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오미자 추출액 첨가 요구르트의 식중독균 증식 억제 효과

        홍경현,남은숙,박신인 한국축산식품학회 2003 한국축산식품학회지 Vol.23 No.4

        Escherichia coli O157:H7, Staphylococcus aureus와 Salmonella enteritidis는 식품에 의해 전염되는 식품질환성 병원균으로서 세계적으로 알려진 식중독 미생물이다. 오미자 물 추출액 첨가 drink yoghurt에 오염된 식중독 유발균인 Esc. coli O157:H7, Sta. aureus와 Sal. enteritidis의 생존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오미자 물 추출액이 식중독 유발균에 대한생육 저해 활성을 검토하였고, 시험 균주의 최종 균체 농도가 $10^{5}$ CFU/mL 수준이 되도록 오미자 물 추출액 첨가 drink yoghurt에 Esc. coli O157:H7, Sta. aureus와 Sal. enteritidis를 각각 접종하여 37$^{\circ}C$에 배양하면서 시간별로 시험 균주들의 생존 균수를 측정하였다. 시험 결과 시험에 사용된 오미자 물 추출액의 첨가 농도가 증가할수록 모든 시험 균주에서 강한 증식 억제력이 나타났다. 대조구에 비해 오미자 물 추출액 0.4 ,0.6, 0.8과 1.0% 첨가구에서 Esc. coli O157:H7은 각각 0.13, 0.89, 1.99와 2.55의 log cycle 감소 현상을 보였고, Sta. aureus는 각각 0.45, 3.74, 4.13과 5.24의 log cycle이 감소되었으며, Sal. enteritidis는 각각 0.22, 3.44, 4.02와 4.07의 log cycle 감소가 나타나 모든 시험 균주에서 뚜렷한 성장 억제 효과가 관찰되었다. 오미자 물 추출액의 식중독 유발균에 대한 성장 저해 효과는 Sta. aureus, Sal. enteritidis, 그리고 Esc. coli O157:H7의 순으로 강하게 나타났다. 오미자 물 추출액을 0.4, 0.6, 0.8과 1.0% 첨가한 drink yoghurt 내에서 3.55${\times}$$10^{5}$ CFU/mL 수준으로 접종한 Esc. coli O157:H7은 24시간 배양시 1.00${\times}$$10^1$∼3.00${\times}$$10^1$ CFU/mL로 감소되었으며, 48시간 배양하였을 때에는 생육이 완전히 억제되었다. 그리고 1.24${\times}$$10^{5}$ CFU/mL 수준의 Sta. aureus를 접종한 경우 24시간 배양 후 아주 미약한 생존 균수의 감소를 보였으나 48시간 배양시 4.00${\times}$$10^2$∼8.50${\times}$$10^2$ CFU/mL 수준으로 감소하였고, Sal. enteritidis를 1.81${\times}$$10^{5}$ CFU/mL 수준으로 접종한 경우 24시간 배양 후부터 전연 증식을 나타내지 않았다. 이와 같이 오미자 물 추출액 첨가에 의해 drink yoghurt 내에서 식중독 유발균들의 증균 억제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할 수 있었다. Escherichia coli O157:H7, Staphylococcus aureus and Salmonella enteritidis are food borne pathogens involved in food poisoning in numerous countries. This study aimed to obtain knowledges on the survival of Esc coli O157:H7, Sta aureus and Sal. enteritidis in the yoghurt added with water extract of Omija(Schizandra chinensis). The growth inhibition of Schizandra chinensis extract on the food borne pathogens were measured by total microbial count and effect of growth inhibition was correspondent to the concentration of Schizandra chinensis extract. The highest growth inhibition effect of Schizandra chinensis extract was shown on the Sta aureus followed by Sal. enteritidis and Esc. coli O157:H7. The number of surviving Esc. coli O157:H7 cell(3.55${\times}$10$\^$5/ CFU/mL) was decreased to 1.00${\times}$10$^1$∼3.00${\times}$10$^1$ CFU/mL after 24 hours incubation by the addition of 0.4∼l.0% of Schizandra chinensis extract in the yoghurt. And also the viable cell counts of surviving Sta. aureus cells (initial inoculum 1.24${\times}$10$\^$5/ CFU/mL) were decreased gradually to 4.00${\times}$10$^2$∼8.50${\times}$10$^2$ CFU/mL after 48 hours of incubation, but the viable cells of Sal. enteritidis were not detected after 24 hours of incubation. Growth of the food borne pathogens was strongly inhibited by the addition and incubation of Schizandra chinensis extract for 48 hours in the yoghurt.

      • KCI등재후보

        오미자(Schizandra Chinensis) 물 추출액이 Yoghurt Starter의 증식에 미치는 영향

        홍경현,남은숙,박신인 한국축산식품학회 2003 한국축산식품학회지 Vol.23 No.4

        오미자 물 추출액을 첨가한 드링크 타입 요구르트를 개발하기 위한 기초 연구로 오미자 물 추출액 제조를 위한 최적 추출 조건을 확립하였고, 오미자 물 추출액이 유산균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으며 오미자 물 추출액 첨가 드링크 타입 요구르트를 저장하는 동안 유산균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오미자의 최적 추출 조건은 오미자를 50배수의 물로 추출 온도 2$0^{\circ}C$에서 15시간 추출하는 것이 가장 적합하였으며, 추출액의 pH는 3.07, 산도는 2.39%, 당도는 1.10%, 색 흡광도는 0.15이었다. 오미자 물 추출액의 첨가 농도(0.1, 0.2, 0.3, 0.4, 0.5, 0.6, 0.7, 0.8, 0.9와 1.0%)에 따른 유산균 증식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12시간 배양에서 Lac. acidophilus가 0.9% 첨가에서도 가장 안정된 생육을 보였으며 그 다음이 Lac. casei, Lac. bulgaricus와 Str. thermophilus 순으로 각각 오미자 물 추출액 0.8%, 0.2%, 0.1% 첨가 수준에서 생육이 유지되었다. 따라서 오미자 물 추출액 첨가 드링크 타입 요구르트 제조시 Lac. acidophilus를 starter로 사용하는 것이 가장 적절하였다. 오미자 물 추출액을 0.4%, 0.6%, 0.8%, 1.0%첨가하여 제조한 드링크 타입 요구르트를 4$^{\circ}C$에서 15일 동안 저장하였을 때 15일째의 유산균수는 각각 1.77${\times}$$10^{9}$ CFU/mL, 2.29${\times}$$10^{9}$ CFU/mL, 1.27${\times}$ $10^{9}$ CFU/mL, 1.13${\times}$$10^{9}$ CFU/mL로 약간 감소하였으나 0일의 기준 시료와 큰 차이 없이 유사한 균수를 유지하였다. 이것은 축산물의 가공 기준 및 성분 규격에 나타난 농후 발효유의 법적 유산 균수(1.0${\times}$$10^{8}$ CFU/mL 이상)를 충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effect of water extract of Schizandra chinensis on the growth of yoghurt starter was investigated in order to manufacture the drink type yoghurt added with water extract of Schizandra chinensis. It was the most desirable extraction conditions for Schizandra chinensis to soak in 50 times of water for 15 hours at 20$^{\circ}C$. The water extract of Schizandra chinensis showed pH 3.07, 2.39% acidity, 1.10% total sugars, and 0.15 optical density for color. The water extract of Schizandra chinensis was added to MRS broth medium from 0.1% to 1.0% and the medium was fermented by 4 types of lactic acid bacteria such as Lactobacillus acidophilus, Lactobacillus casei, Lactobacillus bulgaricus, and Streptococcus thermophilus. The addition of water extract of Schizandra chinensis inhibited the growth of the lactic acid bacteria. The maximum addition amounts of water extract of Schizandra chinensis was 0.9% for Lac. acidophilus, 0.8% for Lac. casei, 0.2% for Lac. bulgaricus and 0.1% for Str. thermophilus in order to maintain the propagation of the lactic acid bacteria. When the drink type yoghurts added with 0.4%, 0.6%, 0.8% and 1.0% water extract of Schizandra chinensis were kept at 4$^{\circ}C$ for 15 days, it was showed that the number of lactic acid bacteria was not significantly changed during the storage. The viable cell counts of the drink type yoghurts by addition of 0.4∼l.0% of water extract of Schizandra chinensis were 1.13${\times}$10$\^$9/∼2.29${\times}$10$\^$9/ CFU/mL, and these bacterial counts were still more than the legal standard(1.0${\times}$10$\^$8/ CFU/mL) even at 15 days of storage.

      • KCI등재
      • KCI등재후보

        매실 과육 첨가가 제빵 적성에 미치는 영향

        박신인,홍경현 한국식생활문화학회 2003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Vol.18 No.6

        The effects of Japanese apricot(Prunus mume Sieb. et Zucc.) flesh on baking properties of white breads were investigated by evaluation of specific loaf volume, pH, acidity, rheological property, color and sensory quality. Bread was processed by adding 4.7%, 9.4%, 14.1% and 18.8% of Japanese apricot flesh to basic formulation. The compositions of Japanese apricot flesh were 88.19% moisture, 0.45% crude ash, 4.10% dietary fiber, 4.04% citric acid and 0.41% total sugars. The specific loaf volume of the breads was decreased from 3.274mL/g to 1.857mL/g as Japanese apricot flesh contents increased from 0% to 18.8%. The pH of the breads decreasd but the acidity of those increased as the percentage of Japanese apricot flesh to wheat flour increased. Lightness(L value) of the breads decreased by the addition of Japanese apricot flesh, while yellowness(b value) and redness(a value) increased. Texture measurement showed that springiness, cohesiveness and resilience decreased with increase of Japanese apricot flesh contents. While, hardness, gumminess and chewiness were the lowest in the bread with 9.4% Japanese apricot flesh, and increasd in the bread with 4.7%, 14.1% and 18.8% Japanese apricot flesh contents. In sensory evaluation, the highest sensory scores for flavor, taste, aftertaste and overall acceptability were obtained when Japanese apricot flesh content was 4.7%, and softness and chewiness was the best when 9.4% of Japanese apricot flesh was added. The moisture content of the breads containing Japanese apricot flesh was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to add no flesh during storage at 25℃. Based on physical, rheological and sensory evaluation, addition of 4.7~9.4% Japanese apricot flesh suggested to be acceptable for processing bread.

      • KCI등재후보

        치즈 제품의 조직특성 및 규격연구

        함준상,정석근,김현수,홍경현,조은정,안종남,이종문 한국축산식품학회 2003 한국축산식품학회지 Vol.23 No.1

        국민소득의 증가와 수입자유화에 따라 치즈 소비량도 매년 증대되어 1991년 8천 5백톤에서 2001년에는 5만 3천여톤으로 10년간 6배 이상의 소비증대를 나타내었으며, 같은 기간 신선한 치즈(H.S. 0406.10.1000)의 수입량도 2톤, 3만 달러에서 2만톤, 4천 9백만 달러로 양으로는 만 배, 금액으로는 1,600여배 증가하였다. 또한, 가공 치즈에 있어서도 1991년 4,790톤에서 2001년 24,973톤으로 5.2배의 소비증가를 나타내었으나 성분규격 및 분류체계는 적절하지 못하게 규정되어 있다. 자연치즈의 경우 정의에 따라 총고형분이 유고형분과 차이가 없을 것으로 생각되며, 한 종의 연성치즈를 제외하고는 모두 규격을 만족시켰으나 유고형분 함량에 따라 '생치즈'와 '연성치즈'가 구별되지는 않았다. 따라서, CODEX의 규정을 참조하여 지방을 제외한 성분중 수분함량(MFFB)에 따라 초경질, 경질, 반경질, 연질로 구분하는 것이 치즈의 조직적 특성을 고려할 때 적절하리라 생각되며, 건물중 지방함량에 따라 60% 이상을 '고지방', 25∼60%를 '중지방', 25% 이하를 '저지방'으로 분류하는 것이 바람직하리라 생각된다. 가공치즈는 소비자의 기호에 따라 다양한 제품이 개발되고 있으며 앞으로도 더욱 소비확대가 기대되는 제품으로서, 유고형분 15∼34% 제품을 '치즈가공품'으로 분류하여 규정하는 것이 가공치즈의 개발 및 소비촉진을 위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Cheese consumption in Korea has continuously increased far the last decades by industrialization and globalization. In addition, import of fresh cheese has increased from 2 tons, and 30 thousand dollars in 1991 to 20 thousand tons, and 49 million dollars in 2001. However, Korea standard for cheese differs from CODEX, and is not consistent. To investigate more proper standards for cheese, 20 natural cheeses and 17 process cheeses were obtained from market and analysed. All the cheeses except 1 soft cheese met the standard, but 'unripened cheese' was not different from 'soft cheese' in milk solid content. Natural cheese firmness showed exponential inverse relationship(R=0.8226) to moisture on a fat-free basis(MFFB) which is used for the natural cheese standard in CODEX. Therefore, it was thought appropriate to refer to CODEX standard for using textural terminology in Korea standard for natural cheese. For process cheese, milk solid cant be estimated by the analysis, and there are no merits and penalties by the classification. It was thought proper to classify the process cheese by types, such as 'Powder', 'Slice', 'Spread', and 'Portion'. Rule for 15∼34% milk solid content of products should be prepared in standard for animal products as 'Process cheese products' for the promotion of development and consumption of cheese.

      • KCI등재

        아마인에 함유된 시안배당체의 분석과 저감화

        박은령(Eun-Ryong Park),홍진환(Jin-Hwan Hong),이동하(Dong-Ha Lee),한상배(Sang-Bae Han),이강봉(Kang-Bong Lee),박재석(Jae-Seok Park),정형욱(Hyung-Wook Chung),홍경현(Kyung-Hyun Hong),김명철(Myung-Chul Kim)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5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4 No.6

        아마인의 linustatin과 neolinustatin은 가수분해되어 acetone, hydrogen cyanide(HCN) 그리고 sugar를 생성하는 diglucoside 시안배당체로써 가수분해물인 HCN의 독성으로 인해 식품의 안전성에 문제가 되고 있다. 80% methanol 추출과 LC/MSn에 의한 정성분석과 RI-LC에 의한 아마인에서 함유된 시안배당체 함량을 조사한 결과, linustatin과 neolinustatin이 각각 평균 206.5 ㎎/100 g과 174.2 ㎎/100 g 함유되어 있었다. 또한 autohydrolysis 후 증류액으로부터 IC 분석에 의해 HCN 137.38 ㎎/㎏이 가수분해되어 유리됨을 알 수 있었다. 시안배당체의 저감화를 위하여 가열처리를 수행한 결과, 아마인은 200oC에서 2시간 이상 가열시 85%이상의 linustatin과 neolinustatin 그리고 HCN의 제거효과를 보였다. 특히 200℃에서 30분 가열시 98%의 HCN이 제거됨을 관찰할 수 있었다. Linustatin and neolinustatin in flaxseed are called cyanogenic glucosides which produce acetone, hydrogen cyanide (HCN) and sugar when hydrolyzed. The HCN is the chemical whose toxin is being issued in food safety. Linustatin and neolinustatin were found in flaxseed by 206.5 and 174.2 ㎎/100 g, respectively using a RI-HPLC and LC/MSn analysis of 80% methanol extraction. Also, HCN (137.38 ㎎/㎏) was found in flaxseed distillate by autohydrolysis and IC analysis. More than 85% of linustatin, neolinustatin and HCN were removed when flaxseed was heated for more than 2 hours in 200℃. Especially, HCN was decreased to 98% by heating only 30 min in 200℃.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