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Hairless Mice를 이용한 광노화 모델에서 꾸지뽕나무 추출물의 피부주름 형성 억제효과

        김옥경(Ok Kyung Kim),호진녕(Jin-Nyoung Ho),남다은(Da-Eun Nam),전우진(Woojin Jun),이정민(Jeongmin Lee)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3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2 No.4

        본 실험에서는 안전하고 우수한 효과를 지닌 천연항산화제의 광노화에 의한 피부주름 형성을 억제하는 천연물질을 탐색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CTL80의 식이투여와 로션 도포가 광노화를 유발한 동물모델에서 주름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광노화 유발 동물모델을 만들기 위해 hairless mice에 10주 동안 UVB 조사를 주 3회 실시하였다. 형태학적 변화를 관찰한 결과 UVB를 조사한 군은 각질이 증가하고 주름 능선의 두께가 굵고 주름이 깊게 형성한 반면, 양성대조군인 비타민 C와 CTL80 처리한 군에서 주름 형성이 감소하였으며, 특히 2% CTL80 로션 도포군이 가장 주름 형성을 억제하였다. 피부조직의 H&E 염색을 통한 조직학적인 변화에서는 UVB 조사로 두꺼워진 각질층과 표피층을 관찰하였으며 진피층의 교원섬유가 감소되었음이 관찰되었다. CTL80은 각질층과 표피층의 증가를 감소시켰으며 진피층의 교원섬유를 증가시켰음을 관찰하였다. 형태학적 변화와 같이 2% CTL80 로션 도포군의 효과가 가장 양호하게 나타났다. 항산화 상태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동물 혈청의 SOD와 GSH-Px의 활성을 측정한 결과, 비타민C와 CTL80처리 군에서 UVB만 조사한 군에 비하여 활성이 유의적으로 높아졌음을 살펴볼 수 있었다. 항산화 활성 또한 CTL80에 농도 의존적이지는 않았으나 식이 투여군에 비하여 로션 도포군에서 높은 활성을 보였다. 교원질 합성을 억제하고 분해를 촉진시키는 MMPs(MMP-1, MMP-3, MMP-9)의 발현을 실시간 정량 PCR로 측정하여 발현 변화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식이 투여군과 로션 도포군 모두 UVB 조사군에서는 발현이 현저히 높아졌으나 비타민 C와 CTL80 처리 군에서 유의적으로 낮아졌음을 살펴볼 수 있었다. 특히 CTL80 로션 도포군에서 MMP-9의 발현이 확연히 낮아졌음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CTL80은 높은 항산화 활성을 지녔으며 이러한 항산화능을 통하여 UVB로 광노화를 유발시킨 동물모델에서 주름 생성 억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주름 억제 효능을 지니는 기능성 소재로써 개발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We investigated the anti-wrinkle activity of an 80% ethanol extract of Curdrania tricuspidata leaves (CTL80) on ultraviolet-induced photoaging in hairless mice. Skin wrinkles were induced by 10 weeks of UVB-irradiation on the back of Skh-1 hairless mice three times a week. Mice were divided into ten groups; normal control (-UVB), UVB irradiated control group (+UVB), dietary groups (UVB+ascorbic acid 0.1%, UVB+CTL80 0.1%, UVB+ CTL80 0.25%) and topical application groups (-UVB+base lotion (BL), UVB+BL, UVB+ascorbic acid 1%+BL, UVB+CTL80 1%+BL, UVB+CTL80 2%+BL). Wrinkle formation, histological changes, superoxide dismutase (SOD) activities, glutathione peroxidase (GSH-Px), and the expression of matrix metalloproteinases (MMP-1, MMP-3 and MMP-9) were analyzed. Wrinkles for the +UVB groups formed as a pattern of deep furrows and thick crests. Wrinkles with CTL80 treatment formed as a pattern of shallow furrows and thin crests, with wrinkle areas were lower than the +UVB group. In an antioxidant analysis of mouse blood, SOD and GSH-Px activitie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CTL80 topical application group compared to the +UVB group. The mRNA expression of MMPs in the +UVB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normal control group, and significantly lower in the CTL80-treated group. In conclusion, CTL80 exerted anti-wrinkle activity on ultraviolet-induced photoaging by regulating antioxidative defense systems and MMPs expression.

      • KCI등재

        복분자(Rubus coreanus Miquel)로부터 Helicobacter pylori Urease Inhibitor의 분리 및 특성

        양성우(Sung Woo Yang),호진녕(Jin Nyoung Ho),이유현(Yoo Hyun Lee),신동훈(Dong Hoon Shin),홍범식(Bum Shik Hong),조홍연(Hong Yon Cho)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4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3 No.5

        위염과 위궤양의 일차적 발병인자로 알려진 Helicobacter pylori의 생육을 억제하고 urease 산물인 암모니아의 축적에 의한 위점막 손상을 완화시킬 목적으로 복분자로부터 H.pylori urease 저해물질을 분리정제하고 소재화와 관련된 일부 성질을 규명하였다. 양념채소류, 차류, 죽류, 건강채소류 등의 식용식물, 약용식물, 허브 및 해조류, 총 173종으로부터 극성도에 따라 계통추출한 수용성인 냉수추출물(Fr. 1), methanol 추출물(Fr. 4), 열수추출물(Fr. 5) 519점을 대상으로 H.pylori urease 저해활성을 검색하였다. 1차 및 2차 저해활성 검색 결과 복분자의 70% acetone추출물이 약 24%의 가장 높은 저해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이 추출물을 ethyl acetate와 butanol을 사용하여 ethyl acetate/DW layer(RCE/RCW1)와 butanol/DW layer(RCB/RCW2)로 순차 분획한 후 활성획분인 RCW2 내의 활성본체를 확인할 목적으로 periodate oxidation과 pronase digestion을 실시한 결과 펩타이드 또는 단백질성 물질로 판명되었다. 저해활성물질은 DEAE-Toyopearl 650C, Butyl-Toyopearl 650M 및 Sephadex LH-20 순의 column chromatography에 의해 분리정제되었다. 분리urease 저해물질, RCW2-Ⅲcα는 HPLC의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에 의해 비교적 순도 높은 분자량 약 13 kDa의 단일 물질임이 확인되었다. 저해활성물질은 열에 안정성을 보이는 내열성 단백질임을 알 수 있었고 위내 단백분해효소인 pepsin에도 가수분해 저항성을 나타냄으로써 기능성식품의 소재로 높은 소재화 적성을 보였다. A Helicobacter pylori urease inhibitor from Rubus coreanus Miquel has been isolated and partially characterized for aiming to prevent H. pylori growth and decrease harmful accumulation of ammonia in human gastric mucosa. We screened urease inhibitory activities in 519 extracts library prepared by solvent extraction from 173 kinds of edible plants, medicinal herbs, herbs and seaweeds using a colorimetric urease assay system. As results of primary and secondary screening, 70% acetone extract of Rubus coreanus Miquel was selected as potent candidate, showing about 24% inhibitory activity. The acetone extract was sequentially partitioned into RCE/RCW1 and RCB/RCW2 layers with ethyl acetate and butanol. The major active component in RCW2, water layer from butanol fractionation was revealed to be peptidic or proteinous substance by inhibitory activity determination after pronase digestion and periodate oxidation. RCW2-Ⅲc α was isolated by sequential column chromatography on DEAE-Toyopearl 650C, Butyl-Toyopearl 650M and Sephadex LH-20. The isolated urease inhibitor, RCW2-Ⅲcα, was highly pure proteinous substance with molecular weight of 13 kDa by high-performance gel permeation liquid chromatography. RCW2-Ⅲcα has about 5 times higher inhibitory activity than 70% acetone extract, showing high stability against heat treatment and peptic digestion.

      • KCI등재

        산화적 손상에 대한 꾸지뽕나무 잎, 열매 및 줄기 추출물의 간세포 보호효과

        김옥경(Ok Kyung Kim),호진녕(Jin-Nyoung Ho),남다은(Da-Eun Nam),전우진(Woojin Jun),황권택(Kwon-Tack Hwang),강정은(Jung Eun Kang),채옥순(Ok Soon Chae),이정민(Jeongmin Lee)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2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1 No.1

        본 연구에서는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한 간 손상 개선 소재개발을 위하여 꾸지뽕나무 각 부위별(잎, 줄기, 열매), 용매별(80% 에탄올, 10% 에탄올, 물)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간세포 보호효과를 측정하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꾸지뽕 잎 80% 에탄올 추출물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부위별로는 잎>줄기>열매 순이었고, 추출용매별로는 80% 에탄올>10% 에탄올>물 추출물 순으로 나타났다. DPPH 라디칼 소거능과 ABTS 라디칼 소거능 또한 잎 80% 에탄올 추출물이 가장 높았으며, HepG2 세포에서 H2O2로 유도된 산화적 손상에 대해서는 꾸지뽕 잎 80% 에탄올 추출물만 유의적으로 높은 세포보호활성을 나타내었으며, HepG2/2E1 세포에서 알코올로 유도된 산화적 손상에 대한 각 부위별, 용매별 추출물의 간세포보호효과 또한 꾸지뽕 잎 80% 에탄올 추출물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부위별로는 잎>줄기>열매 순이었고, 추출 용매별로는 꾸지뽕 잎의 경우 80% 에탄올>10% 에탄올>물 순이었으며, 줄기와 열매의 경우는 용매별로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꾸지뽕나무 잎 추출물은 우수한 항산화활성을 가질 뿐만 아니라 H2O2와 알코올로 유도된 간 손상으로부터 간세포 보호활성을 보임을 확인하였다. 이에 꾸지뽕나무 잎 추출물은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한 간 손상으로부터 간세포 보호효과를 갖는 기능성 소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We investigated the antioxidant and hepatoprotective effects of extracts from the leaves, stems, and fruit of Cudrania tricuspidata (CT) against H2O2 or ethanol-induced oxidative damage. The total polyphenol and flavonoid content was the highest in the 80% ethanol extracts from the leaves of the plant (CTL80). Also, th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DPPH and ABTS in the CTL80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non-treated control. To determine the hepatoprotective effects of CT in H2O2 and ethanol-induced oxidative damage, cell viability was measured using an XTT assay. Pre-treatment of CTL80 significantly increased cell viability compared with the non-treated control cells by 71.21% and 80.40%, respectively. The data suggests that CTL80 exhibits hepatoprotective antioxidant effects. Therefore, CTL80 may be considered a potential agent to control H2O2 or ethanol-induced liver damage.

      • PC3DR2 전립선암세포주의 Doxetaxel 내성 발현에서 세포고사관련 유전자의 이질적 발현

        이학민(Hakmin Lee),호진녕(Jin-Nyoung Ho),이상철(Sang Chul Lee),오종진(Jong Jin Oh),홍성규(Sung Kyu Hong),이상은(Sang Eun Lee),변석수(Seok-Soo Byun) 대한비뇨기종양학회 2014 대한비뇨기종양학회지 Vol.12 No.2

        Purpose: To understand the role of the apoptotic pathway of docetaxel- resistant human prostate cancer cell line (PC3DR2). Materials and Methods: PC3DR2 was established from the PC3 prostate cancer cell line by continuous exposure of escalating concentrations of docetaxel. Total RNA of PC3 and PC3DR2 were collected and cDNA microarray test was performed using GeneChip<SUP>ⓡ</SUP> Human Genome U133 Plus 2.0 Array. GenePlex<SUP>ⓡ</SUP> software was used for data analysis. Significantly different genes were identified with the cutoff 2.0 of fold change and p-value under 0.05 of Welch’s T-test. The apoptotic pathway heatmap was acquired to identify roles of apoptosis-related genes in development of docetaxel-resistance of PC3DR2. Results: There were 833 up-regulated and 908 down-regulated genes in the PC3DR2 compared to the control PC3. There were 72 significantly changed KEGG pathways in the PC3DR2 (cutoff: p<0.05). There were 3 up-regulated (TRADD and 2 FLIPs) and 6 down-regulated (IAP, IKK, Bax, Akt/PKB, PKA and calcineurin) genes in the apoptotic pathway. These 9 changes led to 4 pro-apoptotic and 5 anti-apoptotic processes, indicating contradictory changes in the pathway. Conclusions: Heterogeneous expressions of apoptosis-related genes were identified in the development of docetaxel resistance of the PC3DR2.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