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TKE Distribution According to the Intake Valve Angle in Steady Flow of the Pent-Roof SI Engine

        현지혜,엄인용 한국자동차공학회 2021 International journal of automotive technology Vol.22 No.4

        This paper is for the investigation on the turbulence kinetic energy distribution according to the design parameters of the intake system. The design parameter to be discussed is the intake valve angle. For this purpose, particle image velocimetry was introduced into the steady flow bench, in which four engine heads with 11, 16, 21 and 26 ° valve angles were evaluated changing valve lift.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at 1.75 B evaluation position. The effect of valve angles and lift was analyzed by the planar flow characteristics of in-cylinder flow and the turbulence kinetic energy variation along the radial direction. 11, 16, and 21 ° have high turbulence kinetic energy near the cylinder wall with the highest flow velocity, and the turbulence kinetic energy around the swirl center is relatively low, indicating the same qualitative characteristics. 26 ° tends to be differentiated from other valve angles, and spatially very complex and fluctuating flow occurred. Complex turbulence kinetic energy distribution pattern appears at all valve angles, while the average turbulence kinetic energy shows a parabolic form as the valve lift increases because of the influence of the flow entry direction by the valve lift.

      • KCI등재
      • 명말불교계의 새로운 불학 모색 - 감산덕청의 회통관을 중심으로 -

        현지혜 ( Hyun Ji-hye ) 한국밀교학회 2023 불교학밀교학연구 Vol.4 No.-

        명대(明代) 불교에 대한 평가는 다양하다. 불교 내부에서는 제종(諸宗) 융합의 움직임이 진행되고, 외부에서는 삼교(三敎)의 회통(會通) 경향이 농후해져 불교만을 추출해 논의하는 것이 곤란해짐은 물론이고, 유(儒)·불(佛)·도(道) 모두 이미 기성 교학을 그대로 전승할 수 없는 상황이었다. 이러한 흐름에 직면한 명대 불교는 부흥을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특정된 학파를 내세우지 않고 여러 학파의 학설을 골고루 받아들였는데, 여기서 조화(調和)·상통(相通)의 특징이 뚜렷하게 드러났다. 특히 명말 4대 고승들은 선교(禪敎)·선정(禪淨)·삼교(三敎)에 이르기까지 서로 다른 종파와 학풍을 자신들의 소양에 따라 융합·회통시켰다. 본고는 이러한 명말 불교계의 사상적 전개를 회통의 관점으로 당시 불교계를 이끌었던 4대 고승, 특히 감산덕청의 선교일심론(禪敎一心論)과 선정쌍수론(禪淨雙修論)을 살펴보았다. 논자는 특히 덕청 자신이 체증(體證)하며 완성된 선정(禪淨)의 회통관에 기반해 완성한 ‘참구염불(參究念佛)’ 수행법에 주목했다. 덕청의 선정쌍수론이 그 이전의 이론과 구분되는 특징, 그리고 덕청과 동시대에 선정쌍수론을 주장했던 이들과의 차이점은 무엇인지 살펴보고, 명말 불교사상사의 맥락에서 덕청의 선정쌍수론과 참구염불 수행법이 갖는 의의를 찾아보고자 했다. The situation in which Buddhism was in at the end of Ming Dynasty is seen as a phenomenon of recession for the religion or as a trend of ideological renaissance. There was a trend of orientation toward the harmony of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in the world of thoughts those days, and a movement emerged under its influence for various denominations of Buddhism to fuse together. Based on the opinions that thought positive of this ideological development in Buddhism, this investigator focused on the establishment of a practice theory called Simultaneous practice of Zen meditation and Buddhist prayers(禪淨雙修) and Buddha-recollection meditation around the four major high priests that led Buddhism those days, especially Hanshan Deqing(憨山德清). Investigation of Buddhist Prayers(參究念佛) is a kind of variation of wordcontemplation meditation using Buddha's name as a Hwadu or Koan, notmeditation with simple recitation or incantation of the name of Buddha.

      • KCI등재

        교사의 피드백이 고등학생의영어 쓰기 수행에 미치는 영향

        현지혜 ( Ji Hae Hyun ),이정원 ( Jeong Won Lee )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5 인문학연구 Vol.51 No.1

        영어 쓰기는 EFL 학습자들이 가장 부족한 기능이므로 이들의 영어 쓰기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학습자들이 글을 쓰면서 범하게 되는 오류에 대해 교사가 제공하는 피드백에 따라 자신들의 오류를 수정하는 활동이 그들의 영어 쓰기 수행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데 있다. 본 연구를 위해 20명의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실험을 통해 이들의 영어 쓰기 능력이 어떻게 향상되는지 알아보기 위해 사전 검사와 사후 검사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비교하였고, 실험 동안 4번의 쓰기(기술체 2번과 이야기체 2번)를 실시하여 그 결과물에 대해 교사가 과정-중심 접근방식에 따라 제공하는 피드백을 근거로 자신의 글을 수정하게 했다. 이때 교사는 오류 수정 기호를 학생들에게 제공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양적.질적 방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학습자가 범한 오류에 대해 교사가 제공한 피드백을 기초로 학습자가 스스로 오류를 수정한 결과, 20명 중 14명의 쓰기 점수가 향상되었다. 이는 별도의 쓰기 교육 없이 쓰기 활동만으로도 쓰기 능력이 향상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4번의 쓰기 과업에 대해 분석한 결과, 글을 써나감에 따라 그들이 범하는 오류의 수가 줄어들었다. 이는 교사가 제공하는 피드백이 학습자의 오류 수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English teachers should realize the necessity and importance of English writing as an integrative skill which needs to be encourage in the classroom setting. Since writing is widely considered the area in which EFL learners lack most, more research is need to explore how to improve their English writing proficiency.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eachers`` feedback on high school students`` errors they committed while writing on their English writing performance. The data for this experiment was gathered from 20 high school students. First, they were also asked to take pre- and post-test with the same topic to find out how their writing performance would be improved by the four times of writing practices. Next, the participants were also asked to write 4 essays (2 descriptive and 2 narrative writings) during the experiment periods. They were given a handout of the teacher``s correction marks and asked to make corrections on their writing based on the marks. When evaluating the r writing products, errors were counted from every 2nd draft. And the data were analyzed quantitatively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nd qualitative by exploring their errors in their writing sample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teacher``s feedback helped the participants to correct their errors and then to improve their writing ability. Specifically, 14 out of the 20 students got higher marks in the post-test than the pre-test. And the number of errors they committed while writing decreased throughout the treatment. In general, the quality of the learners`` writing performance improved significantly after the treatment.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investigate what kind of teacher feedback would be more beneficial, and what other linguistic areas can be improved by teacher feedback and the learners`` error correction.

      • KCI등재

        반 쐐기형 연소실을 채택한 SI 기관에서 포트형상이 정상유동 특성에 미치는 영향 (3)

        현지혜(Jihye Hyun),엄인용(Inyong Ohm) 대한기계학회 2018 大韓機械學會論文集B Vol.42 No.10

        본 논문은 반 쐐기형 연소실에서 포트형상에 따른 정상유동 특성을 비교한 연구의 세 번째로 충격식 스월 측정기와 입자영상 유속계의 평가를 비교한 것이다. 이를 위해 반 쐐기형 연소실에 직선형 포트와 나선형 포트를 적용하여 충격식 스월 측정기(ISM)와 입자영상유속계(PIV)로 측정위치를 헤드 밑면부터 하류로 보어의 1,75배 위치 즉 1.75B부터 6배 위치 즉 6.00B까지 변경하면서 스월을 평가하였다. 두 개의 평가를 비교한 결과 ISM의 평가가 PIV 평가보다 높으며, ISM 평가는 포트의 형상과 무관하게 평가위치가 하류로 갈수록 감소하며 나선형 포트의 감소가 직선형 보다 크고, PIV 평가도 포트의 형상과 무관하게 3.00B까지 소폭 증가하다 다시 감소한다. 그러나 평가위치가 하류로 갈수록 ISM 평가는 크게 감소하지만 PIV 평가의 감소는 상대적으로 적어 두 평가의 차이가 감소한다. ISM 평가에서 평가위치에 따른 스월의 대폭적인 감소는 벽면 마찰의 증가와 함께 ISM 평가의 가정에 의한 상류에서의 과대평가가 유동 전개에 의해 하류에서 해소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정상유동 특성과 실물기관의 유동을 동시에 고려할 때 일관된 평가를 위해서는 5.00~6.00B 정도의 위치가 적당하다. This paper reports on the third study worldwide on the steady flow characteristics considering the port shape in an SI engine with a semi-wedge combustion chamber. The evaluation methods of the impulse swirl meter (ISM) and the particle image velocimetry (PIV) are compared. A straight port and a helical port were applied to the combustion chamber and the swirl was evaluated with ISM and PIV from 1.75B, (1.75 times the bore position apart from the bottom of head), to 6.00B positions. The comparison showed that the ISM evaluation was higher than the PIV, and the ISM evaluation decreases as the measuring position shifts downstream regardless of the shape of the port. The decrease in the helical port was larger than that of the straight one. PIV evaluation also slightly increases to 3.00B regardless of port shape, and then decreases. However, as the evaluation position shifts downstream, the ISM assessment is significantly reduced though the decrease in the PIV assessment is relatively small, thereby reduc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assessments. The significant reduction in swirl according to the assessment location in the ISM method is due to the increase in wall friction and the overestimation due to the assumption of the ISM evaluation in the upstream being resolved downstream by the flow development. When considering the steady flow characteristics and the flow of the actual engine at the same time, the position of 5.00–6.00B is suitable for consistent evaluation.

      • KCI등재

        연료 레일 체적이 가스분사 특성에 미치는 영향(1) - 분사 유량

        곽윤기,현지혜,김형구,엄인용 한국동력기계공학회 2019 동력시스템공학회지 Vol.23 No.4

        본 논문은 가스 연료 분사시스템에서 분사 압력, 분사 기간 및 기관 속도에 따른 연료 분사 특성을 분석하였다. 현재 애프터마켓에서 개조용으로 판매되는 5cc 체적의 연료 레일과 인젝터 kit를 주대상으로 하였으며, 연료 레일 체적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100, 200, 435cc 체적의 연료 레일과 그 특성을 비교·분석하였다. 가스 연료 대신 압축 공기를 사용하였고, 인젝터 드라이버를 사용하여 순차 분사를 실시하였다. 수치환산법을 이용하여 연료 분사량을 측정하였다. 분사 압력은 1.5, 3.0, 4.5, 6.0bar로, 엔진 속도는 750, 2000, 3000, 6000rpm으로, 분사 기간은 실제 엔진 작동을 고려하여 각각 3, 5, 8, 13ms로 설정하였다. 4기통 2000cc 엔진의 정격 출력 운전 조건에서 천연가스를 연료로 사용하는 경우, 각 실린더 당 1회 분사량은 최소한 53cc가 필요하다. 또한 원활한 연료량 제어를 위해 최소 분사 유량은 5cc 이하가 되어야 한다. 본 연구 결과 중, 일부 예외를 제외하고 연료 압력이 높을수록, 분사 기간이 길어질수록 분사 유량이 증가하며, 기관 속도는 높아질수록 감소한다. 모든 조건에서 최소 분사 유량이 5cc보다 매우 크며, 반대로 전부하 조건에서 연료 분사 압력 1.5bar는 53cc를 충족시키지 못하는데, 이를 해결하기 위해 분사 압력을 높이면 분사 유량이 과도하게 된다. 한편, 5cc와 435cc 같이 그 체적의 차이가 매우 큰 경우에서만 체적 효과가 가시적으로 나타난다. 연료 레일의 체적을 증가시키면 정밀한 연료 계량 특성 확보에 유리하며, 53cc를 만족시킬 수 있지만 여전히 최소 유량 및 저부하 영역 분사 유량이 과도한 문제가 발생한다.

      • KCI등재

        연료 레일 체적이 가스분사 특성에 미치는 영향(2) - 레일 내부 압력 변동 특성

        김형구,현지혜,엄인용 한국동력기계공학회 2019 동력시스템공학회지 Vol.23 No.4

        본 논문은 가스 연료 분사시스템에서 분사 압력, 분사 기간 및 기관 속도에 따른 연료 레일 내부의 압력 변동 특성을 분석하였다. 연료 레일 체적 효과 확인을 위해 각각 5, 100, 200, 435cc 체적의 연료 레일이 사용되었다. 가스 연료 대신 압축 공기를 사용하였고, 인젝터 드라이버를 사용하여 분사를 제어하였다. 압력 센서, 압전 소자 방식의 증폭기, 오실로스코프를 사용하였으며, 압력 파형을 100회 측정하여 평균하였다. 분사 압력은 1.5, 3.0, 4.5, 6.0bar로, 엔진 속도는 750, 1000, 1500, 2000, 3000, 4000, 5000, 6000rpm으로, 분사 기간은 3, 5, 8, 13ms로 설정하였다. 기관 속도가 증가할수록, 그리고 분사 기간이 길어질수록 연료 레일 내부 압력이 큰 폭으로 감소하며, 맥동 현상이 점차 소멸된다. 기관 속도 및 분사 기간 증가로 인젝터의 구동 기간의 거의 연속적으로 연결되기 시작하다 결국 서로 겹친다. 이는 압력 조절기의 공급량 증가보다 분사 유량이 증가하여 압력이 회복될 만큼 연료 레일에 연료가 추가로 공급되지 못하는 것이 원인으로 판단된다. 또한 체적 변화와 관계없이 레일 내부 압력 저하 경향은 매우 일정하게 나타나지만, 연료 레일의 체적이 증가할수록 압력 변동이 감소하여 연료 분사 안정성의 확보에 어느 정도 기여한다. 레일 압력 감소때문에 전부하 조건에서 필요한 만큼의 분사 유량을 확보하지 못하므로, 레일 내부 압력 유지에 대한 방법을 강구해야할 필요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