 칠보기법을 응용한 문화상품 개발 연구

        최경문 ( Kyung Moon Choi ),홍성백 ( Sung Baek Hong ) 한국정보디자인학회 2012 정보디자인학연구 Vol.18 No.-

        칠보란 금, 은, 유리, 수정, 산호, 마노, 진주 등의 7가지 보석색으로 이루어졌다하여 칠보라 이름 지어졌다. 칠보유약은 투명유약, 반투명유약, 불투명유약 등으로 그 색깔 또한 다양하며 장신구의 표면을 여러 가지 색으로 화려하게 장식하는 표면 기법 및 바탕금속의 내식성, 내수성을 갖게 하여 그 아름다움이 반영구적으로 지속되는 아주 효과적인 금속공예기법이라 할 수 있다, 칠보는 다양한 기법과 다양한 색상의 유약이 있으며, 이러한 칠보공예기법을 응용하여 현대에도 다양한 장신구 작품 및 장식용품, 공예용품 등이 개발, 생산되어지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칠보의 다양한 색상과 칠보기법 중 칠보전사지기법을 응용하여 현대장신구의 목적에 부합하고 일상생활에서 사용할 수 있는 실용성을 갖춘 문화상품을 개발하여, 누구나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식품으로서의 기능을 갖춘 칠보장신구 및 공예품의 새로운 개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Cloisonne gold, silver, glass, and modify, coral, agate, pearl jewelry, including seven kinds of color that was done was named the Cloisonne. Cloisonne enamel glaze is transparent, translucent glazing, opaque glaze ornaments, etc., and the color of the surface also varies in different colors to decorate the surface of the metal based on techniques and corrosion resistance, water resistance and its beauty is to have a very lasting semi-permanent is an effective technique can be metal work. See a variety of colors and glaze a variety of techniques and applications of these cloisonne craft techniques in a variety of contemporary works and decorations ornaments, crafts and development, are being produced. In this paper, different colors of enamel and cloisonne enamel decals techniques with the application of the techniques for the purposes of contemporary jewelry and practicality in everyday life with a culture that can be used to develop products, anyone can be conveniently used as decorative features Cloisonne jewelry, and crafts with the direction of the new development is proposed.

      • 주얼리 디자인을 위한 3D CAD 교육과정에 관한 연구 -공공 직업학교 교육을 중심으로-

        김영훈 ( Young Hoon Kim ),홍성백 ( Sung Baek Hong ) 한국정보디자인학회 2011 정보디자인학연구 Vol.16 No.-

        현재 주얼리 산업에서의 주얼리 디자인 신제품 개발은 거의 대부분 3D 캐드와 RP, CNC 등의 CAM 장비를 활용하여 제작하고 있다. 이러한 실정에도 불구하고 공공 직업학교 주얼리 디자인 교육에서는 3D CAD/CAM 교육보다는 자격증 취득을 위한 귀금속세공 위주의 교육과정 중심으로 직업교육을 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서울,경기 4개 공공직업학교 교육과정의 실태와 기반환경을 연구, 조사하고 이에 적용 가능한 주얼리디자인 직업교육을 위한 통합 3D CAD 교육과정과 교육시스템을 연구하게 되었다. 이를 위하여 공공 직업학교 현 교사 및 강사, 업계의 CAD 실무자를 대상으로 한 3D CAD 교육 관련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 조사를 토대로 현 실태를 분석하여 개선된 통합 3D CAD 교육과정 제안 하게 되었다. 이러한 주얼리 디자인 3D CAD 교육과정을 공공 주얼리 디자인 직업 교육에 적용하였을 때 공공직업교육을 통한 주얼리 산업 3D CAD 직무분야에 지속적으로 능력 있는 전문 기능 인력을 공급 할 수 있을 것이며 직업교육생들의 직무적응능력을 배양하여 취업의 질 향상과 취업 후 잔존률, 장기 근속률 또한 높일 수 있을 것이다. Recently developing new jewelry products is mainly taking advantage of 3D CAD and CAM-RP, CNC and the like. Despite this situation, in technical education institutes of Jewelry Design 3D CAD/CAM is not taught rather workmanship to acquire certificates. Therefore this study covers 3D CAD educational program of the precious metals design-artcraft which is applicable to a course of study in four vocational schools in Seoul, Gyeonggi-do and its educational system and curriculum for 3D CAD. To develop 3D CAD educational system a survey of CAD specialists and instructors on service was carried to research the actual condition and I propose improving 3D CAD educational system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present situation through the survey. In applying this educational 3D CAD curriculum to vocational schools according to their actual circumstances, those schools will be able to supply qualified human resources smoothly and students will be competent 3 D CAD professionals by improving the adaptability to the work so their rate of long term employed and survival would be higher.

      • KCI등재

        성장생물학 : 체지방 감소 다클론 후보 항체가 비거세돈의 체중, 분 소화율 및 혈액 대사물질에 미치는 영향

        최창본 ( Chang bon Choi ),오영균 ( Young Kyoon Oh ),경훈 ( Kyung Hoon Baek ),홍성구 ( Seong Koo Hong ),최창원 ( Chang Weon Choi ),조성 ( Sung Back Cho ) 한국동물자원과학회 ( 구 한국축산학회 ) 2010 한국축산학회지 Vol.52 No.5

        본 연구는 비거세돈 12두를 이용하여 돼지 복강 및 피하지방 감소 후보 항체를 생체 주사 처리 시 체중, 분 소화율 및 혈액 대사물질 등 영양생리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실시하였다. Choi 등(2010)에서 개발된 돼지 복강 및 피하지방 감소 후보 항체를 피하 주사하였을 때 주사 후 4주까지 평균 체중은 수치적 증가가 발생했으나(P>0.05), 전 기간에 걸쳐 수치적 증가를 보여 항체의 처리로 인한 영향보다는 돼지의 일반적인 성장에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항제 주사 처리 시 건물, 조단백질, 조지방 및 조섬유의 분 소화율은 항체 주사 전, 후 및 시험구 간의 통계적 유의성이 나타나지 않았다(P>0.05). 조회분 소화율의 경우 항체 주사 후 2주째 control에서 감소를 및 4주째 NAb에서 증가를 보였으나(P< 0.05), AAb 및 SAb에서는 유의적 변화가 없었다. 혈액 대사물질의 변화에서는 항체 주사 후 4주의 AAb 및 SAb에서 BUN 농도가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하지만, 후보 항체 주사 전에서도 유사한 패턴으로 유의적 증가를 보여 항체 처리에 의한 차이보다는 개체간의 차이로 사료된다. 혈액 내 glucose 및 TG 농도는 후보 항체 처리에 의한 유의적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P>0.05). 체지방 함량과 밀접한 관계에 있는 혈액 내 TC 농도에서는 control 대비 후보 항체 주사 후 4주차 AAb 및 SAb에서 유의적 감소가 나타나(P<0.05), 체지방 감소가 일어나고 있음을 간접적으로 추론할 수 있다. 이상의 결과를 볼 때, 본 연구에서 이용된 AAb 및 SAb는 in vivo 영양생리대사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지 않는 안전한 항체로 판단된다. Twelve pigs were us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olyclonal antibody candidate against abdominal (AAb) and subcutaneous adipocyte membrane proteins (SAb) on body weight, fecaldigestibility and blood metabolites. When AAb and SAb developed by Choi et al. (2010) were injected to pigs, the numerical increase in BW (body weight) occurred at 4 weeks post-treatment, but BW for an entire period was also increased, indicating that the BW increase may not be affected by the antibodies injection. Antibodies treatment did not affect (P>0.05) fecal digestibility of dry matter, crude protein, crude fat and crude fiber. Fecal digestibility of crude ash for control (no treatment) at 2 weeks decreased, and that for non-immunized serum treatmentgroup at 4 weeks post-treatment increased, respectively (P<0.05). However, fecal digestibility of crude ash for AAb and SAb groups did not significantly change. At 4 weeks after the antibodies treatment, blood urea N concentration for AAb and SAb groups was significantly increased (P<0.05). However, these increases may not be caused by the antibodies treatment because similar pattern in blood urea N concentration occurred before the antibodies treatment. Antibodies treatment did not affect concentration of plasma glucose and triglycerides (P<0.05). Compared with control, concentration of plasma total cholesterol for AAb and SAb groups at 4 weeks post-treatment was significantly (P<0.05) decreased. This may suggest that body fat reduction possibly occurs. In conclusion, the AAb and the SAb developed by Choi et al. (2010) may have safety in nutritional physiological metabolism in pigs. Further study on in vivo fat reduction of the antibodies against abdominal and subcutaneous adipocytes of pigs should be required for fat-reduced pork produ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