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임산부의 COVID-19 감염 위험 요인과 온라인 운동 효과: 비만 지표와 NK-cell 활성도 중심으로

        현아현 한국체육대학교 체육과학연구소 2023 스포츠사이언스 Vol.41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real-time online exercise of pregnant women vulnerable to COVID-19 infection on postpartum blood lipid, serotonin, and NK-cell activity. A total of 16 subjects under the age of 45 and 24 to 28 weeks of pregnancy were randomly classified into control groups (CON, n=8) and exercise groups (EX, n=8). The EX group participated in pilates for 50 mi- nutes a day for 8 weeks, twice a week, using a chat app that could communicate in real time. As a result of conducting pre- and post-body composition and blood test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is study, significant differences in weight, body fat volume, skeletal muscle mass, BMI, and visceral fat level were found between the CON group and EX group. Blood lipid tes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 in the TG and CRP variables, and significantly decreased TC, TG, LDL, CRP, and Insulin after the EX group. Finally,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in serotonin and NK-cell activity,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two variables increased significantly in the post-test of the EX group. As a result, real-time online pilates helps maintain immunity by preventing weight gain in pregnant women during COVID-19, reducing the risk of infection, and increasing serotonin control and NK-cell activity. Therefore, online exercise should be actively used as a way to prevent infection of pregnant women and establish maternal health services.

      • KCI등재

        온라인 고강도 인터벌 트레이닝이 비만 남성의 신체조성, 하지근력, 무산소성 운동능력 및 혈중 젖산에 미치는 영향

        현아현,최동훈 한국체육대학교 체육과학연구소 2022 스포츠사이언스 Vol.40 No.1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high-intensity interval training on body composition, lower extremity strength, anaerobic ability, and blood lactic acid in obese men. Under the age of 45 obese men divided into HIIT group (n=8) and CON group (n=8), and were BMI > 28 or and abdominal circumference > 90 cm or more (total, n=16). HIIT group conducted high-intensity interval training using their own weight for 8 weeks, twice a week, and 34 minutes a day through real-time video chat programs. And Body composition, lower extremity strength, anaerobic ability, and blood lactic acid were analyzed to verify effects before and after exercise. Among the body composition,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in weight and body fat percentage, and it decreased significantly after exercise. The lower extremity muscle strength (EPTR, EPTL, FPTR, FPTL) and anaerobic capacity (MP, PP, TW) of the HIIT group increased compared to the CON group after 8 weeks. Finally, HIIT group decreased blood lactic acid faster after exercise, unlike the CON group, 5 minutes, 10 minutes, and 15 minutes after exercise in HIIT group. Thus, online high-intensity interval training can be seen as effective in controlling the weight of obese men, increasing muscle strength and anaerobic ability, and improving post-exercise recovery ability.

      • KCI등재

        8주간의 출산 전 필라테스 운동과 프로바이오틱스 섭취가 출산 후 여성의 장내미생물, 신체구성, 혈중지질, 비만호르몬, 염증성 사이토카인에 미치는 영향

        현아현,최동훈,엄현섭,김지선,오은택,조준용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 2020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Vol.37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출산 전 필라테스 운동과 프로바이오틱스 섭취가 출산 후 여성의 장내미생물, 신체구성, 혈중지질, 비만호르몬, 염증성 사이토카인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있다. 총 15명의 임산부를 운동+프로바이오틱스섭취군(PEX, n=5), 운동군(EX, n=5), 대조군(CON, n=5)으로 구분하였다. PEX 집단과 EX 집단은 8주 동안 주 2회 필라테스 운동에 참여하였고 준비운동 10분, 본 운동 30분, 정리운동 10분으로 실시하였으며, PEX 집단은 매일 공복에 프로바이오틱스 1 캡슐을 섭취하였다. 그 결과 출산 후 PEX 집단의 체지방 및 WHR 수치가 감소하였다. 장내미생물의 변화는 비피도박테리움, 락토바실러스, 클로스트리디움, 퍼미큐테스, 박테리오데스의 구성 수준에서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비만 호르몬과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변화는 PEX 집단에서 사후 렙틴, IL-6, TNF-a 수치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혈중 지질 수준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결론적으로 출산 전 필라테스와 프로바이오틱스 병행 처치는 출산 후 여성의 복부지방 감소에 효과적이며 염증 및 비만 관련 호르몬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어 산후 빠른 회복에 도움이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ffects of pregnant women's taking of probiotics and pilates exercise on Postnatal women's body composition, gut-microbiota, obesity hormones, blood lipid, inflammatory cytokine. Overall clinical trial procedures are as follows. First, a total of 15 pregnant women were classified into 3 groups, probiotics intake+exercise group(PEX, n=5), exercise group(EX, n=5), and control group(CON, n=5). The PEX and EX groups participated in the pilates exercise twice a week for eight weeks, with 10 min for warm-up, 30 min for main exercise and 10 min for cool-dawn. The probiotics had to take one capsule a day on its empty stomach every day. The results showed that intestinal harmful bacteria were inhibited after childbirth in PEX group, and body fat, WHR reduction. There were also positive effects on the decrease of leptin hormone in PEX group and on IL-6, TNF-a levels. The caesarean section ratio of CON group compared to PEX and EX group was found to be high. Conclusion pregnant women's probiotics intake and pilates exercise will be effective in women's abdominal fat reduction after childbirth, and will have positive effects on inflammatory levels and appetite control hormones, which will be effective in preventing and treating obesity for after childbirth.

      • KCI등재

        COVID-19 중 온라인 복합운동이 폐경 여성의 신체조성, 혈중지질, 코티졸, 우울증 및 불면증에 미치는 영향

        현아현 한국스포츠학회 2023 한국스포츠학회지 Vol.21 No.1

        본 연구는 COVID-19 기간 동안 만 50-60세 폐경 여성들을 대상으로 12주간 온라인 복합운동을 실시하고 신체 조성, 혈중지질, 부정적 심리 요인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수행을 위하여 총 18명의 폐경 여성을 통제그룹(COG)과 운동그룹(CEG)로 무작위 구분하고, 운동그룹은 실시간 화상 채팅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여 주 3회, 일일 50분, 총 12주간 운동에 참여하였다. 운동 효과를 규명을 위하여 사전, 사후 체성분 검사, 혈액검사, 우울증 및 불면증 척도 검사를 실시하였고, 그 결과 사후 운동그룹 신체조성 변인의 체중, 체지방률, BMI가 감소하였다. 혈중지질에서는 LDL, HDL, Insulin에서 그룹 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고, 코티졸, 우울증 및 불면증 총점에서도 두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실시간 온라인 복합운동은 코로나19 기간 동안 폐경기 여성의 신체조성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고 코티졸, 우울증 및 불면증 감소에 효과적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real-time online complex exercise for 12 weeks during COVID-19 on body composition, blood lipid, cortisol, depression, and insomnia in menopause women. The subjects for the study were a total of 18 menopause women registered and they were randomly divided into control group(COG) and combined exercise group(CEG). The online exercise participated using a real-time video chat application for 12 weeks, 3 times a week, 50 minutes a day.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xercise effect, pre and post-body composition test, blood test, and depression and insomnia scale tests were conduct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After 12 weeks of intervention, weight, body fat rate, and BMI of the post CEG were decreased, and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groups in LDL, HDL, and Insulin. In addition,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 were also observed in cortisol, depression, and insomnia. Therefore, in this study, real-time online complex exercise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body composition of menopause women during the COVID-19 period, and reduces stress, depression, and insomnia.

      • KCI등재

        경도인지장애 남성 노인의 저항성 운동이 체력, 균형능력, 인지기능 및 우울증에 미치는 영향

        현아현 한국스포츠학회 2023 한국스포츠학회지 Vol.21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12-week resistance exercise on physical strength, balance ability, cognitive function, and depression in elderly men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MCI). To conduct the study, MCI was first selected using a mini-mental state examination(MMSE) test. In addition, 20 elderly men aged 60-70 were recruited and randomly divided into an exercise group and a control group. The exercise group conducted resistance exercises using pilates three times a week for 12 weeks, 60 minutes each time, and a total of two body composition, bug balance ability, cognitive function, and depression tests were conducted to compare the effects with the pre and post control groups. As a resul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 in body fat percentage, agility, upper limb flexibility, endurance, and balance ability of the elderly in MCI. In addition, MMSE total score was improved and depression level decreased, confirming the effect of resistance training on preventing dementia. Therefore, the resistance exercise conducted in this study is effective in reducing obesity and depression, which are risk factors for dementia, and the increase in muscle strength and balance function in the exercise group can prevent sarcopenia, which is the cause of dementia.

      • KCI등재

        경도인지장애 여성 노인의 12주 필라테스가 신체능력, 인지기능 및 우울증에 미치는 영향

        현아현 ( Ah-hyun Hyun ) 한국체육대학교 체육과학연구소 2023 스포츠사이언스 Vol.41 No.3

        본 연구는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12주 필라테스 참여가 신체능력, 인지기능 및 우울증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자는 만 65~75세에 해당하는 여성으로, 간이정신상태 검사(MMSE)에서 경도인지장애로 평가된 총 16명을 대조군(CON, n=8)과 필라테스 운동군(EX, n=8)으로 무작위 구분하였다. EX 그룹은 12주 동안, 주 2회, 일일 50분의 필라테스에 참여하였고, 중재에 따른 사전·사후 효과 검증을 위하여, 총 2번의 신체조성, 균형능력, 인지기능 및 우울증 검사에 참여하였다. 그 결과, 노인 체력검사의 민첩성과 버그 균형능력 검사 총점에서 그룹 간 차이가 있었고, 우울증에서도 유의미한 변화가 나타났다. 또한 EX 그룹의 사후 체중, 체지방률, 내장지방레벨이 감소하고, 하지 근 기능 및 지구력이 증가하였으며, 인지기능이 향상되었다. 결과적으로, 필라테스를 이용한 저항 운동은 치매 위험 요소인 비만 및 근 감소를 예방하고, 운동감각 및 인지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도구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12-week pilates participation in the elderly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on physical ability, cognitive function, and depression.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women aged 65 to 75 years old, and a total of 16 people were evaluated as mild cognitive impairment in the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They were randomly divided into a control group (CON, n=8) and a pilates exercise group (EX, n=8). The EX group participated in pilates twice a week for 12 weeks, 50 minutes a day, and participated in a total of two body composition, balance ability, cognitive function, and depression tests to verify the pre and post effects of intervention. As a resul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 in agility, balance ability, and depression. In addition, the EX group’s post-mortem weight, body fat percentage, and visceral fat level decreased, and lower limb muscle function, endurance, and cognitive function were improved. As a result, resistance exercise using pilates is an effective tool to prevent obesity and depression, improve physical function, and prevent cognitive decline.

      • KCI등재

        COVID-19 중 온라인 운동참여가 비만여성의 신체조성, 신체적 자기효능감, 자아존중감,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현아현 ( Ah-hyun Hyun ) 한국체육대학교 체육과학연구소 2021 스포츠사이언스 Vol.39 No.2

        본 연구의 목적은 COVID-19 중 온라인 운동참여 여부가 비만여성의 신체조성과 심리적 영역인 신체적 자기효능감, 자아존중감,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있다. 연구 수행을 위하여 45세 미만, BMI>25 이상에 해당하는 비만여성 47명을 비운동그룹(CON, n=24)과 운동그룹(EX, n=23)으로 무작위 구분하였다. 운동그룹은 실시간 화상 채팅 프로그램을 통하여, 8주간, 주 2회, 일일 50분 동안 자신의 체중을 이용한 복합운동을 실시하였다. 신체조성, 신체적 자기효능감, 자아존중감 및 삶의 질을 비교·분석한 결과, 그룹 간 신체조성 변화에서 체지방량, BMI, 내장지방레벨의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심리 영역인 자아존중감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집단 내 변화에서는 EX 그룹의 신체적 자기효능감과 삶의 질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난 반면, CON 그룹은 감소하였다. 결과적으로, 온라인 운동참여는 체지방 감소와 체중 조절에 효과적이고, 자아존중감 증가와 삶의 만족도를 증가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실시한 온라인 운동을 적극 활용한다면, COVID-19 시대의 비만과 정서 질환을 예방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s of online exercise participation during COVID-19 on body composition, physical self-effectiveness, self-esteem and quality of life on obese women. To conduct the study, 47 obese women under the age of 45 were randomly divided into non-exercise group (CON, n=24) and exercise group (EX, n=23). Through a real-time video chat program, the EX group conducted complex exercises using their weight for 8 weeks, twice a week, for 50 minutes a day. As a result of comparing and analyzing body composition, physical self-effectiveness, self-esteem and quality of life for verification of effects before and after exercis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body fat, BMI, and visceral fat levels among groups. Furthermore, changes within the group showed an increase in the physical self-effectiveness and quality of life of EX groups. As a result, we have confirmed that participation in online exercise is effective in reducing body fat and weight control, which can increase self-esteem and increase life satisfaction. Therefore, the online exercise conducted in this study should be actively utilized to prevent obesity, depression, and emotional diseases in the COVID-19 era.

      • KCI등재

        비대면 SMR 기반의 골반안정화 및 복합운동이 좌식생활 직장여성의 골반각, 비만도, 혈중지질 및 요통에 미치는 영향

        현아현 ( Ah-hyun Hyun ),최동훈 ( Dong-hun Choi ) 한국체육대학교 체육과학연구소 2021 스포츠사이언스 Vol.39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비대면 온라인으로 실시한 SMR 기반의 골반안정화 및 복합운동이 좌식생활 직장여성의 골반각, 비만도, 혈중지질 및 요통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 수행을 위하여 45세 미만의 과체중 및 복부 비만 직장인 여성 16명을 비운동그룹(CON, n=8)과 운동 그룹(EX, n=8)으로 무작위 구분하였다. 운동그룹은 쌍방향 소통이 가능한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주 2회, 8주간 SMR 기법의 골반안정화 및 유·무산소성 복합운동을 실시하였다. 8주간의 복합 처치 효과 검증을 위하여 여성의 골반각, 비만도, 혈중지질 및 요통 척도를 비교, 분석한 결과, 비운동그룹과 운동그룹 간의 모든 변인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운동그룹의 사후 신체조성 검사에서 체중, 체지방량, BMI, 체지방률, 내장지방레벨이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골반각과 비만도의 상관도를 분석한 결과, 골반 측면각과 복부 피하지방 및 둘레의 정적 상관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혈중지질 검사에서는 집단 간 인슐린, TC, TG, CRP 수치의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고, 마지막으로 요통장애지수 검사에서는 운동집단의 ODI 총점이 감소하였다. 결과적으로, 비대면 골반안정화 및 복합운동은 좌식으로 유발된 직장인 여성의 골반각을 회복하여 복부비만을 해소하고, 혈중지질 및 요통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나타낸다. 따라서 본 연구의 온라인 복합운동을 적극 활용한다면, post COVID-19 시대의 비만 예방을 위한 좋은 대안이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effects of SMR-based pelvic stabilization and complex exercise conducted on pelvic angle, abdominal obesity, blood lipids and back pain in sedentary working women using real-time online programs. A total of 16 overweight women under the age of 45 were randomly divided into non-exercise groups (CON, n=8) and exercise groups (EX, n=8). Through an application that allows two-way communication, the EX group conducted pelvic stabilization of SMR techniques and combined exercise twice a week and eight weeks. Comparison and analysis of pelvic angle, abdominal obesity, bood Lipids, and back pain in wome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variables between CON groups and EX groups after 8 weeks. Body composition tests of the EX group showed significant reduction in weight, body fat, BMI, visceral fat levels, In addition, pelvic angle and abdominal obesity tests showed significant reduction. Blood lipids tes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insulin, TC, TG, and CRP between groups, lastly ODI test of the EX group showed reduction. Thus, SMR-based pelvic stabilization and complex exercise using real-time web program are effective in preventing abdominal obesity, blood lipids, back pain on sedentary women. If the online complex exercise of this study is actively utilized, it would be a good alternative to obesity prevention in the post COVID-19 era.

      • KCI등재

        만성 경부통 직장인 여성의 실시간 비대면 경부 안정화 운동과 능동 스트레칭이 경추각, 관절가동범위, 경부장애지수 및 통증 척도에 미치는 영향 : Post COVID-19 Exercise Program

        현아현 ( Ah-hyun Hyun ),최동훈 ( Dong-hun Choi ) 한국체육대학교 체육과학연구소 2021 스포츠사이언스 Vol.39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쌍방향 소통이 가능한 실시간 원격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만성 경부통 직장인 여성의 경부 안정화 운동 및 능동 스트레칭이 경추각, 관절가동범위, 경부장애지수 및 통증 정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보고자 한다.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서 일상생활에서 목의 가벼운 통증으로 불편함을 느끼는 45세 미만의 직장여성 17명을 대상으로 비운동집단(CON, n=8), 운동집단(EX, n=9)으로 구분하였다. 운동집단은 비대면 원격 웹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주 3회, 4주간 경부 안정화 운동 및 능동 스트레칭을 실시하였다. 운동의 효과를 증명하기 위해 경추각, 경추 관절가동범위, 경부장애지수 및 통증 정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비운동집단과 운동집단의 사후검사에서 모든 변인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운동집단 내 사전과 사후를 비교한 결과 모든 변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실시한 비대면 직장인 운동 프로그램은 일상 속 신체활동량을 증가시킴으로써 두부전방자세와 관절가동범위에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낸다. 이러한 긍정적인 효과는 경부의 통증을 감소시킴으로써 COVID-19 바이러스로 인한 불안 및 스트레스를 환기하여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고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ervical stabilization exercise and active stretching on Cranial Vertebral Angle, Range Of Motion, Neck Disability Index and Numerical Rating Scale in women with chronic cervical pain using real-time remote programs. A total of 17 working women under the age of 45 were recruited, and they were divided into CON groups (CON, n=8) and EX groups (EX, n=9). The exercise group conducted cervical stabilization exercises and active stretching for 3 times a week for 4 weeks. For the results analysis, the scope of Cranial Vertebral Angle, Range Of Motion, Neck Disability Index and Numerical Rating Scale were analyzed. The group that conducted the 4 weeks un-tact exercise showed a decrease in women's all variables. CVA and ROM tests showed significant reduction. The NDI and NRS test showed a reduce the total score of EX-group, confirming that cervical stabilization exercise and active stretching in this study is effective for neck pain. Thus, un-tact office exercise using real-time web program are effective in preventing head forward posture, neck pain and improving quality of life.

      • KCI등재후보

        12주 필라테스 운동이 임산부의 신체조성, 분만자신감, 경부장애지수에 미치는 영향

        현아현 ( Hyun Ah Hyun ),조준용 ( Cho Joon Yong ) 한국체육대학교 체육과학연구소 2019 스포츠사이언스 Vol.36 No.2

        본 연구는 12주간의 매트 필라테스 운동이 임산부의 신체조성, 분만자신감 및 경부장애지수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경기도 분당에 소재한 C 여성병원 문화센터에 등록한 임산부 1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 매트 필라테스 운동 후 신체조성 차이를 비교ㆍ분석한 결과 운동집단과 통제집단에서 체수분량, 근육량, 제지방량, BMR의 집단 간 효과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집단과 반복측정 간 상호작용 효과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체지방률을 제외한 모든 항목에서 기간 내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근육량과 BMR은 모든 부분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12주간의 필라테스 운동 후 분만자신감과 경부장애지수를 비교ㆍ분석한 결과 운동집단과 통제집단에서 집단 간 평균 차이가 있었고, 집단과 반복측정 상호작용 효과에서 부분적으로 통계적인 유의성이 있었다. 결론적으로, 필라테스 운동은 임산부의 신체조성과 분만자신감 및 경부장애지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추후 연구에서는 임산부 필라테스 운동이 산모의 진통시간, 출산 후 회복속도, 태아의 성장과 면역 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며 산전교육으로 적극 활용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evaluate the effects of 12-weeks pilates mat exercise for on pregnancy women`s body composition, delivery confidence, and neck disability index. A total of 10 pregnant women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 control group (followed a standard sedentary regimen) and a pilates group (completed a pilates exercise regimen). Body composition measurement were carried out before and after exercise. In addition, delivery confidence, and neck disability index measurement were carried out before and after exercise, using a questionnaire. The pilates group workout program lasted 50 min per day, twice a week, for 12 weeks. In this study, a comparative analysis of differences in body composition after the mat pilates exercis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body water volume, muscle mass, fat content, and the effect of BMR between groups(p<0.05). Moreover, After 12 weeks of pilates exercise,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self-confidence and neck disability index showed partial differences between groups and control groups. In conclusion, the pilates is an effective exercise to mediate the anxiety of pregnant women to increase delivery confidence, improve muscle function, reduce pain, and increase the basic strength for childbirth. However, exercise guidelines for pregnant women in high-risk groups are needed and additional research on postpartum pilates exercise is needed in a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